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종 패모(貝母)의 기원별 자연·약재상태 감별
Identification of 11 species of Paemo through each original plant and medicine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9 no.6, 2014년, pp.133 - 140  

이승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연구본부)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Paemo is a phlegm-resolving drug with cold properties and classified 5 kinds which come from 11 species of original plant. All the more,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 20 species of original plant were used. As a natural result, these are easily to confuse and there are a lot of cou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수록된 20여종의 패모류중, 중국 및 한국약재시장에서 유통되는 패모류 11종을 대상으로 자연상태와 약재상태로 구분하여 각각의 검색기준Key를 작성하고자 계획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통되어지는 전체 11종의 貝母종류의 혼란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현지 확인을 거친 자연상태 확인과 유통약재와의 비교등을 통하여, 자연상태와 약재상태의 구분점을 확인하고, 이를 분류동정하기 위한 검색key를 제시함으로써 이어지는 후속연구의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貝母 이름의 유래는? 貝母는 약용부위인 땅밑의 비늘줄기(鱗莖) 모습이 조개모양(形似聚貝子)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神農本草經의 中品에 수록된 이래 대표적인 祛痰藥으로서, 本草綱目拾遺에서 川貝母와 浙貝母로 효능 및 종류를 구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川貝母 5種의 자연상태는 잎의크기, 葉狀苞片의 개수, 꽃색깔에서 어떻게 구분되어 지는가? 川貝母 5種의 자연상태는 잎의 크기, 葉狀苞片의 개수, 꽃색깔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잎의 크기에서 棱砂貝母 F. delavayi는 기타 4종에 비해 특징적으로 잎이 넓어서(너비 1∼3㎝)10,11,16) 구분되었고, 葉狀苞片에서 3枚(川貝母 F. cirrhosa)와 1枚(暗紫貝母F. unibracteata와 甘肅貝母 F. przewalskii)로 구분되었다10∼13,16). 꽃색깔에서는 深紫色으로 黃褐色 小方格10∼13,16)(暗紫貝母 F. unibracteata)과 黃色으로 淡(黑)紫色斑點9∼13,16)(甘肅貝母 F. przewalskii), 黃綠色으로 紫色반점9)(太白貝母 F. taipaiensis)으로 구분되었다.
貝母는 무엇인가? 貝母는 대표적인 淸化熱痰藥으로서, 공정서인 대한민국약전제 10개정(KP, 2010.)에 기재된 川貝母와 浙貝母 외에도 중화인민공화국약전(중국약전, Ch.P, 2010. 중국)에서는 平貝母, 湖北貝母, 伊貝母, 土貝母로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각 종류에 따른 기원 종을 모두 포괄하면 11종에 이르며, 이 외에도 문헌에 기록된 기타 동속근연종을 모두 포괄하면 20여종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기원 식물들이 貝母로 사용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S korean medical college(Dept. of Herblogy). The regulation book of Herb origin and production pla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09 : 378-9, 429-31. 

  2. Lee KS, Park KB, Kim YS, Lee SH. Criteria for Identifying Akebiae, Clematidis, Aristolochiae Caulis. Kor J Herbology. 2011 ; 26(2) : 1-6. 

  3. Kim JH, Lee KS, Choi GY, Kim YS.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Species of Medicinal Herbs Used as Jeonho (Qianhu) Using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Kor J Herbology. 2012 ; 27(3) : 15-21. 

  4.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Establishing foundation by korean herbal medicine- Construct bank of herbal resources.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2006. 

  5. Lee T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eng-Mun Publishing Co. 1985 : 211. 

  6. Lee WT.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1996 : 1251. 

  7. Lee YN.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1998 : 919.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oloured illustrations for discrimination of herbal medicin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 131, 146, 147, 516, 520, 521. 

  9.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Dictionary of Chinise herbal medicine.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1982 : 94, 266-9, 318, 1493-4. 

  10. Mao WS, Yan ZH, Mao XM, Liu SL. Herbal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Shanx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7 : 135-47. 

  11. Ren RN. Identification study of Chinese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8 : 215-20. 

  12.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ense medic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huabencao.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1999 : Vol. 5(509-11), Vol. 8(88-101). 

  13. Xiao PG. Modern chinese materia medica (1). Chemical Industry Press. 2002 : 57-9, 111-6, 301-3, 451-5, 851-5, 1002-4. 

  14. Chinese Herbal medicine and Biological Products, Guangdong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dictionary . Guangdong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2002 : 24-7. 

  15. Wang CM. Chinese medicine identification manual. Xueyuan press. 2005 : 33-9, 222. 

  16. Xie ZW. Varieties of Chinese medicine Theory and Applications. People's Health press. 2008 : 456-69. 

  17. Zhao ZZ, Chen HB. Chinese herbal medicine identification Dictionary.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0 : 35, 46, 47, 72, 161, 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