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3, 2014년, pp.258 - 273
조진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남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for Korean adults, and unify the terms related to dietary habits. Methods: The Delphi method by 43 professionals on dietary habit research was applied to unify the terms. Results: With regard to results 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내용 타당도는 무엇인가? | 한편,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내용 타당도, 준거 타당도, 구인 타당도 등이 있는데, 내용 타당도의 경우 표집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어떤 수량적 지수가 없을 때 객관적 근거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주관적인 타당도 측정 방법이다(Seong 2002). 델파이 연구방법은 내용 타당도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한 가지로서, 정리된 자료가 별로 없고 통계모형을 통한 분석을 하기 어려울 때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구하고 종합적인 방향을 전망해 보는 기법이다(Lee 2001). | |
만성 질환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 특히 성인기는 인생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인 동시에, 만성 질환의 발생이 두드러지는 시기이다(Chang 등 2011). 만성 질환의 발병 원인 중 60% 이상이 먹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치 않은 식습관으로서 불규칙한 식사, 에너지 과잉 섭취,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의 과잉 섭취, 복합당질 및 식이섬유의 섭취 감소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 |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한편,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내용 타당도, 준거 타당도, 구인 타당도 등이 있는데, 내용 타당도의 경우 표집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어떤 수량적 지수가 없을 때 객관적 근거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주관적인 타당도 측정 방법이다(Seong 2002). 델파이 연구방법은 내용 타당도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한 가지로서, 정리된 자료가 별로 없고 통계모형을 통한 분석을 하기 어려울 때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구하고 종합적인 방향을 전망해 보는 기법이다(Lee 2001). |
Chang NS, Lee YS, Lim HS, Ahn HS (2011):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Kyomunsa, Paju, pp. 309-312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 Psychol Meas 20(1): 37-46
Im SJ (2011): Dietary habit and vegetables Intake of certain adults women with irregular meal time. Dissertation, Keimyng University, pp. 42-54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Hawoo, Seoul, pp. 175-186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The statistics of chronic disease.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cited January 13, 2014]
Kwon DH (2008): Education evaluation. Hakjisa, Seoul, pp. 17-38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28(4): 563-575
Lee HJ, Lee HS, Ha MJ, Kye SH, Kim CI, Lee CW, Yoon JS (1997):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adults in large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3): 349-365
Lee JS (2001): Delphi method. Kyoyookbook, Paju, pp. 7-49
Lee JY, Ahn HS, Kim YS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calcium intak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1(1): 8-17
Lee YM, Lee MS, Lee MJ, Kim JH, Chung HY (2013):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Yangseowon, Paju, pp. 283-287
Park DS (2007): Education evaluation. Kyoyookbook, Paju, pp. 8-23
Seong T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Hakjisa, Seoul, pp. 36-18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