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편집론, 감정 커뮤니케이션
Film Editing as Emotion Communi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584 - 591  

김종국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영화편집론에서 감정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형식으로서의 편집을 통해, 관객은 이야기의 새로운 사실이나 그 사실의 세부로서 새로운 쇼트에 반응하며, 새로운 쇼트는 관객의 귀납적 능력을 이용한다. 쿨레쇼프는 유명한 모주킨 실험을 통해 편집이 개별 쇼트의 내용을 넘어서는 감정과 연상을 이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180도 법칙, 시선과 동작의 일치, 30도 법칙, 사운드의 지속성, 빛과 색의 연속성 등의 기술을 활용하는 연속편집은 감정을 강화시킨다. 영화의 감정 효과를 극대화하는 대표적인 장치가 시점편집이다. 영화 내레이션의 목적에 봉사하는 시점편집은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고 설득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discussed emotion and communication at the film editing theory. By editing as a form of communication, audiences response to the new facts of the story or the new shot as its details and then it uses their ability to induce. Lev Kuleshov, by the famous Mozhukin experiment, intended t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캐롤은 영화를 가장 대중이게 하는 주요 장치로 POV의 커뮤니케이션 감정 효과를 분석한다[23]. POV가 대중예술의 목적에 봉사하는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인지주의 영화이론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의 전제는 대량 소비를 위해 수많은 일반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의 대중성이 POV와 같은 기술을 채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 영화편집론에서 서술된 감정과 커뮤니케이션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영화편집에 관한 논의가 기호학 또는 이데올로기에 경도된 문화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했다면, 이 연구는 대부분의 영화들에 무의식적이고 자연스런 기술로 채택되고 있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편집론을 재고하고자 한다. 먼저, 커뮤니케이션의 체계 또는 형식이라는 관점에서 편집이 감정을 유도하는 방식을 살핀다.
  • 모주킨의 동일한 표정 다음에 스프 접시, 관 속의 죽은 여인, 어린 소녀의 이 조합되면서 배고픔, 슬픔, 행복감의 감정이 나타난다. 쇼트와 쇼트의 상호관계에 따라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여주는 실험이다. 이것은 쇼트/리버스 쇼트, 반응쇼트, 컷어웨이 등에 관한 원형이며, 감정의 몰입을 가장 직접적으로 이끈다.
  • 연속편집의 감정 몰입을 방해하거나 깨기 위해 180도 법칙과 30도 법칙을 위반하고, 시공간의 연속성을 모호하게 만들어 버린다. 연속 내지 불연속의 편집은 감정의 몰입 내지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영화편집을 다룬 논의를 고찰한다. 영화편집론에서 서술된 감정과 커뮤니케이션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영화편집에 관한 논의가 기호학 또는 이데올로기에 경도된 문화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했다면, 이 연구는 대부분의 영화들에 무의식적이고 자연스런 기술로 채택되고 있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편집론을 재고하고자 한다.
  • 셋째, 감정을 중심에 둔 편집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편집 양식으로 시점편집이 감정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 같은 연구내용 및 방법을 포괄하는 연구의 과정을 통해, 국내에 부족한 편집론의 학술적 논의를 촉발시키고자 한다. 또한 테크닉으로서 편집의 문화적 의미에 치중하면서 정작 그 중요성을 놓치고 있었던, 제작과 수용의 두 측면에 본질적인 감정을 유도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 영화의 인지주의는 편집의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직접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영화편집을 다룬 논의를 고찰한다. 영화편집론에서 서술된 감정과 커뮤니케이션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야기, 인물, 촬영, 미술, 편집 등의 영화를 구성하는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관객의 감정을 이끈다. 이 연구는 감정을 유발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가 편집이라는 전제 하에, 영화편집과 감정 간의 논의 과정을 고찰한다. 편집이란 촬영된 개별 쇼트들을 배열하고 조합하면서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 이 연구는 영화편집론에서 논의된 감정과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편집은 연속되는 쇼트들의 의미를 추론하도록 유도하는 커팅에 기초한 커뮤니케이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집이란 무엇인가요? 이 연구는 감정을 유발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가 편집이라는 전제 하에, 영화편집과 감정 간의 논의 과정을 고찰한다. 편집이란 촬영된 개별 쇼트들을 배열하고 조합하면서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쇼트들의 조합은 공간을 재구성하고, 시간을 압축하거나 확장시킨다.
노엘 캐롤이 말한 영화편집의 기초는 무엇인가요? 노엘 캐롤(Noel Caroll)은 ‘두 쇼트의 물리적 결합, 컷’을 영화편집의 기초라고 한다[3]. 화학적이고 기계적인 것 이상을 포함하는 편집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이야기와 은유 등을 전달하는 표현 수단이다.
편집을 커뮤니케이션의 체계로 보는 경향의 예로 무엇이 있을까요? 편집을 커뮤니케이션의 체계로 보는 경향은 영화사 초기부터 존재했다. 예를 들면, 푸도프킨이 편집을 ‘영화감독의 언어’라고 했다[4]. 감독은 편집의 언어를 만들고, 관객은 읽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dward Dmytryk, On Film Editing: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Film Construction, Focal Press, 1984. 

