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차이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1008 - 1018  

임미란 (광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조진현 (조선이공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남 여학생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98명으로 이들 중 남학생은 36명, 여학생은 6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수준 측정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성별과 성적으로 분류된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성별로 나누어진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영어 학업성취도로 분류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도구와 연구 대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두 집단 간의 다른 정의적 변수의 차이에 관해서도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etween two groups(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level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re 98 students who are 36 male and 62 female students. Two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성별 간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 그리고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 연구문제 2에서는 성별에 따른 두 집단 간에 시험불안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두 집단의 시험불안 평균을 살펴보면, 남학생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 개인적, 환경적 차이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는데, 그에 대한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자기효능감은 개인적·환경적 차이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다[5]. 예를 들면,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지각한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을 넘어서는 학습 과제를 선택하여 불필요한 실패를 겪는다면 이로 인해 자기효능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Shunk와 Pajares(2002)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역동적이며 변화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6].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과제수준,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 무엇인가? 과제수준은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어떤 수준의 난이도를 선호하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7].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선택하는 행동을 보인다. 자기조절 효능감은 학습자가 자기 관찰, 자기 판단, 자기 반응과 같은 자기 조절 기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며[14], 자신감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해 보이는 확신 또는 신념의 정도이다([15].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이와 같은 불안의 감소와 관련된 이론 중 하나가 자기효능감이다[3].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행동을 선택하고 지속하는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어려운 과제에 부딪혔을 때, 당면한 장애를 극복할 능력이 있다는 믿음으로 그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4]. 자기 효능감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과제에 대해 자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믿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J. C. Gregory and S. B. Samantha, Addressing test anxiety in a high-stakes environment, America: Corwin, 2006. 

  2. 박병기, 임신일,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875-894, 2010. 

  3.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4.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p.391, 1986. 

  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6. D. H. Schunk and F. Pajares, The development of academic SE. In A. Wigfield & J. Eccles(Ed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pp.16-31, San Diego: Academic Press, 2002. 

  7.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8. 염시창, 박현주, "일반계 여고생의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2권, 제1호, pp.19-35. 

  9.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10. F. Pajares and D. H. Schunk, Self-beliefs and school success: self-efficasy,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In R. Riding & S. Rayner (Eds.) perception, pp.239-266, London: Ablex Publishing, 2001. 

  11. D. H. Schunk,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I. B.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London: Lawrence Erblaum Associates Publishers, pp.125-151, 2001. 

  12. H. L. Yang and H. H. Cheng, "Creative self-efficacy and its factors: an empirical study of information system analysts and Programm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pp.429-438, 2009. 

  13. 김아영, "학업적 자아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2호, pp.95-123, 2001. 

  14. B. J. Zimmerman,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1, pp.329-339, 1989. 

  15.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8, pp.117-148, 1993. 

  16. A. Bandura and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pp.586-598, 1981. 

  17. R. W. Lent, S. D. Brown, and K. D. Larkin, "Relation of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isten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p.356-362, 1984. 

  18. K. D. Multon, S. D. Brown, and R. W. Lent,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38, No.1, pp.30-38, 1991. 

  19. N. Mills, F. Pjares, and C. Herron, SE of college intermediate French students: relation to achievement and motivation[Electronic version], Language Learning, Vol.57, No.3, 2007. 

  20. B. J. Zimmerman and M. Martinez Pons,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51-59, 1990. 

  21. S. L. Britner and F. Pajares, "Efficacy Beliefs, motivation, race and gender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Woma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Vol.7, pp.271-285, 2001. 

  22. F. Pajares, "Gender and perceived SE in self-regulated learnin," Theory in Practice, Vol.41, pp.116-125, 2002b. 

  23. N. Mills, F. Pjares, and C. Herron, A reevaluation of the role of anxiety: SE, anxiety and their relation to reading and listening proficiency[Electronic version], Foreign Language Annals, Vol.39, pp.276-293, 2006. 

  24. F. Pajares and G. Valiant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elementary students' writ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0, No.6, pp.353-360, 2001. 

  25. A. Wigfield, J. S. Eccles, and P. R. Pintrich, Development between theages of 11 and 25. In D. C. Berliner & R .C. Calfee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p.148-185, New York: Simon & Schuster/Macmillan, 1996. 

  26. C. D. Spielberger and P. R. Vagg, Test anxiety: A Transactiona Process Model, In Spielberger et al.(Eds), Test anxiety: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Taylor & Francis, pp.1-14, 1995. 

  27. M. Zeidner, Test anxiety: The state of the art, New York: Pleum, 1998. 

  28. L. Morris, M. Davis, and C. Hutchings,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anxiety: Literature review and a revised worry-emotional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3, No.4, pp.541-555, 1981. 

  29. M. S. Chapell, Z. B. Blanding, M. E. Silverstein, M. Takahashi, B. Newman, A. Gubi, and N. McCann, "Test anxiety and academic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7, No.2, pp.268-274, 2005, 

  30. 임용우, 시험스트레스 과정에서의 불안, 대체 및 학업성취,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1. E. U. Onyeizugbo,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as Correlates of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0, pp.477-48, 2010. 

  32. E. J. Ginter, J. J. Scalise, R. R. Mcknight, and F. G. Miller, "SuinnTest Anxiety Behavior Scale," Journal of Normative Data for Psychological Report, Vol.50, pp.1114-1118, 1982. 

  33. A. Feingold,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6, pp.429-456, 1994. 

  34. F. Pajares and J. kranzler, self_efficacy beliefs and general mental ability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mory University, University of Florida, 2002. 

  35. 김아영,차정은, 자기효능감의 측정.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1-64, 1996. 

  36.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19, 1997. 

  37.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임신일, 박병기, "국내.외 시험불안 연구의 메타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3호, pp.529-553, 2013. 

  39. 성종호, 이영식, 이길홍,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3호, pp.571-582, 1999. 

  40. Kitano, Kazu, "Anxiety in the college Japanese classroom," Modern Language Journal, Vol.85, pp.549-556, 2001. 

  41. 남지연,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2. P. MacIntyre and R. Gardner, "Methods and results in the study of anxiety and language learning:A review of the literature," Language Learning, Vol.41, pp.85-117, 1991c. 

  43. E. T. Aronen, V. Vuontella, M. R. Steenari, J. Salmi, and S. Carson, "Woring memory, psychiatric symptoms, and academic performance at school,"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Elsivier, Vol.83, No.1, pp.33-42, 2004. 

  44. R. Hembree, "Correlates, causes, effects, and treatment of test anxiet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8, pp.47-77, 1998. 

  45. B. G. Turner, D. C. Beidel, S. Hughes, and M. W. Turner, "Test anxiety in African American school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Vol.8, No.2, pp.140-152, 1993. 

  46. 박미정, 최지혜, 이은영, 박미영,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46-355,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