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중년여성의 건강식품 섭취와 식생활과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Health Foods and Dietary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5, 2014년, pp.436 - 447  

김미희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5~60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식품의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식품 섭취 여부에 따른 건강행태와 식생활을 조사하여 이들 여성의 건강식품의 섭취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9.8세였으며, 현재 건강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대상자 비율이 66.8%로 건강식품 섭취자가 비섭취자 보다 더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건강식품은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섭취 이유로는 영양보충과 질병예방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건강식품 구입과 관련한 태도에서는 건강 식품 구입 시 영양정보 또는 제품성분, 섭취량, 섭취방법을 잘 확인하고 구입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았다. 건강식품 섭취 여부에 따른 평상시 식생활 태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식품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평상시 식생활 태도의 평균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5), 식생활 태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추출된 4개의 요인 중 '식품의 절제' 요인에서 섭취군의 점수가 비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이상의 결과로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사람들의 식생활 태도가 더 좋으며, 바람직한 식생활과 건강식품의 섭취가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식품 섭취를 평상시 식생활과 잘 조화를 이루게 한다면 더욱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중년 여성 자신의 식생활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건강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및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 to dietary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45-60 years). Methods: The exclusive face-to-face interviews by well-trained interviewers guaranteed a scientific data collection and the q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훈련된 면접요원과 조사대상자의 1 : 1 면접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1인당 설문 작성에 평균 30~40분 정도를 소요하였다. 또한 면접 요원 간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 일련의 과정을 기술한 설문 지침서를 개발하여 조사 시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45~60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식품의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식품 섭취 여부에 따른 평상시 식생활을 조사하여 이들 여성의 건강식품의 섭취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의 60% 이상이 건강식품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비타민 및 무기질’ 종류의 건강식품 섭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현재까지 건강식품의 섭취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며, 특히 건강식품의 섭취율이 높은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식품 섭취에 따른 식생활적 특성을 조사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건강식품 섭취와 관련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고, 건강식품의 섭취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건강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건전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건강식품 섭취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건강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념인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제품’을 기본으로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하여 섭취하는 정제, 분말, 엑기스, 환 등 각종 형태의 제품을 포함하였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의 증가는 무엇의 비율이 점차 상승하고 있는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중·고령층의 인구 비율이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60세 이상 노인인구의 85% 이상이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년기의 건강한 삶, 건강한 노화를 위한 중년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 Choi 2000). 중년기는 발달단계상 삶의 전환점으로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이라는 생리적인 변화를 겪게 되면서 신체적,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건강상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노화와 더불어 점차 만성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게 되면서 건강상의 위기감, 건강에 대한 자신감 결여 등이 나타나는 시기이다(Yeun 2000; Yang 2002; Kim & Song 2004).
중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중·고령층의 인구 비율이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60세 이상 노인인구의 85% 이상이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년기의 건강한 삶, 건강한 노화를 위한 중년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 Choi 2000). 중년기는 발달단계상 삶의 전환점으로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이라는 생리적인 변화를 겪게 되면서 신체적,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건강상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노화와 더불어 점차 만성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게 되면서 건강상의 위기감, 건강에 대한 자신감 결여 등이 나타나는 시기이다(Yeun 2000; Yang 2002; Kim & Song 2004). 이에 중년이 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건강 유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 식사 선택에 대한 비중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식생활 태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추출된 4개의 요인은? 40 보다 낮은 ‘과일섭취 빈도’ 문항은 요인에서 제외되었다. 첫째 요인은 ‘세끼 식사의 규칙성’, ‘아침 식사의 규칙성’, ‘일정한 식사시간’, ‘일정한 식사량’, ‘식사 속도’로 구성되어 ‘식사의 규칙성’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요인은 ‘즐겁게 식사’, ‘곡류 섭취 빈도’, ‘단백질 식품 섭취 빈도’, ‘채소류 섭취 빈도’, ‘유제품 섭취 빈도’, ‘식물성기름 이용’을 포함하였으며 ‘식사의 다양성’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요인은 ‘균형 잡힌 식사‘, 고지방 식품 섭취 빈도’, ‘고콜레스테롤 식품 섭취 빈도’, ‘단 음식 섭취 빈도’로 구성되었고 ‘식품의 절제’로 명명하였다. 넷째 요인은 ‘짠 음식 섭취 빈도’, ‘영양정보 활용’, ‘가족과 함께 식사’, ‘건강과 영양 정보 활용’으로 구성되었고 ‘식생활 실천’으로 명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 CS, Nam CH (1990): A study on awareness of health food in community people of urban area.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6(2): 43-55 

  2. Archer SL, Stamler J, Moag-Stahlberg A, Van Horn L, Garside D, Chan Q, Buffington JJ, Dyer AR (2005): Association of dietary supplement use with specific micronutrient intakes among middle-aged American men and women: the INTERMAP Study. J Am Diet Assoc 105(7): 1106-1114 

  3. Baek SS (199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enopausal symptoms of midlife wome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4(3): 332-347 

  4. Brustad M, Braaten T, Lund E (2004): Predictors for cod-liver oil supplement use--the Norwegian Women and Cancer Study. Eur J Clin Nutr 58(1): 128-136 

