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요양병원 임상영양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in Convalescent Hospitals in the Gyeongnam Are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2 no.1, 2016년, pp.53 - 69  

이선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in convalescent hospital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questionnaires administered from March to April, 2015 to 73 dietitians at 40 convalescent hospitals in the Gyeongnam area. There w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임상영양관리 중요도 및 실행도를 분석하고, 중요도 및 실행도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요양병원에서의 임상영양관리 업무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경남지역 40개 요양병원 영양사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요양병원의 임상영양관리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 요양병원 영양사들의 임상영양관리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우선순위 및 중요도와 실행도 갭에 영향을 미치는 중점적인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를 대상으로 임상영양관리의 중요도 및 실행도를 조사함으로써 요양병원 임상영양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요양병원 임상영양관리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영양상태은 무엇의 중요한 요인인가? 노인의 영양상태는 신체적 기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노인에서 영양불량의 원인은 한 가지 이유보다는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Brownie 2006; Morley 2011).
노인보건의 관점에서 노인들의 영양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3%가 영양섭취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Yoon 2013). 노인은 생리적인 노화에 따라 체내 변화에 대한 대처가 느리고, 대사반응이 저하되면서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어 영양불량에 쉽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Xue 2011) 노인보건의 관점에서 영양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의 평균 수명이 점점 증가하는 근거는? 의료기술의 발전,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등의 이유로 현대인들의 평균 수명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구고령화로 인해 2007년 591개소에 불과하던 요양병원의 수가 2014년 1,337개소로 크게 증가하였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wnie S (2006): Why are elderly individual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y? Int J Nurs Pract 12(2):110-118 

  2. Cho EH, Jang HJ, Kwak TK (2006): Analysis of job activities and demand of dietitian in the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2(4):313-328 

  3. Cho GN, Paik HY, Park MS, Lee EK (2000): Effects of nutrition counseling on diet and nutritional statu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Korean J Nutr 33(2):193-201 

  4. Cho YY, Lee MK, Jang HC, Rha MY, Kim JY, Park YM, Sohn JM (2008): The clinical and cost effectivenes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Nutr 41(2):147-155 

  5. Choi EH (2010): A study on strategic proposal for improving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long-term care(LTC). J Korean Gerontol Soc 30(2):401-419 

  6. Choi JY, Park EJ (2013): Differ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in the Busan-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9(1):69-81 

  7. Delahanty LM, Sonnenberg LM, Hayden D, Nathan DM (2001): Clinical and cost outcome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for hypercholesterolemia: a controlled trial. J Am Diet Assoc 101(9):1012-1023 

  8. Hammitt WE, Bixler RD, Noe FP (1996): Going beyo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 influence of park impacts. J Park Recreat Adm 14(1):45-62 

  9. Han MH, Lee SM, Lyu ES (2012): Do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J Korean Diet Assoc 18(3):266-275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edical resources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Accessed June 10, 2014 

  11. Jang EH, Lyu ES, Lee SM, Park YK,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Lee SM (2014): Job satisfaction level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hospital dietitians. J Korean Diet Assoc 20(4):257-274 

  12. Jeong SY (2008): Investigation of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practices for improving foodservice quality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p.138-147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Criteria for Convalescent hospital.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Accessed December 27, 2015 

  14. Lee CH, Lee SK (2014):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status in convalescent hospitals before and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process. J Korean Diet Assoc 20(3):199-211 

  15. Lee HN, Lee SM, Park YK,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Lyu ES (2014): Nurses' perception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 and area. J Korean Diet Assoc 20(4):235-246 

  16. Lemon CC, Lacey K, Lohse B, Hubacher DO, Klawitter B, Palta M (2004): Outcomes monitoring of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fter nutrition intervention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J Am Diet Assoc 104(12):1805-1815 

  17. Morley JE (2011): Assessment of malnutrition in older persons: a focus on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J Nutr Health Aging 15(2):87-90 

  18. Oh HS, Jang M, Hwang MO, Cho SW, Paek YM, Choi TI, Park YK (2009): Effect of 1 year e-mail nutrition education after face-to-face encounter at worksit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 Nutr 42(6):559-566 

  19. Park MS, Lyu ES (2011):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dietitian's task at long term care hospital foodservice in Busan? Kyungnam area. J Korean Community Nutr 16(5):602-612 

  20. Park YH, Park SJ (2015): Organization and the role of nutirition support team. Korean J Gastroenterol 65(6):342-345 

  21. Song YM (2015): Doctor's perception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Masters degree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p.28-72 

  22. Um MH, Park YK, Lee SM,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Lyu ES (2014): Clinical nutrition service in Korean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result of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J Korean Diet Assoc 20(3):183-198 

  23. Um MH, Lyu ES, Lee SM,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Park YK (2015): Clinical nutrition services of a long-term care hospital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3):220-235 

  24. Uster A, Ruefenacht U, Ruehlin M, Pless M, Siano M, Haefner M, Imoberdorf R, Ballmer PE (2013): Influence of a nutritional intervention on dietary intake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trition 29(11-12):1342-1349 

  25. Van den Akker M, Buntinx F, Knottnerus JA (1996): Comorbidity or multimorbidity: what's in a name? A review of literature. Eur J Gen Pract 2(2):65-70 

  26. Wang SK, Park SM (2002): The effects of nutrition counseling on food intakes and bloodlipids in cardiac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1):92-101 

  27. White JV, Young E, Lasswell A (1994):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 an essential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J Am Diet Assoc 94(5):555-557 

  28. Xue QL (2011): The frailty syndrome: definition and natural history. Clin Geriatr Med 27(1):1-15 

  29. Yoon SH (2013): Nutrient intakes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Public Health Wkly Rep 6(27):532-5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