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5nm CMOS 공정을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의 설계
A Design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High Speed 1/4 Frequency Divider using 65nm CMOS Proces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1 no.11, 2014년, pp.107 - 113  

이종석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문용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60GHz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를 65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했다. 전압제어 발진기는 전류소스와 NMOS 차동쌍 LC구조로 설계하였으며 분주기는 차동 인젝션 록킹 구조에 베렉터를 추가하여 동작주파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했다. 전압 제어 발진기와 분주기에 모두 전류소스를 추가하여 전원잡음에 따른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하였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64.36~67.68GHz의 동작범위가 측정됐고, 고속 4분주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범위에 대해 정확한 4분주가 가능하며 5.47~5.97dBm의 높은 출력전력이 측정됐다. 분주기를 포함한 전압제어 발진기의 위상잡음은 1MHz 오프셋 주파수에서 -77.17dBc/Hz이고 10MHz 오프셋 주파수에서 -110.83dBc/Hz이다. 소모전력은 전원전압 1.2V에서 38.4mW 이다 (VCO 포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divide-by-4 high speed frequency divider are implemented using 65nm CMOS technology for 60GHz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m-wave VCO was designed by NMOS cross-coupled LC type using current source. The architecture of the divide-by-4 high speed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0GHz 무선 통신 시스템용 PLL의 핵심 블록인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를 65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제작 및 측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출력변화를 줄이기 위해 전류소스를 사용하였으며 높은 Q값과 낮은 인덕턴스 값을 얻기 위해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작은 구조의 센터 탭 구조의 인덕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 [2] 60GHz의 주파수를 바로 10GHz 대역으로 낮추기는 어렵지만 10GHz 대역의 주파수를 수십MHz 대역의 주파수로 낮추기는 비교적 쉽기 때문에 고속의 분주기가 필요하다.[3~4] 본 연구에서는 60GHz PLL의 핵심블록인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를 65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 [6] 반면 인젝션 록킹 분주기는 60GHz 이상의 주파수 동작에 유리하지만 동작범위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7] 제안한 고속 4분주기는 60GHz에 사용하기 위해서 인젝션 록킹 구조를 사용했으며 기존의 구조보다 동작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베렉터와 PMOS 전류소스를 추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고속 4분주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주파수 대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고 제안한 전류소스의 또다른 역할은 실제 측정에서 발생하는 전원전압 변동에 대한 출력변화를 최소화 해준다.
  • )는 수십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전압 제어 발진기의 60GHz 대역의 출력 주파수를 분주하기란 실질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10GHz 대역의 출력을 분주하는 분주기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되었으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4분주기를 설계했다.[3~4] 고속 분주기의 종류로는 정적분주기(Static Frequency Divider)와 인젝션 록킹 분주기(Injection Locked Frequency Divider)가 많이 쓰이며 일반적인 정적 분주기 구조를 그림 4에 나타냈다.
  • 최대한 Q-팩터를 높이기 위해 인덕터의 모양을 발진주파수에 맞춰 변형하였다. 그리고 베렉터는 공정에서 제공하는 소자를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원하는 캐패시터 값을 맞추기 위해 넓이보다는 길이를 키워서 Q-팩터를 최대화하였다.
  • 그래서 MN7은 하모닉 믹서 역할을 하며 VCO의 발진주파수와 믹서의 전류를 조절하여 MN7의 입력에 4분주되는 출력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단에 버퍼를 추가하여 DIVP(또는 DIVM)와 OUTP(또는 OUTM)를 분리하였고 60GHz의 동작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MN9과 MN10의 W/L 값을 최적화하여 높은 출력전력을 만족시켰다.
  • 제안한 60GHz 전압 제어 발진기 회로도는 그림 2와 같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기존의 NMOS 차동쌍 LC구조를 사용하였으며 기존 회로와의 차이점은 전원전압 변동에 대한 출력변화의 민감성을 줄이기 위해 전류소스를 추가했다. 또한 VCM(VCO)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으로 MN3의 드레인 전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 제어 발진기 동작 전류 IS를 조절할 수 있다.
  • 60GHz 무선 통신 시스템용 PLL의 핵심 블록인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를 65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제작 및 측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출력변화를 줄이기 위해 전류소스를 사용하였으며 높은 Q값과 낮은 인덕턴스 값을 얻기 위해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작은 구조의 센터 탭 구조의 인덕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 하지마 실제 사용하는 RF 주파수대역에서는 RF-인덕터를 사용한 결과가 더 정확하기 때문에 Q-팩터의 시뮬레이션 값이 낮더라도 RF-인덕터를 사용하였다. 최대한 Q-팩터를 높이기 위해 인덕터의 모양을 발진주파수에 맞춰 변형하였다. 그리고 베렉터는 공정에서 제공하는 소자를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원하는 캐패시터 값을 맞추기 위해 넓이보다는 길이를 키워서 Q-팩터를 최대화하였다.
  • 칩 제작을 위한 공정과 전원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코너 시뮬레이션과 위상잡음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그림 8과 그림 9에 결과를 나타냈다. 그림 8은 편차가 가장 큰 SS코너와 FF코너 2개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모든 경우에도 60GHz 이상의 출력을 만족시키는 소자의 설계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였다.
  • 칩 측정은 프로브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웨이퍼 상에서 진행하였으며 Agilent 8565EC 스펙트럼 분석기와 전원공급기, Infinity GSSG 듀얼 프로브를 사용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가 합쳐진 블록의 동작을 확인했다. 설계한 회로의 전체 면적은 0.
  • 5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마 실제 사용하는 RF 주파수대역에서는 RF-인덕터를 사용한 결과가 더 정확하기 때문에 Q-팩터의 시뮬레이션 값이 낮더라도 RF-인덕터를 사용하였다. 최대한 Q-팩터를 높이기 위해 인덕터의 모양을 발진주파수에 맞춰 변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제안한 전압 제어 발진기와 고속 4분주기는 CADENCE Spectre RF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포스트 시뮬레이션 검증 후 65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그림 6은 VCO에 사용된 인덕터와 베렉터의 Q-팩터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론/모형

