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암환자의 신체 증상들과 정신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경제적 돌봄 요구도
Physical Symptoms and Psychiatric, Social, Spiritual and Economical Care Needs of Patients under Home-based Cancer Servic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16 - 222  

강명희 (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문영실 (진주시보건소) ,  이영준 (경상대학교병원 외과) ,  강윤식 (경상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  김훈구 (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이경원 (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이원섭 (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강정훈 (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국내에서 재가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암환자들의 증상정도와 돌봄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진주시 재가암 서비스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은 보건소에 소속된 간호사들이 시행하였다. 증상의 평가를 위해 Edmontone Symptome Assessment System (ESAS)와 Numeric Rating Scale (NRS)가 사용되었으며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도의 평가를 위해 4점 Likert scale이 사용되었다. 결과: 2013년 10월에 단면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9명이 등록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5세였다(범위 17~89세). 대다수의 환자들이 초기에 진단 받았으며(n=188), 19명만이 진행된 병기였다. 절반 이상의 환자들이 혼자 거주하고 있었으며(n=115, 55%), 다른 보호자가 없이 스스로 돌보고 있었다(n=128, 61.2%). 식욕부진과 피로가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NRS 중앙값 각각 5, 4). 환자들은 경제적 문제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반면 영적인 돌봄이 가장 적게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n=138 [67.3%] vs. n=128 [62.1%]). 결론: 이 자료는 진주시 재가암환자들이 신체적 증상과 경제적 문제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ymptoms and care need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in Korea and to add to the scarce literature on this top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subscribed to home-based cancer care services in Jinju.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n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남지역 암센터의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환자들의 육체적, 심리적, 영적인 고통(Suffering)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원하는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체 증상 평가 및 경제적 지원, 영적 지원, 가족 간의 관계 개선 요구도를 평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경남지역 암센터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사용하는 환자 평가 시스템을 재가암환자들에게 적용하여서 그들의 고통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가암 관리사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 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대시키고, 환자 간호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1999년부터 국가암관리사업의 일환으로써 재가암 관리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1). 이재가암 관리사업은 암환자를 상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요구도에 따라 증상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요법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서적, 영적 지지,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상담, 교육, 정보 제공 등의 포괄적인 돌봄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국내 재가암 사업의 실제는 암환자들의 개별적인 상태와 분야별 요구도를 평가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보다는, 개별 담당자가 방문하여 기저귀나 물티슈와 같은 단순 물품 제공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만을 반복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3).
재가암 관리사업의 시행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 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대시키고, 환자 간호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1999년부터 국가암관리사업의 일환으로써 재가암 관리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1). 이재가암 관리사업은 암환자를 상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요구도에 따라 증상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요법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서적, 영적 지지,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상담, 교육, 정보 제공 등의 포괄적인 돌봄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환자들이 실제 어떠한 증상을 힘들어 하는지, 현재의 서비스 외어 다른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재가암 관리사업은 암환자를 상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요구도에 따라 증상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요법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서적, 영적 지지,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상담, 교육, 정보 제공 등의 포괄적인 돌봄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국내 재가암 사업의 실제는 암환자들의 개별적인 상태와 분야별 요구도를 평가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보다는, 개별 담당자가 방문하여 기저귀나 물티슈와 같은 단순 물품 제공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만을 반복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3). 때문에 환자들이 실제 어떠한 증상을 힘들어 하는지, 현재의 서비스 외에 다른 정신적, 사회적, 영적 또는 경제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조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Guidlines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Seoul;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p. 6-13. 

  2. Huh JS, Kim HJ. Current statu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76-80. 

  3. Cho H, Son JY, Heo JD, Jin EH. A study on demand and the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95-201. 

  4. Cella D, Davis K, Breitbart W, Curt G; Fatigue Coalition. Cancer-related fatigue: prevalence of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in a United States sample of cancer survivors. J Clin Oncol 2001; 19:3385-91. 

  5. Kim TS, Yang BG, Jeong EK, Park NR, Lee YS, Lee YS, et al. Need assessment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9;2:36-45. 

  6. Park CH, Shin DW, Choi JY, Kang J, Baek YJ, Mo HN, et al. Determinants of the burden and positivity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Korea. Psychooncology 2012;21: 282-90. 

  7. Park JS, Oh YJ.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594-605. 

  8. Lee Hs, Park SH, Chung YS, Lee B, Kown SH.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collaboration between a hospice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216-24. 

  9. Bruera E, Kuehn N, Miller MJ, Selmser P, Macmillan K.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a simp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lliative care patients. J Palliat Care 1991; 7:6-9. 

  10. Kwon JH, Nam SH, Koh S, Hong YS, Lee KH, Shin SW, et al. Validation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in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3;46:947-56. 

  11. Carvajal A, Hribernik N, Duarte E, Sanz-Rubiales A, Centeno C. The Spanish version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revised (ESAS-r): first psychometric analysis involving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3;45: 129-36. 

  12. Monteiro Dda R, Almeida Mde A, Kruse MH.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for use in Palliative Care. Rev Gaucha Enferm 2013;34: 163-71. 

  13. Richardson LA, Jones GW. A review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Curr Oncol 2009; 16:55. 

  14. Jacobsen PB, Donovan KA, Small BJ, Jim HS, Munster PN, Andrykowski MA. Fatigue after treatment for early stage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Cancer 2007;110:1851-9. 

  15. Choi J, Kong K, Mozaffar T, Holcombe RF. Delayed oxaliplatinassociated neurotoxicity following adjuvant chemotherapy for stage III colon cancer. Anticancer Drugs 2006;17:103-5. 

  16. Heedman PA, Strang P. Symptom assessment in advanced palliative home care for cancer patients using the ESAS: clinical aspects. Anticancer Res 2001;21(6A):4077-82. 

  17. Tsai JS, Wu CH, Chiu TY, Chen CY. Significance of symptom clustering in palliative care of advanced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10;39:655-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