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델파이 조사 및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전통지식 우선순위 선정
Selecting order of priority using Delphi and statistical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6, 2014년, pp.1161 - 1170  

최경호 (전주대학교 기초의과학과) ,  김현 (전주대학교 대체의학과) ,  송미장 (전주대학교 생명자원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 경쟁에서는 전통지식, 전통문화표현물, 유전자원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의 지식재산이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 브랜드, 디자인 등 지식재산의 총체적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이후 발효예정인 나고야의 정서에 의해 향후 다양하게 파생될 이익 공유 문제와 지적재산권 분쟁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 문헌 전통지식 2,047건과 구전 전통지식 931건을 대상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200건의 전통지식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방법인 델파이 (Delphi) 조사를 활용하여 우선순위 상위 50건의 전통지식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50건 중 문헌 전통지식은 30건, 구전 전통지식은 20건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커스그룹인터뷰 등과 같은 질적 조사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선정된 전통지식은 향후 유효 공표 (특허를 위한 선행성 확보)를 통하여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우리나라 생물 전통지식의 자산 확보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등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lobal competition like today, intellectual property of novel areas such as traditional knowledge, traditional creation, hereditary resource, etc. are perceived as important resources. Therefore making solid competitive power in overall knowledge resources like cultural contents, brand, design e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구전 전통지식과 문헌 전통지식을 통합하여 우선순위를 정함에 있어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통계적으로 입증된 선정절차나 방법이 아직까지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방법을 이용하여 전통지식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을 t-검정 등의 통계적 분석과 함께 보이고자 한다. 조사지역은 중부지방으로 한 바,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통지식에 대한 실용성과 활용성에 대한 평가모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선발된 우리나라 전통지식들이 국제 사회에 유효 공표되면 나고야의 정서에 의해 향후 다양하게 파생될 이익 공유 문제와 지적재산권 분쟁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Kim과 Song, 2011a).
  • 문헌 전통지식 100건과 구전 전통지식 100건을 합친 총 200건의 전통지식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순위 상위 50건의 전통지식을 선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Figure 3.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는 전통지식의 공유와 산업화를 위한 활용 가능한 전통지식을 선별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즉,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비하여 지역사회의 생물 전통지식 재산권 확보와 실용화가 절실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문헌 및 구전전통지식의 우선순위 선정을 실시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는 전통지식의 공유와 산업화를 위한 활용 가능한 전통지식을 선별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즉,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비하여 지역사회의 생물 전통지식 재산권 확보와 실용화가 절실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문헌 및 구전전통지식의 우선순위 선정을 실시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얼굴을 맞대고 토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집단의 합의가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관계된 사람들이 모여서 대표자로 구성된 협의회를 통하여 토의를 하게 된다. 협의회와 같이 얼굴을 맞대고 토의하는 과정에는 ① 소수의 의견이 무시되는 다수의 횡포, ② 권위 있는 어느 한 사람의 발언의 여향, ③ 사전조율에 의한 집단 역학의 약점, ④ 한번 취한 입장의 고수 등 심리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가 작용하게 된다. 델파이 방법은 토론집단이 복합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토론자 사이에 의사소통 과정을 구조화한다.
구전 전통지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이 있는가? 유전자원의 전통지식 (traditional knowledge; TK)은 지역사회에 자생하고 있는 유전자원과 관련하여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통 문화가 배태된 것이다. 이러한 구전 전통지식으로부터 우리는 의·약학적 자료, 생태학적 자료, 인류학적 자료, 언어학적 자료, 경제학적 자료 그리고 생물학적 자료 등과 같은 수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의 다양한 활용을 토대로 생물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개발도상국에 있어서는 오늘날까지도 일차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식물성 약재를 이용하고 있는 것 (Chaudhury, 1992; Poonam과 Singh, 2009)과 같이, 아직도 식물은 중요한 치료약재의 원천이고 전통문화가 계승되고 있는 인종과 종족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델파이 (Delphi) 조사 방법은 추정하려는 문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때, 어디에 근거를 두는가? 델파이 (Delphi) 조사 방법은 예측하려는 문제점에 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이다. 이 방법은 추정하려는 문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때는 ‘두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정확하다’는 계량적 객관의 원리와 ‘다수의 판단이 소수의 판단보다 정확하다’는 민주적 의사결정의 원리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집단의 합의가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관계된 사람들이 모여서 대표자로 구성된 협의회를 통하여 토의를 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K. Y., Park, J. H., Kim, J. S. and Lee, Y. S. (2013). Analysis of the abstracts of research articles in food related to climate change using a text-mining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429-1437. 

  2. Bubela, T. and Gold, E. R. (2012).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Edward Elgar Publishing Inc., Northampton, MA, USA. 

  3. Chaudhury, R. (1992). Herbal medicine for huma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New Delhi. 

  4. Choi, K., Song, M. J. and Kim, H. (2014). Selecting order of literal and orally transmitted traditional knowledge in Korea middle region. Journal of Natural Science, 24, 67-74. 

