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의 경관영양 공급 지표로서 위 잔여량의 임상적 효용성: 체계적 문헌고찰
Clinical Usefulness of Gastric Residual Volume as An Indicator to Provide Approximately Enteral Nutrition for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267 - 275  

김현정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  장선주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actice of enteral nutrition with gastric residual volumes (GRVs) as a clinical indicator is poorly standardized in intensive care unit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results from studies that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related to the GRVs.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경관 영양을 공급받는 중환자의 위 잔여량과 임상적 결과를 평가한 연구의 특성을 조사한다.
  • , 2012; KSPEN, 2007), 특수 임상상황에 처해있는 중환자의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표준화된 위 잔여량 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영양을 받고 있는 중환자를 대상으로 위 잔여량 기준점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국내외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중환자를 위한 표준화된 위 잔여량 기준점 설정을 이 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관영양을 공급받는 중환자의 위 잔여량 기준점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한 연구를 종합하여 분석한 체계적 문헌 고찰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경관영양을 공급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위 잔여량 기준점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한 연구의 현황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환자의 경관영양에 대한 표준화된 위 잔여량 기준점 설정의 근거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경관영양을 공급받는 중 환자의 위 잔여량 기준점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종합 분석함으로써 경관영양 유지를 위한 표준화된 위 잔여량 기준점 설정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경관영양을 공급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위 잔여량 기준점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한 연구의 현황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환자의 경관영양에 대한 표준화된 위 잔여량 기준점 설정의 근거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위 잔여량은 경관영양을 진행하기 위한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화된 기준점이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관 영양을 공급받는 중환자의위 잔여량 기준점과 임상적 결과와의 관계를 평가한 논문들을 체계적 문헌고찰로 분석하여 경관 영양공급진행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중환자에게 적절한 영양공급을 제공하면서 합병증의 위험성이 적은 위 잔여량 200 mL가 안전한 기준점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에게 있어 영양공급은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중환자에게 있어 영양공급은 제지방 질량 유지, 면역력 유지뿐 아니라 상처치유, 감염, 병원 재원일 수 및 사망률 등의 임상적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Martin et al., 2004; Terekeci et al.
경관영양은 어떠한 방법인가? 이에 따라 중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을 제공하는 것은 중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에게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중재로 부각되고 있다. 중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 중 경관영양(enteral nutrition)은 중환자의 소화기능을 이용하며 쉽고 안전하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어구강섭취가어려운 중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Cho et al., 2014).
국내의 병원 간호사회와 한국정맥경장영 양학회에서는 경관영양을 시행하여 위 잔여량을 어느정도까지 허용하였는가? , 2009). 국내의 병원 간호사회와 한국정맥경장영 양학회에서는 위 잔여량을 각각 100 mL와 200 mL까지 허용하도록 권유하고 있다(Kim KS et al., 2012;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KSPE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mad, S., Le, V., Kaitha, S., Morton, J., & Ali, T. (2012). Nasogastric tube feedings and gastric residual volume: A regional survey. Southern Medical Journal, 105(8), 394-398. http://dx.doi.org/10.1097/SMJ.0b013e31825d9bef 

  2. Artinian, V., Krayem, H., & DiGiovine, B. (2006). Effects of early enteral feeding on the outcome of critically ill mechanically ventilated medical patients. Chest, 129(4), 960-967. 

  3. Cho, K. S., Kim, H. K., Park, S. O., Bae, Y. S., Hwang, O. N., Kwon, B. E., et al. (2014). Medical surgical nursing (6th ed.). Seoul: Hyunmoonsa. 

  4. Chulay, M., & Burns, S. M. (2012). AACE essentials of critical care nursing (Kim, N. Y., Kim, Y. H., Kim. E. A., Ryu, S. A., Park, S. J., Yang, J. J., et al. trans.). Seoul: Hyunmoon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5. Dhaliwal, R., Cahill, N., Lemieux, M., & Heyland, D. K. (2014). The Canadian critical care nutrition guidelines in 2013: An update on current recommenda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9(1), 29-43. http://dx.dor.org/10.1177/0884533613510948 

  6. Elpern, E. H., Stutz, L., Peterson, S., Gurka, D. P., & Skipper, A. (2004). Outcomes associated with enteral tube feeding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3), 221-227. 

  7. Kim, H., Shin, J. A., Shin, J. Y., & Cho, O. M. (2010). Adequacy of nutritional support and reasons for underfeeding in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sian Nursing Research, 4(2), 102-110. http://dx.doi.org/10.1016/S1976-1317(10)60010-2 

  8. Kim, H., Stotts, N. A., Froelicher, E. S., Engler, M. M., & Porter, C. (2012). Why patients in critical care do not receive adequate enteral nutri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ritical Care, 27(6), 702-713. http://dx.doi.org/10.1016/j.jcrc.2012.07.019 

  9. Kim, K. S., Choi, Y. K., Choi, W. H., Ahn, J. W., Kim, J. A., Park, S. M., et al. (2012).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nursing process for fluid intake/output and tube car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1), 13-28. 