  • 그림 8은 편차가 가장 큰 SS코너와 FF코너 2개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모든 경우에도 60GHz 이상의 출력을 만족시키는 소자의 설계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였다. 그림 9는 전원소스 유무에 따른 위상잡음 결과를 나타냈는데 실제 전원 공급 장비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예상하기 위해 그림 10과 같이 PSN(Power Supply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9] 시뮬레이션 결과 전원잡음이 없는 경우에는 전류소스가 있는 회로가 없는 회로보다 약 20dB 더 안좋다.
  • 또한 동일한 구조와 분주비를 갖는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비교적 넓은 락킹 범위를 가지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성능 비교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파라미터가 있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FOM(Figure of Merit) 식을 사용하였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0GHz 기반의 통신을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자원이 점점 고갈되는 전 세계적 상황에서, 60GHz 기반의 밀리미터파 대역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 비허가 대역으로 할당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 60GHz 기반의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60GHz의 클락 생성이 필요하고 PLL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주파수 생성 블록도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회로를 그림 1에 나타냈다.
PLL에서 높은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핵심 블록은? 일반적인 주파수 생성 블록도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회로를 그림 1에 나타냈다. PLL에서 높은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핵심 블록은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이고, 주파수 피드백 시스템에서 핵심 블록은 고속 분주기이다.[2] 60GHz의 주파수를 바로 10GHz 대역으로 낮추기는 어렵지만 10GHz 대역의 주파수를 수십MHz 대역의 주파수로 낮추기는 비교적 쉽기 때문에 고속의 분주기가 필요하다.
정적 분주기의 신호 출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정적 분주기는 두 개의 래치에 CLK이 반대로 입력되어 교대로 동작하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이다. 출력은 입력과 부귀환 연결되어 있으므로 CLK 주파수가 분주기의 동작 주파수 범위 안에 있다면 CLK의 2분주된 신호를 출력된다. 그러나 4분주된 신호를 위해서는 2개의 분주기를 사용해야하며 CMOS 공정의 한계 때문에 60G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동작에 제한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W. Li, H.-C. Kuo, T.-H. Huang, and H.-R. Chuang, "60 GHz CMOS divide-by-5 injectionlocked frequency divider with an open-stubloaded floating-source injector," IEEE RFIC Symp., pp. 1-4, Jun. 2011. 

  2. I.-Ting Lee, Chiao-Hsing Wang, Chun-Lin Ko, Ying-Zong Juang and Shen-Iuan Liu, "A 3.6 mW 125.7-131.9 GHz Divide-by-4 Injection-Locked Frequency Divider in 90 nm CMOS," IEEE, LMWC, vol. 22, no. 3, pp.132-134, Feb. 2012. 

  3. Yanping Ding and Kenneth K. 0, "A Low-Power 17-GHz 256/257 Dual-Modulus Prescaler Fabricated in a 130-nm CMOS Process," IEEE, RFIC Symp., pp. 456-468, Jun. 2005. 

  4. H.-D. Wohlmuth and D. Kehrer, "A 15 GHz 256/257 Dual-Modulus Prescaler in 120 nm CMOS," IEEE, ESSCIRC, pp.77-80, Sept. 2003. 

  5. Seong-Yong Jang et.al., "Analysis of Quality factor and Effective inductance of Inductor for RF Integrated Circuits in 90nm CMOS Technolog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50, No.5, pp.128-133, May. 2013. 

  6. Lianming Li, Patrick Reynaert and Michiel Steyaert, "A 60GHz 15.7mW static frequency divider in 90nm CMOS," IEEE, ESSCIRC, pp.246- 249, Sep. 2010. 

  7. Hsieh-Hung Hsieh, Huan-Sheng Chen and Liang- Hung LuA, "V -Band Divide-by-4 Direct Injection- Locked Frequency Divider in 0.18- ${\mu}m$ CMOS," IEEE, E Trans. Microw. Theory Tech., vol. 59, no. 2, pp.393-405, Feb. 2010. 

  8. Ho-Gil Kim and Sang-Hoon Chai, "Design of 26GHz Variable-N Frequency Divider for RF PL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49, No.9, pp.270-276, Sep. 2012. 

  9. Chang-Ryong Heo and Chong-Suck Rim, "Decoupling Capacitance Allocation at the Floorplan Level for Power Supply Noise Reduc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42, No.9, pp.270-276, Sep.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