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정보서비스 관점에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법제화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visions in Line with the Free Use of Public Works in the Aspec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4 no.4, 2014년, pp.177 - 198  

정경희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초록

본 연구는 2013년 12월 "저작권법"에 도입된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규정의 의미와 세부사항을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공공저작물 자유이용규정이 적용되는 기관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기록관리법 적용기관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생산한 업무상저작물 대다수가 미공표기록임에도 불구하고 자유이용 공공저작물이 되기 위해 공표를 요건으로 하는 것은 대상 저작물의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급 학교의 업무상저작물을 자유이용 범위에 포함시키고, 공표 요건을 공개요건으로 변경하는 법개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기록관리기준표나 현용 및 준현용기록의 메타데이터 표준에 저작권 관리 항목을 추가하여 기록물 등록과 동시에 저작권 정보를 관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s and other details of the provisions in line with the free use of public works introduced through the Copyright Act of Korea in Dec. 2013 in the aspec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indicated th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not all institutions shall follow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규정이 『저작권법』 에 도입되기 이전에 공공저작물 이용과 관련된 규정으로는 어떠한 규정들이 있는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규정이 『저작권법』 에 도입되기 이전에 공공저작물 이용과 관련한 규정으로 『저작권법』 제7조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과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0-41호)을 들 수 있다. 우선 『저작권법』 제7조는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5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는바, 첫째는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둘째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셋째는 법원의 판결․ 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넷째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다섯째는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가 그것이다.
저작권법 제 24조의 2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규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지난해 말 도입된 후 올해 7월부터 시행된 『저작권법』 제 24조의 2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규정은 이러한 공공정보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 개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규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생산한 저작물중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이용허락을 하는 제도이다.
기록관리 분야에서 정보서비스라는 용어는 주로 무엇을 염두에 두고 사용되는가? 기록관리 분야에서 정보서비스라는 용어는 주로 영구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기록을 소장하고 있는 보존기록관에서의 서비스를 염두에 두고 사용된다. 기록정보서비스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Pugh(2005)의 저서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 Manuscripts나 Cohen(1997)의 저서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는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모두 보존기록관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저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태영 (2010). 정부저작물의 공정이용에 대한 타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법무전공.(Kim, Tae-Young (2010). The feasibility study on the fair use of government publication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2. 김현경 (2013). 공공저작물의 활용을 위한 입법론적 고찰. 성균관법학, 25(1), 195-226.(Kim, Hyun-Kyung (2013). Legal issue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opyrights in government works. SungKyunKwan Law Review, 25(1), 195-226.) 

  3. 김효기 (2010).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Kim, Hyo-Gi (2010). A study on improving copyright system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4. 문효주 (2009). 정보공개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록물 접근성 확충 방안: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Moon, HyoJoo (2009). A study on the method to expand the access to official documents for activ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focused on the case of Swede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5. 배대헌 (2011). 공공정보, 公益에서 公有(public domain)로 옷을 갈아입다: 공공정보의 활용을 위한 저작물 公有 문제 검토. IT와 法연구, 5, 1-31.(Bae, Dae-Heon (2011). Public sector information dressed in the public domain: focused on the public domain of the PSI. IT & Law Review, 5, 1-31.) 

  6. 시귀선 (2009). 공공기록물의 이용과 저작권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59-188.(Si, Kwi-Sun (2009). A study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opyrights in public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59-188.) 

  7. 시귀선 (2011). 공공기록물의 저작권과 이용 증진.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Si, Kwi-Sun (2011). The public record's copyright and fair use promotions. Seoul: RIKAR.) 

  8. 오승종 (2012). 저작권법. 제2판. 서울: 박영사.(Oh, Seung-Jong (2012). Copyright law. 2nd ed. Seoul: Bakyoungsa.) 

  9.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63-179.) 

  10. 이헌묵 (2011).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의 자유이용허락에 관한 법제도 연구.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5(1), 49-73.(Lee, Hun Mook (2011). A study on the open license of the copyrighted works owned by the public sector institutions. Culture, Media, and Entertainment Law, 5(1), 49-73.) 

  11. 정경희 (2007).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문제 연구: 정부저작물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4(1), 165-186.(Joung, Kyounghee (2007). A study on copyright problems for promo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cused on government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1), 165-186.) 

  12. 최영열 (2012). 공공기록물의 저작권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기록물관리학전공.(Choi, Young-Yeol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pyright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record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13.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Glossary of archival studies. Seoul: The Institute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14. 허선 (2008). 공공기록물의 접근권 보장 방안 연구: 저작권과 관련하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기록관리학 전공.(Heo, Sun (2008). A study on measures to guarantee the access right to public records: on the copyright.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홍재현 (2013). 공공저작물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제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315-343.(Hong, Jae-Hyun (2013). The study on copyright limitations for activation of use of public work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315-343.) 

  16. Cohen, Laura B. (1997).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NY: Routledge. 

  17. Dearstyne, Bruce W. (2000). Managing historical records programs. Oxford: Altamira Press. 

  18. Kahle, Brewster (2001). Public access to digital material. D-Lib Magazine 7(10). Retrieved July 15, 2014, from http://www.dlib.org/dlib/october01/kahle/10kahle.html 

  19. Malakoff, David & Bachtold, Daniel (2003). Who owns, Who pays? U.K., U.S. offer answers for journals. Science 301. Retrieved Aug. 15, 2014, from http://astro.berkeley.edu/-kalas/ethics/documents/intellectual_property/29a.pdf 

  20. Mann, Roger (2000). New aspects of the right of reproduction and the use of archives in Germany. European Intellectual Property Review, 22(2), 93-95. 

  21. Padfield, Tim (2005). Copyright for archivists and users of archives. (2nd Ed.) London: Facet publishing. 

  22. Pugh, Mary Jo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 manuscripts. SAA. Archival Fundamental Series II. 

  23.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Retrieved Oct. 10, 2014, from http://www2.archivists.org/glossary 

  24.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844호, 2014.11.19] 

  25.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844호, 2014.11.19] 

  26.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844호, 2014.11.19] 

  27. 저작권법 [법률 제12137호, 2013.12.30] 

  28. 저작권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5697호, 2014.11.4] 

  29. 콘텐츠산업진흥법 [법률 제12844호, 2014.11.19] 

  30.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0-41호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31.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3-7호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32. 국가기록원 (201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NAK/S 14:2011(v2.0) 

  33.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K/S 8:2012(v2.0) 

  34. 문화체육관광부 (2014).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업무처리요령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