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서기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ing on Dynamic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1, 2014년, pp.15 - 20  

김군하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최한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형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화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dynamic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was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training group randomly. Control group(n=15) had only general rehabilitation trai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그 동안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있어 마비 측 하지로의 체중지지율을 높여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어깨뼈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자세조절이 선 자세에서의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어깨뼈 안정화 운동을 통해 얻어진 어깨뼈의 위치 안정성을 측정하여 이것이 선 자세에서의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에서 운동 및 감각 기능의 손상은 어떠한 능력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하나? 뇌졸중 환자에서 운동 및 감각 기능의 손상은 일반적인 증상으로 자세 조절 및 과제 활동에 큰 어려움을 준다.1 이러한 손상으로 운동적, 감각적, 지각적, 인지적인 문제들과 선 자세 균형을 제어하는 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 가지며, 균형 수행과 보행 수행 시 환측으로 체중을 옮기는 능력에 문제를 보이게 된다.2 뇌졸중 환자는 선택적인 체간의 움직임과 앉은 자세의 균형 능력이 떨어진다고 하였으며3, 균형능력이 저하된 경우 신체 동요가 커지고, 신체내의 질량 중심은 비마비측으로 편중 되어 하지의 체중분포가 비대칭적이다.
어깨뼈 익상은 어떻게 분류되나? 뇌졸중 환자에서 많이 나타나는 어깨뼈 익상이란 어깨뼈 주위의 외상, 수술, 감염, 감전, 스포츠 손상 등으로 인해 장흉 신경이 손상 되어, 어깨뼈 내측연이 뜨고 하각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증상으로 정의 된다. 임상적으로 어깨뼈 익상은 정적 어깨뼈 익상(static winging)과 동적 어깨뼈 익상(dynamic winging)으로 분류되며18 뇌졸중 환자들에서는 대부분 동적 어깨뼈 익상이 나타난다. 동적 어깨뼈 익상은 근, 신경 이상이 원인이 되고 근 불균형 때문에 능동 및 저항 운동 시 변형이 나타나고 휴식 시에는 사라진다.
동적 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한 것은? 동적 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능적 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 test, FRT)와 4분 구획 스텝 검사(four squared step test, FSST), 균형 수행 모니터(Balance Performance Monitor: BPM)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ong BK.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Hand Function, Postural Control and ADLs within Sensorimotor Deficits after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5):291-9. 

  2. Kim JH.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Dynamic Standing Balance Symmetry and Walking Function in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73-81. 

  3. Verheyden G, Nieuwboer A, De Wit L et al. Time course of trunk, arm, leg,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ischem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2):173-9. 

  4.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5. Park SK, Kang YH. Effects of Weight Distribution and Balance with Foot Orthotics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3):241-6. 

  6. Rothwell JC, Thompson PD, Day BL et al. Motor cortex stimulation in EMG responses in different muscles. Brain. 1987;110(5):1173-90. 

  7. Jang JH, Lee HO, Koo BO. Treatment approach for the movement dysfunction of the shoulder girdle. J Korean Soc Phys Ther. 2003;15(4):412-30. 

  8. Hess, S. Functional 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Manual therapy. 2000;5(2):63-71. 

  9. Han SW, Bang SM, Lee WJ. The Effect of Self-exercise, Self-exercise and Scapula Stability Complex Exercise to Frozen Shoulder Patient. Korea Sport Research, 2007;18(4):387-96. 

  10. Magarey, M.E., Jones, M. Dynamic evaluation and early management of altered motor control around the shoulder complex. Manual therapy. 2003;8(4),195-206. 

  11. Park HJ, et al.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ty Exercise with the Unstable Surface on pain Relief of Lateral Epicondylitis :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09;15(1):58-63. 

  12. Yoo YY, Ahn CS. The Effects of Symmetrical Scapular Alignment on Weight Bearing of Hemiplegic Patients During Standing Position. J Korean Soc Phys Ther. 2009;21(2):23-9. 

  13. Chaudhuri S, Aruin AS. The effect of shoe lifts on static and dynamic postural control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1):1498-503. 

  14. Shin HK, Jung BI. The effect of functional strengthening exercise on standing balance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Physical Therapy Korea. 2001;8(3):97-105. 

  15. Jonsson E, Henriksson M, Hirschfeld H. Does the functional reach test reflect stability limits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3;35(1):26-30. 

  16.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ful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 2002;83(11):1566-71. 

  17. Kim KJ, Kong KW, Kwon SO et al. The study of stability exercise using pressure biofeedback unit for low back pain. The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2;19(2):63-71 

  18. Park JS, Jeon hs, Kwon OY. A comparison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ies during push-up plus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winging scapular. Physical Therapy Korea. 2007;14(2):44-52 

  19. Bae SS, et al. Treatment Approach of Instable Scapular by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6;4(1):1-7. 

  20. Mottram SL. Dynamic stability of the scapula. Man Ther. 1997;2(3):123-31 

  21. Kim YH,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the Patients with Stroke. Daegu National Univ, Korea.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22. Kwon MJ. A Study of the Clinical Utility of the Four Square Step Test for Predicting Falls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0;22(4):1-6. 

  23. Kim JH, Kim JS. Effects of virture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05;17(3):351-67. 

  24. Lee JS.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ty in Position for Arm Reaching and Shoulder Function in Hemiplegic Patient. Korea sport research. 2007;18(4):58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