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702 - 712
박지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김윤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본 논문은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분야 담당공무원에게 실시하고 있는 재난안전 교육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재난안전 분야 교육훈련분야 종사자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주요한 문제점으로는 실무와의 연계성 미흡, 교육훈련 수강 후 평가방법의 문제 등 재난안전관리 교육훈련 자체의 문제와 관리자의 인식부족, 과중한 업무로 인한 교육훈련 기회 미흡 등의 조직 환경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분야 담당공무원의 교육훈련 수강 이수 강제조항 및 최소 이수시간 제정, 재난안전 분야 교육훈련의 이력 관리 체계 및 관리자의 인식제고 등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overview and issues of current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and exercise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is currently in charge of the disaster management tasks by surveying and interviewing. Main issues that raised in the survey and interview are that cu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대부분의 재난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 대부분의 재난은 지역에서 작은 사고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생 지역에서 효율적인 대응에 실패하여 대형 재난으로 발전하는 경우와, 태풍·홍수와 같이 재해의 규모가 커서 해당지역의 대응 역량을 넘어설 때대형재난으로 발전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높이는 것은 무엇을 막을 수 있는 장기적인 대안인가? |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높이는 것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대형재난으로 발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기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방안으로 제도적 접근과 함께 교육훈련이 있을 수 있다. | |
지금까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높이는 재난안전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방안으로 제도적 접근과 함께 교육훈련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재난안전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제고라는 장기적인 목적보다는 단기적이고 근시안적인 시각에서 교육훈련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재난안전 분야 교육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다. |
김윤희, 박지환, 재난관리 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 훈련 개선 방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박지환, 김윤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분야 교육훈련 효과성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2호, pp.45-62.
임송태,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재난교육 필요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05.
남상훈, 박해정,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제9권, 제4호, pp.484-492, 2013.
김성제, 우리나라 재난안전교육체계의 관리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안전교육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정식, "우리나라 재난관리 교육에 관한 실태와 발전 방향", 논문집(육군3사관학교), 제63권, 제1호, pp.453-482, 2006.
조한익, 정덕훈, 안재현, 김금환, 김영희, 민금영,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방안 연구, 행정안전부, 2008.
김국래, "국가재난안전교육체계의 혁신전략", 소방논집, 제15호, pp.1-52, 2005.
김기형,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교육훈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제17권, 제2호, pp.217-257, 2011.
고기봉, 이시영, 채진,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 대응훈련에 관한 인식 연구: 일반 행정직 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4권, 제6호, pp.34-44, 2010.
서정표, 조원철,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방재교육훈련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95-105, 2012.
이시영, 김순녀, "산불재난 교육에 대한 산림공무원들의 인식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pp.195-202, 2012.
정상태, 김광일, 박미라, 남기훈, 김윤미, 화학재난 대응교육프로그램 개발(1), 국립환경과학원, 2007.
박진선, 재난대응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교육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정상태, 김광일, 박미라, 남기훈, 김윤미, 화학재난 대응교육프로그램 개발(1), 국립환경과학원, 2007.
유명란, 이순영, 정유미, 연효정, "모의상황을 이용한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게발", 군진간호연구, 제25권, 제1호, pp.99-128, 2007.
성미경, 김학열, "재난대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도시행정학보, 제23권, 제3호, pp.31-47, 2010.
김지희, 이시영, "보건의료인을 위한 생물테러 재난안전교육의 국내외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2007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FEMA, http://training.fema.gov/
J. Darlington, The Profession of Emergency Managem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Gaps, Western illinois University Publication, 2012.
J. A. Bullock, G. D. Haddow, and D. P. Copplola, Introduction to Homeland Security (4th ed.), BH Publication, 2013.
안전행정부, 재난안전 분야 교육현황 조사, 내부자료. 2013.
http://law.justia.com/codes/georgia/2010/title-38/chapter-3/article-2/38-3-22
http://www.nga.org/cms/home/management-resources/governors-powers-and-authority.html
The California Emergency Management Agency, Elected Officials' Guide to Emergency Management, 20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