  2. Karel Reisz and Gavin Millar(1968), 정용탁 역, 영화편집의 기법 The Technique of film editing, 집문당, p.173, 1981. 

  3.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03, 1996. 

  4. V. I. Pudovkin, Film technique and Film acting: the cinema writings of V.I. Pudovkin, Sims Press, 2007. 

  5.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05, 1996. 

  6.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06, 1996. 

  7.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09, 1996. 

  8.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13, 1996. 

  9.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14, 1996. 

  10.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15, 1996. 

  11. Noel Caroll(1979), "Toward a Theory of Film Editing,"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18, 1996. 

  12. Vincent Pinel(2001), 심은진 역, 몽타주LeMontage, 이화여대출판부, p.7, 2008. 

  13. Stephen Prince and Wayne E. Hensley, "The Kuleshov effect: Recreating the classic experiment," Cinema Journal, Vol.31, No.2, pp.59-75, 1992. 

  14. Vincent Pinel(2001), 심은진 역, 몽타주LeMontage, 이화여대출판부, p.91, 2008. 

  15. Robert Stam(2000), 김병철 역, 영화이론Film Theory An Introduction, K-books, p.56, 2012. 

  16. Patrick McGilligan(2003), 윤철희 역, 히치콕 Alfred Hitchcock, 을유문화사, pp.141-142, 2006. 

  17. Walter Murch(1995), 문원립 역, 눈 깜박할 사이: 영화편집에 대한 연구 In the Blink of an Eye, 비즈앤비즈, p.30, 2010. 

  18. Walter Murch(1995), 문원립 역, 눈 깜박할 사이: 영화편집에 대한 연구 In the Blink of an Eye, 비즈앤비즈, p.19, 2010. 

  19. Karen Pearlman, Cutting Rhythms: Shaping the Film Edit, Oxford: Focal Press, 2009. 

  20. MWalter Murch(1995), 문원립 역, 눈 깜박할 사이: 영화편집에 대한 연구 In the Blink of an Eye, 비즈앤비즈, p.80, 2010. 

  21. Michael Ondaatje(2002), 이태선 역, 월터 머치와 의 대화The Conversations: Walter Murch and the Art of Editing Film, 비즈앤비즈, p.290, 2013. 

  22. Noel Caroll(1991), "Toward a theory of point-of-view editing: Communication, emotion, and the movies,"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25-138, 1996. 

  23. Edward Branigan, Point of View in the Cinema, New York: Mouton. pp.103-111, 1984. 

  24. Noel Caroll(1991), "Toward a theory of point-of-view editing: Communication, emotion, and the movies,"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29, 1996. 

  25. Noel Caroll(1991), "Toward a theory of point-of-view editing: Communication, emotion, and the movies,"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33, 1996. 

  26. Noel Caroll(1991), "Toward a theory of point-of-view editing: Communication, emotion, and the movies," Theorizing the moving ima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34,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