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간호사의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수행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Knowledge, and Practices of Enteral Nutri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4, 2016년, pp.383 - 392  

김현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  손은진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knowledge, and nursing practices regarding enteral nutrition.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87 nurse participants who worked in one of the eight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ICUs)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게다가 이러한 대상자에 따른 경관영양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중환자실에 서는 경관영양에 대한 문서화된 지침이 없이 주로 선임간호 사에 의한 도제형식의 교육이 이루어져 경관영양 공급방법이 병원마다 다르며, 심지어는 중환자실마다 다른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내과중환자실과 외과중환 자실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중환자간호사들의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이들이 수행하는 간호행위를 확인하고, 이 두 중환자실에서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각 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이 필요로 하는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러므로 환자에게 필요한 영양을 제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영양공급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지식을 가지고 환자에게 맞는 영양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내과중환자실과 외과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경관영양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경관영양과 관련된 간호행위를 파악함으로써, 중환자들에게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내과중환자실과 외과중환자실 간호사의 경관영양에 대한 인식, 지식, 간호행위를 파악하고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중환자실과 외과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이 성인 중환자에게 경관영양을 공급하는 것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지식 및 경관영양 관련 간호행위를 파악하고 비교 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본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간호사들에게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 및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간호사에 더하여 학부 및 대학원의 경관영양 교육에 연구의 결과를 환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영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부족으로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국외의 연구에서도 중환자들에게 경관영양을 공급하는 데 있어서의 장애요인 중 의사와 간호사들의 경관영양에 대한 지식과 인식의 부족, 환자의 영양 요구를 우선순위에 두지 않는것 등이 보고되고 있다[3]. 이러한 경관영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경관영양 공급과 관련된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임상에서 행해지는 간호사들의 경관영양 공급이 경관영양을 위해 권장되고 있는 지침과 차이가 발생하여, 중환자들의 영양 부족이라는 결과를 이끌게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4].
국내 중환자간호사들의 경관영양 공급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한가? 본 연구는 국내 중환자간호사들이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에 비해 지식은 낮은 편이었으며, 내과중환자실과 외과중환자실 간호사들 간에 전반적으로 큰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경관영양의 여러 면들 중 영양공급의 목표 설정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므로 영양요구량의 계산방법과 같은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영양공급의 목표 설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 확인한 위관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과 같은 오래 전에 배운 지식들에 대하여 최신의 정보로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24시간마다 영양공급 세트의 교환이나 비강 상태의 확인, 공급 중단 시 스케줄을 조정하는 것과 같이 잘 시행되고 있지 않은 간호행위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식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을 통한 중환자간호사의 경관영양에 대한 인식과 지식, 간호행위의 향상은 중환자들에게 필요한 영양을 제대로 공급함으로써 이들의 임상 결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간호사들이 환자의 영양공급에 대해 인식과 행위는 어떠한가? 그러므로 경관영양 공급을 위한 역할과 책임에 대한 간호사의 높은 인식은 영양공급 기술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간호사들은 환자들에게 적절한 영양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에 대한 지식과 간호행위는 부족하였으며, 간호사들의 영양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그들로 하여금 영양공급 간호행위를 시행하지 않게 하는 원인이라고 하였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hill NE, Narasimhan S, Dhaliwal R, Heyland DK. Attitudes and beliefs related to the Canadian critical care nutrition practice guidelines: An international survey of critical care physicians and dietitian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0;34(6):685-696. http://dx.doi.org/10.1177/0148607110361908 

  2. Kim H, Stotts NA, Froelicher ES, Engler MM, Porter C. Why patients in critical care do not receive adequate enteral nutri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ritical Care. 2012;27(6):702-713. http://dx.doi.org/10.1016/j.jcrc.2012.07.019 

  3. O'Leary-Kelley CM, Puntillo KA, Barr J, Stotts N, Douglas MK. Nutritional adequacy in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who are fed enterall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5;14(3):222-231. 

