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Elderly's Suicide Differentials and Their Factors: Focusing on 16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215 - 224  

김형수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김신향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의 노인세대는 개인도 국가도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세대들이며 그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과 유병장수로 인한 건강문제와 다양한 사회적 문제의 등장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자살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될 정도로 급속도로 증가 하고 있다. 노인 자살과 관련하여 최근에 들어 와서 많은 관심으로 여러 방면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미시적인 자살의 요인에 관한 연구가 대다수이고, 소수의 거시적 차원의 연구도 국가적 수준에 국한되는 경향으로 인해 지역별 노인자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적 수준에서의 노인자살 연구가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1년까지 9년간 지역별(16개시도) 노인 자살률 현황을 성별(남자노인 vs 여자노인)과 연령별(전기노인 vs 후기노인)로 나누어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과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hardly surprising for the current elder generation to choose extreme measure, that is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various social or health problems caused by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seases, for neither individuals nor the nation had not prepared for their later lives. Therefore, the n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노인자살률의 심각성을 깨닫고 많은 연구가 나오고 있으나 지역적 특성에 따른 16개시도별 노인자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첫째, 16개시도별 노인자살률 현황과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둘째, 사회경제적인 요인과 노인자살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사회경제적 요인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자살률 완화 내지는 감소를 위한 정책적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지역 간 노인자살률의 격차를 줄이고 나아가서 국가 자살률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노인자살률의 16개시도별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고 아울러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 자살률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계청의 2013년 6월의 기준으로 2003년에서 2011년까지 9년간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이 가져온 변화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 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4].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시기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 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4]. 이러한 양적인 증가에 비해 지금의 노인세대는 개인과 국가가 노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유병장수하는 건강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발생한 사회적 문제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4]. 이러한 양적인 증가에 비해 지금의 노인세대는 개인과 국가가 노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유병장수하는 건강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노인자살은 급속도로 증가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은정, "지역의 자살률 차이와 관련된 구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0권, pp.41-52, 2013. 

  2. 김기원, 김한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 제34권, 제3호, pp.31-54, 2011. 

  3. 김민영, 정광호, 금현섭, "경제위기와 자살률 간 탐색적 연구: 15개 시도 성별. 연령별 자살률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권, 제3호, pp.273-302, 201. 

  4. 김상원, "사회적 지원과 일탈: 지역단위의 사회적 지원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4권, 제3호, pp.81-95, 2010. 

  5.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인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81-205, 2004. 

  6. 김형수,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한국인구학, 제23권, 제2호, pp.167-187, 2000. 

  7. 노용환,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우리나라 시.도별 패널 자료를 이용한 접근", 경제학연구, 제54, 제3호, pp.177-200, 2006. 

  8. 박유진, 김명희, 권순만, 신영전, "공공사회지출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예방의학학회지, 제42권, 제2호, pp.123-129, 2009. 

  9. 유경원, 노용환,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자살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연구, 제18권, pp.59-78, 2007. 

  10.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한국인구학, 제3권, 제2호, pp.21-44, 2008. 

  11. 윤명숙, 최명민,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및 정신보건 인프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0권, pp.213-238, 2012. 

  12. 윤우석, "경찰통제와 자살의 관계검증: 시군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7권, pp.205-233, 2012. 

  13. 이소정, "노인자살의 사회경제적인 원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pp.1-21, 2010. 

  14.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3. 

  15.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2. 

  16. A. Andres, "Income inequality, unemployment, and suicide: A panel data analysis of 15 European countries," Applied Economics, Vol.3, pp.39-51, 2005. 

  17. H. L. Chuang and W. C. Huang, "Economic and social correlates of regional suicide rates: A pooled cross-section and time-series analysis,"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26, No.3, pp.277-289, 1997. 

  18. H. L. Chuang and W. C. Huang, A re-examination of the suicide rates in Taiwa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83, No.3, pp.465-485, 2007. 

  19. E. Durkheim, Suicide, New York: Free Press, 1951. 

  20. D. S. Hamermes and N. M. Soss, "Economic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82, No.1, pp.83-98, 1974. 

  21. J. F. Helliwell and Putnam,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Biological Sciences, Vol.359, No.1449, pp.1435-1446, 2004. 

  22. C. Minoiu and A. R. Andres, "The effect of public spending on suicide: Evidence from US state data,"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37, No.1, pp.237-261, 2008. 

  23. S. Stack, "Suicide: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Ⅱ: Modern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s," Suicide & Life - Threatening Behavior, Vol.30, No.2, pp.163-176, 2000. 

  24. B. Yang, "The economy and suicide,"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Vol.5, pp.187-199, 1992. 

  25. 김형수, 권이경, "한국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인 요인의 관련성-1990년-2010년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