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Krumboltz's Task Approach Skills on Career Matur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497 - 508  

김경미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  배영광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  민이슬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  장성화 (공군사관학교 인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 중 낙관성, 위험감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가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그리고 충청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과제접근기술,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상관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은 진로성숙 진로포부와 정적상관을, 진로장벽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낙관성은 진로장벽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는 진로성숙과는 정적상관을, 진로장벽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정체감과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진로성숙에는 진로정체감, 낙관성,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부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에는 진로정체감, 낙관성,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포부에는 낙관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상담에서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내담자들이 낙관성과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approach skills of optimism, bearabil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identity, career matur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two-hundred sixty nine college students who matriculated in colleges lo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관성은 다섯 가지 과제접근기술 중 진로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변인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와 위험감수 행동은 최근 다양한 이론들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2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이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정체감, 과제접근기술,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정체감과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둘째, 기존의 연구들은 진로선택 과정에 미치는 변인으로 지능, 흥미, 적성, 가정환경, 학력 등의 개인 심리적 변인들을 꼽아왔다. 본 연구는 우연적 사건을 기회로 만들 수 있는 과제접근기술과 진로선택에 대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탐색해봄으로써 진로상담 시 적성, 흥미, 가치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변화와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적 반응양식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한 사건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를 통해 과제접근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과 상담절차를 개발하고, 이를 진로상담에 적극적으로 적용해야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과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진로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환경적 변인인 과제접근기술과 함께 최근까지 진로연구의 초점이 되어왔던 발달적 관점의 안정적 예측 변인인 진로정체감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진로발달에 있어 개인·심리적 변인의 역할도 함께 검토하려고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이론과 경험적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그 동안 진로 상담 이론 및 진로 상담 현장에서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주목 받았던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 기술이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은 다섯 가지 기술 중 낙관성, 위험감수, 그리고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 선택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이유는? 현대사회의 고도로 발전된 산업화와 정보화로 직업의 세계가 더욱 다양화되고 전문화 되면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 선택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진로를 결정하고 선택하는 일은 개인의 일생을 통해볼 때 가장 중요한 과업중 하나이며, 개인의 진로 선택이 생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성에 맞는 진로 및 직업선택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56].
전통진로선택이론은 개인적 요인의 영향이 크다고 보았는데 현재는 어떠한가? 예를 들어, 기존의 전통진로선택이론은 진로 선택 시 만나게 되는 진로장벽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보다 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33]. 그러나 사회변화의 폭이 크고 급진적인 지금의 상황에서는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이나 지식, 능력보다는 개인이 변화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하는지에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개인의 진로선택 과정에 미치는 개인 심리적 변인과 맥락적 환경적 변인의 역할을 탐색하려는 연구들이 점차 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10].
기존의 전통진로선택이론은 진로 선택을 무엇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는가? 지금까지 진로상담에 대한 연구는 논리 실증주의적이고, 환원주의적인 철학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합리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 우연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변인들에 대해서는 일종의 오류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5]. 예를 들어, 기존의 전통진로선택이론은 진로 선택 시 만나게 되는 진로장벽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보다 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33]. 그러나 사회변화의 폭이 크고 급진적인 지금의 상황에서는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이나 지식, 능력보다는 개인이 변화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하는지에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권혜경, 이희경,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4호, pp.723-741, 2004. 

  2. 김민정,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4. 임은미, 이수진, 송미숙, "대학생을 위한 전공전환 준비도 검사의 타당성 탐색", 진로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85-102, 2011. 

  5. G. Hackee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6. 김충기, 황인호, 장성화, 김순자, 윤향숙,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12. 

  7. 박미경, 김영숙, 이현림, "여대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1-26, 2008. 

  8. 설승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문제 해결 지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1호, pp.209-235, 2008. 

  9. 손은령,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 혹은 기회의 역할 고찰", 상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85-397, 2009. 

  10. 손은령, 손진희,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2호, pp.399-417, 2005. 

  11. 김홍석, 노영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625-2640, 2012. 

  12. 김주희, 낙관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3. 양돈규, "위험행동에 대한 낙관성 및 감각추구 성향의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제9호, pp.89-113, 2001. 

  14. 유정이, 김지현, 황매향, "초등학생 직업포부 및 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15호, 제2권, pp.23-39, 2002. 

  15. M. F. Scheier, C. S. Carver, and B.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1063-1078, 1994. 

  16. S. C. Vaughan, Half empty, half full: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roots of optimism, New York: Harcourt, 2000. 

  17. 이기학, 한종철,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제8권, pp.219-255, 1997. 

  18. 이은주, 여대생의 진로성숙과 진로포부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임용수, "인문계 남자 고등학생들의 진로사회화 과정 모형: LISREL 모형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제30호, 제3권, pp.132-145, 1992. 