  10. Kollef, M. H. (2004). Prevention of hospital-associated pneumonia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ritical Care Medicine, 32(6), 1396-1405. http://dx.doi.org/10.1097/01.ccm.0000128569.09113.fb 

  11.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7). Guidelines of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Seoul: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12. Law, M., Steward, D., Pollock, N., Letts, L., Bosch, J., & Westmoreland, M. (1998). Critical review form-Quantitative studies. Retrieved August 16, 2013 from http://www.srs-mcmaster.ca/Portals/20/pdf/ebp/quanreview_form1.doc 

  13. Lin, H. C., Van Citters, G. W. (1997). Stopping enteral feeding for arbitrary gastric residual volume may not be physiologically sound: Results of a computer simulation model.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1(5), 286-289. http://dx.doi.org/10.1177/0148607197021005286 

  14. Martin, C. M., Doiq, G. S., Heyland, D. K., Morrison, T., Sibbald, W. J., & Southwestern Ontraio Critical Care Research Network. (2004). Multicentre, cluster-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lgorithms for critical-care enteral and parenteral therapy (ACCEPT).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0(2), 197-204. http://dx.doi.org/10.1177/0115426504019003309 

  15. McClave, S. A., Luka, J. K., Stefater, J. A., Lowen, C. C., Looney, S. W., Matheson, P. J., et al., (2005). Poor validity of residual volumes as a marker for risk of aspir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33(2), 324-330. http://dx.doi.org/10.1097/01.ccm.0000153413.46627.3a 

  16. McClave, S. A., Martindale, R. G., Vanek, V. W., McCarthy, M., Roberts, R., Talyor, B., et al. (2009). Guidelines for the provision and assessment of nutrition support therapy in the adults critically ill patients: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 and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A.S.P.E.N.). Journal of Parenteral Enteral Nutrition, 33(3), 277-316. http://dx.doi.org/10.1177/0148607109335234 

  17. McClave, S. A., & Snider, H. L. (1992). Use of indirect calorimetry in clinical nutri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7(5), 207-221. http://dx.doi.org/10.1177/0115426592007005207 

  18. Mentec, H., Dopont, H., Bocchetti, M., Cani, P., Ponche, F., & Bleichner, G. (2001). Upper digestive intolerance during enteral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Frequency, risk factors, and complications. Critical Care Medicine, 29(10), 1955-1961. http://dx.doi.org/10.1097/00003246-200110000-00018 

  19. Metheny, N. A., Clouse, R. E., Chang, Y. H., Steward, B. J., Oliver, D. A., & Kollef, M. H. (2006). Tracheobronchial aspiration of gastric contents in critically ill tube-fed patients: Frequency, outcomes, and risk factors. Critical Care Medicine, 34(4), 1007-1015. http://dx.doi.org/10.1097/01.ccm.0000206106.65220.59 

  20. Metheny, N. A., Schallom, L., Oliver, D. A., & Clouse, R. E. (2008). Gastric residual volume and aspir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receiving gastric feeding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7(6), 512-519. 

  21. Montejo, J. C., Minambres, E., Bordeje, L., Mesejo, A., Acosta, J., Heras, A., et al., (2010). Gastric residual volume during enteral nutrition in ICU patients: The REGAME study. Intensive Care Medicine, 36(8), 1386-1393. http://dx.doi.org/10.1007/s00134-010-1856-y 

  22. Petros, S., & Engelmann, L. (2006). Enteral nutrition delivery and energy expenditure in medical intensive care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5(1), 51-59. http://dx.doi.org/10.1016/j.clnu.2005.08.013 

  23. Pinilla, J. C., Samphire, J., Arnold, C., Liu, L., & Thiessen, B. (2001). Comparison of gastrointestinal tolerance to two enteral feeding protocol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5(2), 81-86. http://dx.doi.org/10.1177/014860710102500281 

  24. Poulard, F., Dimet, J., Martin-Lefevre, L., Bontemps, F., Fiancette, M., Clementi, E., et al. (2010). Impact of not measuring residual gastric volume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receiving early enteral feeding: A prospective before-after study.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34(2), 125-130. http://dx.doi.org/10.1177/0148607109344745 

  25. Robert, S. R., Kennerly, D. A., Keane, D., & Geroge, C. (2003). Nutrition support in the intensive care unit: adequacy, timeliness, and outcomes. Critical Care Nurse, 23(6), 49-57. 

  26. Reignier, J., Mercier, E., Le Gouge, A., Boulain, T., Desachy, A., Bellec, F., et al. (2013). Effect of not monitoring residual gastric volume on risk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dul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early enteral fee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9(3), 249-256. http://dx.doi.org/10.1001/jama.2012.196377 

  27. Soroksky, A., Lorber, J., Klinowski, E., Ilgayev, E., Mizrachi, A., Miller, A., et al. (2010). A simplified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gastric residual volumes in critically ill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pilot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Israel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2(9), 543-548. 

  28. Terekeci, H., Kucukardali, Y., Top, C., Onem, Y., Celik, S., & Oktenli, C. (2009). Risk assessment study of the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4), 394-397. http://dx.doi.org/10.1016/j.ejim.2008.11.001 

  29. Yoo, S. Y., Kim, E. M., Cho, Y. Y., Ra, M. Y., Kim, J. Y., Jang, D. K., et al. (2010). Characteristics of ICU patients on enteral nutrition according to the gastric residual volume. Korean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3(1), 50-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