  4. Persenius MW, Hall-Lord ML, Baath C, Larsson BW.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of patients' nutritional status: Perceptions of registered nurses and their chief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16):2125-213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02.x 

  5. Christensson L, Unosson M, Bachrach-Lindstrom M, Ek AC. Attitudes of nursing staff towards nutritional nursing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3;17(3):223-231. 

  6. Bachrach-Lindstrom M, Jensen S, Lundin R, Christensson L. Attitudes of nursing staff working with older people towards nutritional nursing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11):2007-201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868.x 

  7. Kim H, Choue R. Nurses' positive attitudes to nutritional management but limited knowledge of nutritional assessment in Korea.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56(3):333-339.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9.00717.x 

  8. Yoon SH, Kim SJ, Oh EK. Healthcare professional's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early enteral nutrition for critically ill patients.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Medicine. 2012;27(1):36-44. http://dx.doi.org/10.4266/kjccm.2012.27.1.36 

  9. McClave SA, Martindale RG, Vanek VW, McCarthy M, Roberts P, Taylor B, et al. Guidelines for the provision and assessment of nutrition support therapy in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Society of critical caremedicine (SCCM) and American society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A.S.P.E.N).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9;33(3):277-316. http://dx.doi.org/10.1177/0148607109335234 

  10. Kreymann KG, Berger MM, Deutz NE, Hiesmayr M, Jolliet P, Kazandjiev G, et al. ESPEN guidelines on enteral nutrition: Intensive care. Clinical Nutrition. 2006;25(2):210-223. 

  11. Woien H, Bjork IT. Nutrition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and effects of implementing a nutritional support algorithmin ICU.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2):168-17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262.x 

  12. Al Kalaldeh M, Watson R, Hayter M. Jordanian nurses'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for enteral nutrition in the critically ill. Nursing in Critical Care. 2015;20(5):229-241. http://dx.doi.org/10.1111/nicc.12065 

  13. Weston MJ. Strategies for enhancing autonomy and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2010;15(1). http://dx.doi.org/10.3912/OJIN.Vol15No01Man02 

  14. Georgiou E, Papathanassoglou E, Pavlakis A.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nd associations with perceived autonomy in Cypriot critical care nurses. Nursing in Critical Care. 2015. Forthcoming. http://dx.doi.org/10.1111/nicc.12126 

  15. Lane C, Wedlake LJ, Dougherty L, Shaw C. Attitudes towards and knowledge of nutrition support amongst health care professionals on Londo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2014;27(Suppl 2):339-351. http://dx.doi.org/10.1111/jhn.12152 

  16. Mowe M, Bosaeus I, Rasmussen HH, Kondrup J, Unosson M, Rothenberg E, et al. Insufficient nutritional knowledge among health care workers? Clinical Nutrition. 2008;27(2):196-202. http://dx.doi.org/10.1016/j.clnu.2007.10.014 

  17. Gupta B, Agrawal P, Soni KD, Yadav V, Dhakal R, Khurana S, et al. Enteral nutrition practic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Understanding of nursing practices and perspectives. Journal of Anaesthesiology Clinical Pharmacology. 2012;28(1):41-44. http://dx.doi.org/10.4103/0970-9185.92433 

  18.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Enteral feeding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6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guide.php 

  19. Bourgault AM, Ipe L, Weaver J, Swartz S, O'Dea PJ.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guidelines and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enteral feeding. Critical Care Nurse. 2007;27(4):17-29. 

  20. Ahmad S, Le V, Kaitha S, Morton J, Ali T. Nasogastric tube feedings and gastric residual volume: A regional survey. Southern Medical Journal. 2012;105(8):394-398. http://dx.doi.org/10.1097/SMJ.0b013e31825d9bef 

  21. Mathus-Vliegen EM, Bredius MW, Binnekade JM. Analysis of sites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an enteral feeding system.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6;30(6):519-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