  20. 임은경, "여성의 진로장애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진로상담학회지, 제3권, 제1호, pp.79-97, 1998. 

  21. M. L. Savickas, "Identity in vo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7, pp.329-337, 1985. 

  22. 조은주,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장애요인의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3. J. 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The study of voc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1969. 

  24. 최수욱,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5. J. W. Rojewski, "The role of chance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individua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Vol.22, pp.267-278, 1999. 

  26. 탁진국, 이기학, "직업안내를 위한 흥미와 성격의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6권, pp.59-74, 2003. 

  27. K. M. O'Brien, M. P. Gray, P. P. Tourajdi, and S. P. Eigenbrode, The Operation of women's career choices: The career aspiration scale. In V. S. Soleberg & K. M. O'Brien(Eds), Promotion women's career development into the next millenium and beyon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6. 

  28. K. E. Mitchell, A. S. Levin, and J. D. Krumboltz,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7, pp.115-124, 1999. 

  29. M. Freeston, H. Letarte, M. J. Dugas, and R. Ladouceur, Why Do People Wor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7, pp.791-802, 1994. 

  30. 황매향, 사례로 배우는 진로 및 직업상담, 학지사, 2009. 

  31. L. K. Mitchell and J. D. Krumboltz, Krumboltz's learning theory of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In D. Brown, L. Brook, & Associates (Eds.), Career choic and development(3rd ed., pp.233-280), San Francisco: Jossey-Bass. 

  32. D. L. Blustein, L. E. Devenis, and B. Kidney,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6, pp.196-202, 1989. 

  33. S. L. Bowman, "Caree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thnic minoritie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2, No.1, p.14, 1993. 

  34. M. J. Dugas, M. H. Freeston, and R. Ladouceu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roblem orientation in worr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1, pp.593-606, 1997. 

  35.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1963. 

  36. 문승태, 박미하, "농업계 고등학교의 가족변인, 진로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4권, 제3호, pp.1-22, 2012. 

  37. K. Buhr and M. J. Duga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ers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40, pp.931-945, 2002. 

  38. J. D. Krumboltz, Career beliefs inventory: Applications and technical guide,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Inc, 1999. 

  39. 김경식, 김찬선,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11호, pp.404-414, 2013. 

  40. M. I. Graef, D. L. Wells, A. M. Hyland, and P. M. Muchinsky, "Life history antecedents of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7, No.3, pp.276-297, 1985. 

  41.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5, pp.79-122, 1994. 

  42. L. S. Gottfredson,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545-579, 1981. 

  43. V. A. Harren,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pp.119-133, 1979. 

  44. J. L. Holland and J. E. Holland,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Psychology, Vol.24, pp.404-414, 1977. 

  45. J. L. Holland, D. C. Gottfredson, and P. G. Power,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1, pp.1191-1200, 1980. 

  46. 이동혁, 황윤미, 정지희, "Krumboltz의 우연학습 이론을 배경으로 한 과제접근기술,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855-875, 2012. 

  47. J. D. Krumboltz, Serendipity is not serendipitou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pp.390-392, 1998. 

  48. 김경욱,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501-519, 2009. 

  49. 김기승,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위험감수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054-1060, 2012. 

  50. 김나래, 마림, 김경아, 이동귀,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799-1818, 2012. 

  51. 이상희, 서유란, "한국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성차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1호, pp.27-53, 2012. 

  52. 정나미, 엄정혜, 성벼리, 양은주, "청소년의 심리적 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지각의 차이: 내외통제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8권, 제3호, pp.359-377, 2011. 

  53. 황현덕,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 "고등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 수준에 따른 진로포부와 직업탐색 행동의 관계탐색",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2호, pp.193-210, 2012. 

  54. 이흥표,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 동기 및 위험 감수 성향과 병적 도박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5. P. A. Careed, W. Patton, and D. Bartrum, "Multidimensional properties of the LOT-R:Effects of optimism and pessimism on career and well-being related variables in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0, pp.42-61, 2002. 

  56. 윤영란,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제15권, 제1호, pp.91-106, 2009. 

  57. 김지연, 황매향, "실업자의 진로결정수준, 진로 준비행동과 성격5요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제5권, 제3호, pp.637-646, 2004. 

  58. T. B.. Kashdan, and J. E. Roberts, Trait and state curiosity in the genesis of intimacy: Differentiation from related constructs, Manuscript submitted for review, 2002. 

  59. T. B. Kashdan, P. Rose, and F. D. Fincham, Curiosity and exploration: facilitating positive subjective experiences and personal growth opportunities, Manuscript submitted for review, 2002. 

  60. 이복희,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61. 조명실, 최경숙,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제8권, 제3호, pp.1085-109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