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말기 환자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의료인의 인식 유형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78 - 288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균무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의료가 복잡하고 전문화된 최근에는 의료학문간 소통과 융합이 강조되고 있다. 병원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분야의 협동 체계를 통한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말기 환자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Q 방법론을 적용하여 35개의 Q 진술문을 9점 척도의 정규분포로 39명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결정형, 의사결정형, 의료인 공유결정형, 환자 가족 결정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동의한 항목은 충분한 설명과 치료과정의 공유, 교육 등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으로 생각한 항목은 치료에 법적 측면을 고려에 대한 내용이었다. 제1유형은 환자의 요구와 가치관을 존중하는 환자중심의 의사결정 방식을, 제2유형은 의사가 결정을 내리고 환자가 이를 따르는 방식을, 제3유형은 의료인 상호간의 협력적인 의사 공유를, 제4유형은 의료인뿐 아니라 가족 참여의 의사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결론: 의료인 간의 생각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반인과도 의견의 차이를 보여준다. 의사결정에 대한 의견의 공유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by health professionals in a decision making position. Methods: The Q-methodology was used. Q sample was constructed with a total of 35 Q-statements that were offered with a 9-point rating scale. The state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은 의료적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의료인들의 태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4).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 에 대한 의료인의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특성과 구조를 파악하여 공유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은 환자 결정형, 의사 결정형, 의료인-공유 결정형, 환자-가족 결정형으로 명명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작용하여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의료인의 태도,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임상에 적용하고자 함이다. 이에 저자들은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화하고 태도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하고자 한다.
  •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견해는 사람마다 다른 개인적인 인식이므로 본 연구는 주관성연구를 시행하였고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료인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용어의 뉘앙스와 의미에 차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연구대상자의 문화적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9).
  • 병원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분야의 협동 체계를 통한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말기 환자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작용하여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의료인의 태도,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임상에 적용하고자 함이다. 이에 저자들은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화하고 태도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들어 한국사회의 발전으로 의료행위에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의 발전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중요시되고 의료행위에서도 환자 중심의 자율적 의사결정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병원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전문 분야의 협동 체계를 통한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전문화되어 가는 의료상황에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전문화되어 가는 의료상황에서 의료학문간 소통과 융합이 강조되고 있다. 말기의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의료인의 역할에 대해 과거의 연구에서는 지지와 안내를 통해 환자가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도록 격려하는데 있다고 하였고, 다른 연구에서는 정보제공과 옹호자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였다(1,2).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보살피는 간호사와 진단과 처치에 대하여 판단을 내리는 의사는 병원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협동적 관계로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최근 들어 한국사회의 발전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중요시되고 의료행위에서도 환자 중심의 자율적 의사결정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병원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전문 분야의 협동 체계를 통한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보살피는 간호사와 진단과 처치에 대하여 판단을 내리는 의사는 병원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협동적 관계로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rank RK. Shared decision making and its role in end of life care. Br J Nurs 2009;18:612-8. 

  2. Briggs L, Colvin E. The nurse's role in end-of-life decision-making for patients and families. Geriatr Nurs 2002;23:302-10. 

  3. Lee SM, Kim SY, Lee HS. The process of medical decisionmaking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Med Ethics 2009;12:1-14. 

  4. Jo K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hared medical decisionmaking scale for end-of-life patient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12;42:453-65. 

  5. Groselj U, Orazem M, Kanic M, Vidmar G, Grosek S. Experiences of slovene ICU physicians with end-of-life decision making: a nation-wide survey. Med Sci Monit 2014;21:2007-12. 

  6. Obeidat RF, Homish GG, Lally RM. Shared decision making among individuals with cancer in non-Western cultures: a literature review. Oncol Nurs Forum 2013;40:454-63. 

  7. Jo KH, An GJ, Kim GM. Future changes and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medical decision-making system in Korea: focused on delphi surveys. Korean J Med Ethics 2011;14:131-44. 

  8. Byun EK, Choi HR, Choi AL, Kim NM, Hong KH, Kim HS.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on terminating life support. Clin Nurs Res 2003;9:112-24. 

  9. Corless IB, Nicholas PK, Nokes KM. Issues in cross-cultural quality-of-life research. J Nurs Scholarsh 2001;33:15-20. 

  10. Kim HG. Understanding of Q methodology for subjectivity Research. The Seoul J of Nursing 1992;6:1-11. 

  11. Johnston B, Smith LN.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expert palliative nursing care. J Adv Nurs 2006;54:700-9. 

  12. Hilden HM, Honkasalo ML. Finnish nurses' interpretations of patient autonomy in the context of end of life decision making. Nurs Ethics 2006;13:41-51. 

  13. Jo KH. Nurse's conflict experience toward end-of-life medical decision-making.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488-98. 

  14. Edwards A, Elwyn G. Inside the black box of shared decision making: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ocess of involvement and who makes the decision. Health Expect 2006;9:307-20. 

  15. Reeves S, Freeth D, Glen S, Leiba T, Berridge EJ, Herzberg J. Delivering practice-bas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o community mental health teams: Understanding some key lessons. Nurs Educ Pract 2006;6:246-53. 

  16. Suh WS, Lee CK. Impact of shared-decision making on patient satisfaction.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26-34. 

  17. Cassanova J, Day K, Dorpat D, Hendricks B, Theis L, Wiesman S. Nurse-physician work relations and role expectations. J Nurs Adm 2007;37:68-70. 

  18. Jo KH, An GJ, Kim GM, Kim YJ. Predictive factors for city Dwellers' attitudes toward death with dignit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93-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