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Career Identity, Family Healt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3, 2018년, pp.127 - 134  

이순희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차은정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body image, career identity, and family healt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1st to the 16th of July, 2018.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222 colleg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진행 중 언제든지 본인이 원치 않을 경우에는 철회가 가능하며 연구과정에서 알게 된 내용의 비밀 보장과 연구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고 이러한 내용을 동의서에 포함시켰다. 또한 연구참여 시 얻게 되는 유익성과 불이익에 대한 설명과 익명성 보장 등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상자들이 설문지 응답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은 대략 15~20분이었으며, 연구보조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건강성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 건강성과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 건강성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으로 신체상과 진로 정체감의 영향 정도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우울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건강성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성인 전환기에 있는 대학생들은 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우울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6]. 이에 본 연구는 실질적 영향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 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정체감은 무엇인가? 자신의 진로에 확신을 갖고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청년기의 주요 발달과업인 진로 정체감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15]. 진로정체감은 직업 영역과 연관된 자아정체감으로서, 자신의 목표와 관심, 재능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확실하고 안정된 심상(picture)을 말하며[16], 즉, 진로 정체감을 확립한다는 것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하면서 미래의 진로를 개척해 나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7]. 하지만 진로 정체감 혼미와 미분화, 유예 상태에서는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며[18], Kim과 Chang의 연구에서 우울과 진로 정체감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필요성이 시사된다[19].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신체상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Jeon과 Kim [12]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신체상은 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신체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8]에 따라 사회적 가치기준이 남성들보다 여성들에게 더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하여 여성들의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낮을 것으로 보인다. 진로 정체 감도 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진로 정체감, 가족 건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즉 신체 불만족이 높은 사람은 우울 경향이 높고, 신체 불만족은 강한 열등감과 자아개념의 악화 등으로 정신적 고통, 불안,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과도 관련된다고 보고되어[13] 이러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우울은 진로 정체감과 부적 상관관계[17]가 있었으며, 가족을 건강하게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20] 우울과 가족 건강성 간의 부적 상관관계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상은 진로정체감, 가족 건강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긍정적인 신체상의 형성은 확고한 직업 정체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이며, 가족 건강성이 높을수록 대학생이 긍정적인 신체상을 형성할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prehensive mental health measures press release [Internet]. Sej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8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3&CONT_SEQ330163&SEARCHKEYDEPT_NM&SEARCVALUE. 

  2. Wong JP, Cheung EP, Chan KK, Ma KK, Tnag SW. Web-based survey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first-year tertiary education students in Hong Kong.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6;40:777-782. http://doi.org/10.1080/j.1440-1614.2006.01883.x 

  3. Oh HY, Kim S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ntal health scale for college stud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6;17(6):333-356. http://doi.org/10.15703/kjc.17.6.201612.333 

  4. Park KH.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779-788. http://doi.org/10.4040/jkan.2008.38.6.779 

  5. Robert MP, Kaplan HI, Sadock BJ.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5th ed.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Co; 1989. p. 913-919.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2009-14 Disease Statistics Information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7 [cited 2018 July 30].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7. Gim WS, Kwon JH, Ryu YJ.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0;15(3):549-568. http://doi.org/10.17315/kjhp.2010.15.3.011 

  8. Park EJ, Chung MS.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http://doi.org/10.5850/jksct.2012.36.5.549 

  9. Cash TF. The psychology of physical appearance: aesthetics, attributes, and images. In Cash TF, Pruzinsky T. eds.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Y: Guilford Press; 1990. p. 51-79. 

  10. Pak SJ, Son CN.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 body image esteem,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college women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2;7(3):335-351. 

  11. Nho JH, Kim YE, Jeong DS, Jeong JY, Kim HS, Do SH, et 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4;27(3):196-202. http://doi.org/10.15434/kssh.2014.27.3.196 

  12. Jeon HW, Kim SA.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 influe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013;27(4):289-305. http://doi.org/10.18398/kjlgas.2013.27.4.289 

  13. Lee BH. The effects of mass media on body image, self 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009;23(3):166-204. 

  14. Jeong MR.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meaning of life, and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Student Life Studies. 2004;28:64-93. 

  15. Erikson EH.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W. W. Norton Company; 1968. 

  16. Holland JL, Gottfredson DC, Power PG.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1191-1200. http://doi.org/10.1037/h0077731 

  17. Kim MJ, Kwon YJ, Kim J. The mediated effect of depression in a 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eaning in life and career identity.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 2018;7(2):109-129. 

  18. Oh BY, Lee SH. The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between vocational identity status: focused on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3;26(1):47-67. 

  19. Kim BY, Chang EB. Influence of social withdrawal on career identity: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accomplishment value through depress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5;22(7):31-52. 

  20. Lee JM.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0;11(3): 1271-1287. http://doi.org/10.15703/kjc.11.3.201009.1271 

  21. Bae KE, Kim EH.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s, family function, ego-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7;13(3):357-366. 

  22. Yoo YJ, Lee IS, Kim SK, Choi HJ. Development of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KFSS- II).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2013;31(4):113-129. http://doi.org/10.7466/jkhma.2013.31.4.113 

  23. Kwak HJ, Kim HJ. A meta-analysis of related factors depression of Korea univers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20(7):75-98. 

  24. Mendelson BK, Wheit DR, Mendelson MJ. Manual for the body-esteem scale for adolescents and adults. Unpublished manuscript. Montreal Quebec Canada: Center for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1988. 

  25. Lee WR.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performed dance anxiety of dance major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Dance Research. 2012;12(1):85-92. 

  26. Holland JL, Gottfredson DC, Power PG.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6):1191-1200. http://doi.org/10.1037/h0077731 

  27. Kim BW, Kim K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97;9(1):311-333. 

  28.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1;6(1):59-76. 

  29. Marcia JE. Identity in adolescence. In: Adelson, editor.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Wiley; 1980. 

  30. Bae ES, Kang HS.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amily function, and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8;12(4):181-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