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온라인 협력학습전략이 간호학전공 학습자의 소집단 상호작용 유형, 학습결과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 Interaction Patterns,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in Web 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4, 2014년, pp.577 - 586  

이선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서민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small group interac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among graduate nursing student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small group interaction patterns,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in web-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s. Metho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웹기반 소집단 토론 학습 강의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학습자의 상호작용, 학습 결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의 온라인 협력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2종류의 교수자 피드백-수동적 피드백과 적극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 학습결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협력학습전략에 따라 학습자들의 인지적 상호작용과 메타인지적 상호작용 빈도에 차이가 있는가?
  •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학습자 간 인지적 상호작용과 메타인지적 상호작용 빈도 및 교수자의 협력학습전략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습결과와 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협력학습의 효과는? 온라인 협력학습은 참여 학생들이 서로 협력적으로 학습하므로 개별화된 학습의 특징을 살리면서 학습자들 간에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과제해결능력을 높여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면대면 상황이 아닌 관계로, 학습자의 메타인지능력과 학습 스타일의 차이로 학습자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깊이 있는 사고를 못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비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협력학습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과제수행을 위한 토론진행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온라인 협력학습의 한계점은? 온라인 협력학습은 참여 학생들이 서로 협력적으로 학습하므로 개별화된 학습의 특징을 살리면서 학습자들 간에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과제해결능력을 높여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면대면 상황이 아닌 관계로, 학습자의 메타인지능력과 학습 스타일의 차이로 학습자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깊이 있는 사고를 못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비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협력학습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과제수행을 위한 토론진행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 성과를 증진하기 위한 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온라인 협력학습이란? 온라인 협력학습(online collaborative learning)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가상의 학습공간에서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고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학습을 의미하며, 특히 과제수행을 목적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집단학습으로 정의된다.(Lee,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stillo-Merino, D., & Serradell-Lopez, E. (2014).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formance in e-learn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0, 476-484. 

  2. Choi, K. A. (2008). Relationships of different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learn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strategy growth and distance learning effectiveness in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4), 167-191. 

  3. Dennen, V. P., Darabi, A. A., & Smith, L. J. (2007).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in online courses: The relative perceived importance of particular instructor actions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Distance Education, 28(1), 65-79. 

  4. Hahn J. & Oh J. (2005). The effects of instructer's participation on the Web based online discuss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4), 123-142. 

  5. Hahn, J. S. & Park, J. M.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scussion facilitation strategies and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social engagement, and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1), 5-30. 

  6. Han S. L. (2009). Effects of the types of blended learning and the types of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 toward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3), 311-330. 

  7. Hong. K. S. (1999). A study on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thropology of Education, 2(3), 83-99. 

  8. Hur, K. C. (1991).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V).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Jung, I., Choi, S., Lim, C., & Leem, J. (2010).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Web-based instruc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39(2), 153-162. 

  10. Jung, S., & Kim, J. (2011).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3), 205-223. 

  11. Kim, K. D., Ko, Y., Choi, K. U. & Park, I. (2012). A study on effectiv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s. The Korean Educational Review, 18(1), 169-188. 

  12. Kim, S., & Kim, J. (2008). Inter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Web-based synchronous discussion clas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5(3), 165-183. 

  13. Kim, T. W. (2010). The effects of feedback patterns by instructor to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levels and satisfaction levels in the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3(6), 24-32. 

  14. Kwon, S. H. & Park, K. A. (2004), The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metacognition support on the task performance of group and learning attitude i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0(2), 193-219. 

  15. Lee, H. J. & Rha, I. (2009). Influence of structure and interaction on studen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372-382. 

  16. Lee, J. (2005). The type of interaction and the process of knowledge building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tilizing Web-based bulletin board.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4), 29-58. 

  17. Lee, S., & Suh, M. (2012). A study on interaction pattern, learn attitude, task performance by meta-cognitive level in Web-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23-331. 

  18. Lee, S., & Kwon, J. H. (2010).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ccording to learning task types,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1(5), 95-104. 

  19. Lee, S. (2004).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in face to face and online synchronous a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 63-88. 

  20. Lee, Y. (2006). The analysis of learners' message types and interaction patterns in Web-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2), 83-104. 

  21. Sun, P. C., Tsai, R. J., Finger, G., Chen, Y. Y., & Yeh, D. (2008).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50, 1183?1202. 

  22. Sung, I. J. (1987).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1).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