  5. Cotton, C. M. (1996). Ethnobotan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hn Wieley & Sons Inc., London, UK. 

  6. Etkin, N. and Johns, T. J. (1998). Pharmafoods and nutraceuticals paradigm shifts in biotherapeutics. In Plants for Food and Medicine, edited by H. D. V. Prendergast, N. I. Etkin, D. R. Harris and P. J. Houghton, Royal Botanic Gardens, Kew, 3-16. 

  7. Giday, M., Asfaw, Z. and Woldu, Z. (2009). Medicinal plants of the Meinit ethnic g roup o f Ethiopia: An ethnobotanical stud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4, 513-521. 

  8. Halberstein, R. A. (1997). Traditional botanical remedies on a small Caribbean Island: Middle (Grand) Caicos, West Indie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3, 227-239. 

  9. Hoareau, L. and DaSilva, E. J. (1999). Medicinal plants: A re-emerging health aid. Journal of Biotechnology, 2, 56-70. 

  10. Kim, H. and Song, M. J. (2008). Ethnobotany, World Science Co., Seoul, Korea. 

  11. Kim, H. and Song, M. J. (2011a). Analysis and recordings of orally transmitted knowledge about medicinal plants in the southern mountainous region of Kore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4, 676-696. 

  12. Kim, H. and Song, M. J. (2011b). Oral traditional knowledge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system diseases investigated in North Jeolla Province, Korea. Journal of Medicinal Plant Research, 5, 5730-5740. 

  13. Kim, H. and Song, M. J. (2011c). Benefit-sharing and industrialization for traditional knowledge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Prevention of Nagoya Protocol, World Science Co., Seoul. 

  14. Kim, H. and Song, M. J. (2012). Traditional plant-based practices for respiratory diseases found in North Jeolla Province, Korea.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8, 287-293. 

  15. Kim, H. and Song, M. J. (2013a). Analysis of traditional knowledge about medicinal plants utilized in communities of Jiri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3, 85-89. 

  16. Kim, H. and Song, M. J. (2013b). Oral traditional plant-based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pain relief recorded in North Jeolla province, Korea. Indian Journal of Traditional Knowledge, 12, 573-584. 

  17. Kim, H. and Song, M. J. (2013c). Ethnozoological study of medicinal animals o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46, 75-82. 

  18. Kim H., Song, M. J. and Potter, D. (2006). Medicinal efficacy of plants utilized as temple food in traditional Korean buddhism.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4, 32-46. 

  19. Kim, M. H., Ahn, Y. S., Park, D. B., Ahn, O. S. and Shin, D. I. (2007). Assess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on crops and its characteristics for practical us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History, 6, 1-47. 

  20. Lee, C., Kang, H. and Sim, S. (2012). An implementation of the sample size and the power for testing mean and propor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53-61. 

  21. Lee, H. Y. (2012). Survey research methodology, Chung-Ram Press, Seoul. 

  22. Lee, J. S. (2001). Delphi method, Kyoyookbook Press, Seoul.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ABS guidebook,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24. Moerman, D. E. (2004). Native American Ethnobotany, Timber Press, Inc., Hong Kong. 

  25. Nagoya Protocol (2010).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Nagoya Protocol, Nagoya. 

  26. Neves, J. M., Matos, C., Moutinho, C., Queiroz, G. and Gomes, L. R. (2009). Ethnopharmacological notes about ancient uses of medicinal plant in Tras-os-Montes (northern of Portug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4, 270-283. 

  27. Poonam, K. and Singh, G. S. (2009). Ethnobotanical study of medicinal plants used by the Taungya community in Terai Arc Landscape, Indi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3, 167-176. 

  28. Rahmatullah, M., Mollik, A. H., Rahman, S., Hasan, N., Agarwala, B. and Jahan, R. (2010). A medicinal plant study of the Santal tribe in Rangpur district, Bangladesh.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6, 419-425. 

  29. Song, M. J. and Kim, H. (2011). Ethnomedicinal application of plants in the western plain region of North Jeolla Province in Kore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7, 167-175. 

  30. Tangjitman, K., Wongsawad, C., Winijchaiyanan, P., Sukkho, T., Kamwong, K., Pongamornkul, W. and Trisonthi, C. (2013). Traditional knowledge on medicinal plant of Karen in northern Thailand: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0, 232-243. 

  31. Teklehaymanot, T. (2009). Ethnobotanical study of knowledge and medicinal plants use by the people in Dek Island in Ethiopi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4, 69-78. 

  32. Tene, V., Malagon, O., Finzi, P. V., Vidari, G., Armijos, C. and Zaragoza, T. (2007). An ethnobotanical survey of medicinal plants used in Loja and Zamora-Chinchipe, Ecuador.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1, 63-81. 

  33. Ugulu, I., Baslar, S., Yorek, N. and Dogan, Y. (2009). The investigation and quantitative ethnobotanical evaluation of medicinal plants used around Izmir province, Turkey. Journal of Medicinal Planta Research, 3, 345-3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