$\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Goal Setting based on a G-AP for Patients after a Strok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5, 2014년, pp.581 - 591  

박민경 (예손요양병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goal setting for patients after a stroke. The program was based on a theory-based Goal setting and Action Planning framework (G-A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G-AP에서 환자와 전문가의 목표협상, 구체적이고 도전가능한 목표설정, 목표달성과정에서 지속적인 피드백과 자기효능감 증진은 뇌졸중 환자의 내재화된 재활동기를 이끌어내고 목표달성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목표설정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그 의미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성기를 지나 재활치료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 재활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성기를 지나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해 입원 중인 환자들을 위한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유사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흔한 뇌졸중 후 기분장애 증상중의 하나는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불안·우울·기분요동과 같은 기분장애의 원인과 발병기전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분장애는 뇌졸중 후 빈번하게 발생하는 건강문제로 잘 알려졌다[5-7]. 가장 흔한 뇌졸중 후 기분장애 증상중의 하나로 불안·우울증이 있는데, 이것은 뇌졸중 발병 후 첫 1년 이내에 뇌졸중 환자의 최소 1/3 정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후유장애이다[13]. 뇌졸중 환자에게서 불안·우울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급작스런 변화와 사회적 관계의 위축 혹은 관계형성의 실패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해 입원 중인 환자들을 위한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프로그램에 관한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뇌졸중 환자를 위한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G-AP 기반 목표설정 자기관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이행, 병원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우리나라만 50세 이상 성인의 뇌졸중 유병률 추이는 어떻게 되는가? 의학기술의 발전과 의료의 질 향상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율은 감소추세에 있는 데 비해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우리나라만 50세 이상 성인의 뇌졸중 유병률은 1998년 2.9%에서 2011년 3.9%로 증가 추세에 있다[1]. 뇌졸중은 일단 발생하면 환자의 9%만이 질병이전의 기능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고, 73%의 환자들은 불완전하게 회복되어 남아있는 삶 동안 각종 뇌신경 후유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에 꾸준한 재활치료와 뇌졸중 재발방지를 위한 자기관리를 지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3 July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260046. 

  2.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story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3 August 15]. Available from: http://www.stroke.or.kr/stroke/stroke_con.php. 

  3. Jones F, Riazi A.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1;33(10):797-810. http://dx.doi.org/10.3109/09638288.2010.511415 

  4. Lorig KR, Holman H. Self-management education: History, definition, outcom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3;26 (1):1-7. http://dx.doi.org/10.1207/S15324796ABM2601_01 

  5.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troke: Rehabilita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nd discharge planning. A national clinical guideline. Edinburgh, UK: NHS Quality Improvement Scotland; 2010. 

  6. Intercollegiate Stroke Working Party. National clinical guideline for stroke. 4th ed. London, UK: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12. 

  7. Ajou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8. National Stroke Foundation.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 management 2010. Melbourne, AU: Author; 2010. 

  9. Forsster A, Brown L, Smith J, House A, Knapp P, Wright JJ, et al. Information provision for strok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e Cochranc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11:CD00191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1919.pub3 

  10. Jones F, Riazi A, Norris M. Self-management after stroke: Time for some more question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3;35(3):257-264. http://dx.doi.org/10.3109/09638288.2012.691938 

  11. Department of Health. The national stroke strategy. London, UK: DH; 2007. 

  12. Hoffmann T, McKenna K, Worrall L, Read SJ. Randomised trial of a computer-generated tailored written education package for patients following stroke. Age and Ageing. 2007;36(3):280-286. http://dx.doi.org/10.1093/ageing/afm003 

  13. Hackett ML, Anderson CS, House A, Halteh C.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epression after strok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8;3:CD00368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689.pub3 

  14. Shin ES, Hwang SY, Jeong MH, Lee ES. Relationships of factors affecting self-care compliance in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sian Nursing Research. 2013;7(4):205-211. http://dx.doi.org/10.1016/j.anr.2013.10.003 

  15. Lennon S, McKenna S, Jones F. Self-management programmes for people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2013;27(10):867-878. http://dx.doi.org/10.1177/0269215513481045 

  16. Levack WM, Taylor K, Siegert RJ, Dean SG, McPherson KM, Weatherall M. Is goal planning in rehabilitation effective?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2006;20(9):739-755. http://dx.doi.org/10.1177/0269215506070791 

  17. Siegert RJ, Taylor WJ. Theoretical aspects of goal-setting and motivation in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4;26(1):1-8. http://dx.doi.org/10.1080/09638280410001644932 

  18. Scobbie L, Dixon D, Wyke S. Goal setting and action planning in the rehabilitation setting: Development of a theoretically informed practice framework. Clinical Rehabilitation. 2011;25(5):468-482. http://dx.doi.org/10.1177/0269215510389198 

  19. Allen K, Hazelett S, Jarjoura D, Hua K, Wright K, Weinhardt J, et al. A randomized trial testing the superiority of a postdischarge care management model for stroke survivors.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09;18(6):443-452.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09.02.002 

  20. Kang SM.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05. 

  21.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3;67(6):361-370. http://dx.doi.org/10.1111/j.1600-0447.1983.tb09716.x 

  22.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289-296. 

  23. Kim CG, Park H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47-6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47 

  24. Lowe DB, Sharma AK, Leathley MJ. The carefile project: A feasibility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sed information booklet on patients after stroke. Age and Ageing. 2007;36(1):83-89. http://dx.doi.org/10.1093/ageing/afl145 

  25. Hafsteinsdottir TB, Vergunst M, Lindeman E, Schuurmans M. Educational needs of patients with a stroke and their caregiv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1;85(1):14-25. http://dx.doi.org/10.1016/j.pec.2010.07.046 

  26. Jones F, Mandy A, Partridge C. Changing self-efficacy in individuals following a first time stroke: Preliminary study of a novel self-management intervention. Clinical Rehabilitation. 2009;23(6):522-533. http://dx.doi.org/10.1177/0269215508101749 

  27. Johnston M, Bonetti D, Joice S, Pollard B, Morrison V, Francis JJ, et al. Recovery from disability after stroke as a target for a behavioural interven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7;29(14):1117-1127. http://dx.doi.org/10.1080/03323310600950411 

  28.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orth Publishers; 1997. 

  29. Taylor WJ, Brown M, William L, McPherson KM, Reed K, Dean SG, et al. A pilot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tructured goal-setting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12;26(4):327-338. http://dx.doi.org/10.1177/0269215511419384 

  30. Jones F, Partridge C, Reid F. The stroke self-efficacy questionnaire: Measuring individual confidence in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7B):244-252.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333.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