  5. Chang HK, Han YB (2002): A study on the climacteric symptoms and dietary pattern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Home Econ Assoc 40(1): 125-134 

  6. Dwyer JT, Garcea AO, Evans M, Li D, Lytle L, Hoelscher D, Nicklas TA, Zive M (2001): Do adolescent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rs have better nutrient intakes than nonusers? Observations from the CATCH tracking study. J Am Diet Assoc 101(11): 1340-1346 

  7. Ishihara J, Sobue T, Yamamoto S, Sasaki S, Tsugane S; JPHC Study Group (2003): Demographics, lifestyles, health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among dietary supplement users in Japan. Int J Epidemiol 32(4): 546-553 

  8. Ju H, Seo J, Hwang J, Park H, Lee E, Hwang S (2005): Comparative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and menopausal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1): 27-37 

  9. Kim CI, Jang YA, Kim BH, Lee HS, Lee YN (2003): Development of dietary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for Korean population (2003: Dietary action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p.36 

  10. Kim HC, Kim MR (2007): Intake pattern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the elderly regarding health food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4): 499-510 

  11. Kim H, Kim M (2006): A study on health-functional foods intake pattern of consumers in Busan and Gyengnam region. J Korean Living Sci Assoc 15(2): 341-352 

  12. Kim HR (1996): Provisional national nutrition targets and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of Koreans. Korean J Community Nutr 1(2): 161-177 

  13. Kim HS, Yoon KH, Lee MJ, Seo BH (2005): Intake and awareness of the functional health food among housewives in Cheongju area. J Hum Ecol 9(2): 179-196 

  14. Kim NS, Song HJ (2004): Women's chronic diseas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Health Welf Policy Forum 93: 39-46 

  15. Kim SH (1994):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7(3): 236-252 

  16. Kim SH (2010):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5(2): 150-159 

  17. Kim SH, Han JH, Kim WY (2010): Health functional food use and related variables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43(3): 294-303 

  18. Kim SK, Sunwoo JG (2007): The analysis of the dietary factors related to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2(1): 25-39 

  19. Kim SY, You JS, Chang KJ (2013):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Korean J Nutr 46(2): 166-176 

  20. Koo NS, Park JY (2000):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ood by adul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 5(3): 452-460 

  21. Lee BR, Jeong BY, Kim IS, Moon SK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ood and health-related factors by residence and sex in Tong-Yeong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6): 840-849 

  22. Lee EJ, Ro SO, Lee CH (1996): A survey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health food in Korea (II) consumer preception on health foods. Korean J Diet Cult 11(4): 487-495 

  23. Lee HJ, Lee KH (2014): The impacts of dietary habits on selfperceive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Focused on Ch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6): 916-925 

  24. Lee HS, Han JH, Kim SH (2013): A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elated factors by Korean adolescents. Korean J Diet Cult 28(4): 415-423 

  25. Lee JE, Yang YJ, Seo S, Kwon O (2012): Health/functional food consumption factors of 20's Korea women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Korean J Nutr 45(2): 170-180 

  26.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8): 946-955 

  27. Lee SG, Lee SM, Kong EH, Choi JS (2011): The functional food usage and relation with fatigue for male workers. Korean J Fam Med 32(2): 120-127 

  28. Lee YH, Choi SJ (200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erception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Nurs 30(4): 880-892 

  2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Defi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cited February 3, 2014]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cited June 12, 2014] 

  31. Ohn J, Kim JH (2012): Intake pattern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web-contents o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of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7(1): 26-37 

  32. Polk MR (1985): The dietitian vs. food faddism: an educational challenge. J Am Diet Assoc 85(10): 1335-1337 

  33. Reaves L, Steffen LM, Dwyer JT, Webber LS, Lytle LA, Feldman HA, Hoelscher DM, Zive MM, Osganian SK (2006): Vitamin supplement intake is related to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the Child and Adolescent Trial for Cardiovascular Health (CATCH). J Am Diet Assoc 106(12): 2018-2023 

  34. Reinert A, Rohrmann S, Becker N, Linseisen J (2007): Lifestyle and diet in people using dietary supplements: a German cohort study. Eur J Nutr 46(3): 165-173 

  35. Smith C, Wilson NC, Parnell WR (2005): Dietary supplements: characteristics of supplement users in New Zealand. Nutr Diet 62(4): 123-129 

  36. Song BC, Kim MK (1997):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30(2): 139-146 

  37. Stang J, Story MT, Harnack L, Neumark-Sztainer D (2000): Relationships between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dietary intake, and dietary adequacy among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0(8): 905-910 

  38. Troppmann L, Gray-Donald K, Johns T (2002): Supplement use: Is there any nutritional benefit? J Am Diet Assoc 102(6): 818-825 

  39. Yang JH (2002): A study on health behavio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 Korean Acad Nurs 32(5): 694-705 

  40. Yeun EJ (2000):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7(1): 41-59 

  41. Yi HH, Park HA, Kang JH, Kang JH, Kim KW, Cho YG, Song HR, Lee JS (2009): What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used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Fam Med 30(12): 934-943 

  42.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 136-1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