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인증제 전·후의 요양병원 임상영양관리 현황 비교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Status in Convalescent Hospitals Before and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Proces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0 no.3, 2014년, pp.199 - 211  

이창희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수경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has created an urgent need for well-managed convalescent hospitals, which should provide appropriate clinical nutrition services. The new accreditation policy requiring participation of all convalescent hospitals since 2013 may promot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요양병원인증제도가 요양병원의 임상영양관리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인증제의 인증을 거친 요양병원 영양사의 임상영양관리 현황 및 그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를 조사함으로써 임상영양관리 서비스의 변화와 개선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영양사의 업무 발전 및 향상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나아가 고령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임상영양관리서비스가 요양병원에서 제공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요양병원인증제도에 따라 인증받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를 대상으로 인증 후 임상영양관리 업무 현황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이하 인식도)와 수행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조사 내용 중 영양사 일반사항에서 임상영양사 자격증 보유는 30.
  • 2013년 1월부터 의료기관인증제 확대 적용의 일환으로 요양병원인증제가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요양병원인증제의 203개 조사기준항목 중 영양관리 관련 항목을 기초로 인증 전과 후 영양사의 임상영양관리 현황 및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인증을 받아 홈페이지에 공개된 (2013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를 기준) 전국의 인증받은 177개 요양병원의 근무 영양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73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인증제의 인증을 거친 요양병원 영양사의 임상영양관리 현황 및 그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를 조사함으로써 임상영양관리 서비스의 변화와 개선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영양사의 업무 발전 및 향상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나아가 고령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임상영양관리서비스가 요양병원에서 제공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사회가 야기할 수 있는 문제는? 우리나라는 현재 생활환경 개선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저출산과 함께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그로 인한 여러 가지 노인 복지문제가 발생되고 있다(Jeon 2012). 이런 고령화 사회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험 적용 대상 증가, 의료비 지출 증가, 생산인구 감소 및 경제적 비용 증가 등 많은 사회적 문제 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Jeon 2012), 이에 대한 다각적인 대책과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나라 요양병원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요양병원은 2001년 28개에서 2012년 1,068개로 빠르게 증가해왔으며, 입원 환자 수는 2001년 0.5만 명에서 2011년 23.
고령화 사회에 맞추어 요양병원에 도입된 것은? 7만 명으로 80% 정도를 차지한다고 보고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a). 이러한 고령화로 인한 장기 요양 수요 급증과 더불어 요양병원의 양적 팽창과 요양 서비스의 질 저하가 사회적인 문제가 됨에 따라 환자 권익보호 및 의료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해서 요양 병원 인증제도가 2013년 1월부터 전국의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시행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b). 이 요양병원 인증제도는 대형병원 위주로 시행되어 오던 의료기관인증제가 확대 적용된 것이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HJ, Kang JH, Lee HM (2014): Nutrition status of elderly femal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according to meal types and eating ability. Korean J Community Nutr 19(2): 187-197 

  2. Baek SJ (2011): Job analysis of dietitians in medical facilities. Masters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24-25 

  3. Cho EH (2006): Job-analysis of dietitians in the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32-33, 66-72 

  4. Choi JY (2012): Differ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in the Busan-Gyeong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Kyungnam University. pp.2-3, 48-60 

  5. Choi JY, Park EJ (2013): Differ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in the Busan-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9(1):69-81 

  6. Choi KB, Lee SM, Lyu ES (2012): Pati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J Korean Diet Assoc 18(1):59-71 

  7. Hong SY (2010): Job performance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pp.114-121 

  8. Hong SY, Seo SH (2010): Job performance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6(2):160-177 

  9. Jeon JY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al management at the elderly nursing hom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etitian. Masters degree thesis. Dankook University. pp.1-4 

  10. Kang HS (2000): Nutritional consultation and clinical nutrition business of dietitian in hospitals. Masters degree thesis. Daejeon University. pp.63-66 

  11. Kim GS (2011):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ess, accomplishment and the challenges. J Korean Acad Manag Care Pharm 3(1):31-33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convalescent hospital accreditation. Available from: www.koiha. or.kr. Accessed November 12, 2013 

  13. Kwak KS, Bae YJ, Kim MH (2008):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the low-income elderly residing at home or in health care facilities. Korean Diet Assoc 14(4):337-350 

  14. Lee JE (2013): The time series analysis of standards and results of nutritional domain in hospital evaluation program. J Korean Diet Assoc 19(4):317-342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care accreditation: Successfully acquiring international accreditation. Press release. Available from: www.mw.go.kr. Accessed April 25, 2012a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restructuring functions between convalescent hospitals and nursing homes through mandatory convalescent hospital accreditation policy. Report materials. Available from: www. mw.go.kr. Accessed September 26, 2012b 

  17. Park MS (2010): Nutrition care and dietitian's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at long term care hospital in Pusan-Kyung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Pukyong University. pp.29-30, 44-48, 79-85 

  18. Seong GM (2011):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in geriatric and tertiary care hospital in busan.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44-48, pp.49-55, 70-75 

  19. Sin HN (2008): A teacher's recognition of changes in a qualitative level of nurture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of nurture facilities. Masters degree thesis. Gwangju University. pp.54-59 

  20. Suk SH (2013):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Health Welf Forum 202: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