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AIDS 관련 지식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IV/AIDS among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1, 2015년, pp.255 - 265  

서명희 (전북대학교병원 감염내과)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신자현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인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HIV/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의 일 대학 의학전문대학원 3학년 학생 97명으로 2014년 8월 4일부터 12월 8일까지 자료수집이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는 각각 15점 만점에 평균 8.91, 7.00으로 나타났으며, 지식과 태도는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들의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r=.34, p<.01)를 보여 지식이 높을수록 태도 또한 긍정적인 경향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의료인 및 의료인의 HIV/AIDS 관련 지식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태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전략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levels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IV/AIDS in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4. Participants were 97 students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래의 의료인인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AIDS 관련 지식 및 태도를 조사한 연구로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AIDS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를 조사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이라는 변화된 의학교육제도 하에 다양한 배경지식을 가진 타 분야 전공생들로 이루어진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 대한 HIV/AIDS의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대상자수가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 본 연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를 조사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유사한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참여대상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자의에 따라 연구참여가 가능하며, 언제든지 철회가능하고, 응답한 내용은 연구목적과 추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됨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설명하였다.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일련번호 네 자리를 대상자들이 설문지에 직접 기재하도록 하여 연구 대상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 AIDS 관련 지식과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미래의 의료인인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HIV/AIDS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IV 감염인 수는 전세계와 우리나라에서 어떤 추세를 보이는가? 미국에서 1981년 HIV에 감염되어 AIDS로 질병이 진행된 환자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첫 보고된 이후 전 세계 HIV 감염인 수는 2011년 기준 약 3,400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1], 우리나라에서도 1985년에 AIDS 로 질병이 진행된 환자가 처음 신고 된 이후 2014년도까지 HIV 감염인 수가 9,615명으로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다[2].
사람들은 HIV/AIDS에 대해 어떤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의학의 발전으로 HIV/AIDS는 ‘관리될 수 있는 만성 질환’으로 정의가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3], 여전히 HIV/AIDS에 대한 잘못된 지식과 이와 관련된 부정적인 편견과 낙인은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사람들은 HIV/AIDS를 치료 불가능하며, HIV 감염인은 윤리적 일탈 행위자로서 감염을 전파하는 위험한 대상자라고 인식하고 있으며[4], HIV/AIDS와 관련하여 죽음, 불치병 등과 같이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 연상 단어들을 주로 떠올린다[5].
HIV/AIDS 감염인들을 위해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특히 의료인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이러한 노력은 일반인들을 포함한 사회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나 그 중에서도 특히 HIV/AIDS 감염인들을 많이 접하며 이들을 치료하는 의료인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의료인들의 HIV/AIDS에 대한 지식부족과 감염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대상자의 대변자, 옹호자, 치료자 등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의료인들의 역할을 제한하는 등 의료전문직의 윤리에 어긋날수 있을 뿐만 아니라 HIV/AIDS 감염인들이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제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UNAIDS, "Global report: UNAIDS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2012", http://www.unaids.org/sites/default/files/en/media/unaids/contentassets/documents/epidemiology/2012/gr2012/JC2417_GR%202012_Annexes_en.pdf (October 7, 2015). 

  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HIV/AIDS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3. UNAIDS and WHO, "UNAIDS 2003 Report. Geneva: UNAIDS", 2003. 

  4. Kyoung-Ha. Kim,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HIV/AIDS patients,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Ph.D.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013. 

  5.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survey on HIV/AIDS knowledge,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2013.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6. S. H. Her, J. E. Kim, S. M. Kim, S. H. Kim, D. G. Kim, S. Y. Kim, M. H. Hong, Y. S. Choi, "Medical students' knowledge about AIDS/STDs: Comparing with non-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10, No. 2, pp. 85-90, 2007. 

  7. I. J. Lee, & Y. S. Rhe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4, No. 3, pp. 347-369. 2013. 

  8. S. B. Shin, "A study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pp. 424-453, 2011. 

  9. C. Kunzel, & D. Sadowsky, "Predicting dentists' perceived occupational risk for HIV infec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36, No. 12, pp. 1579-1586, 1993. 

  10. J. H. Ya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IDS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care work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9, No. 1, pp. 121-131, 2007. 

  11. M. H. Sung,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vulnerability to AIDS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2, pp. 221-228, 2008. 

  12. M. Marquet, & N. Beltzer, "Knowledge and discrimination: What kind of relationship?. In: Hubert M, Sandfort T, Bajos B, editors. Sexual behaviour and HIV/AIDS in Europe: Comparisons of national surveys. London: UCL Press", 1998. 

  13. E. J. Choi, W. Kim, S. B. Jung, I. S. Whang, & J. N. Yang,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HIV/AIDS among health care officer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6, No. 5, pp. 41-55. 2009. 

  14. J Korean Med Assoc. 2008 Sep;51(9):786-789. Korean.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08. http://dx.doi.org/10.5124/jkma.2008.51.9.786 

  15. Y. M. Kim, J. S. Han, & O. C. Le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HIV/AIDS in comparison with chronic hepatitis B among female nursing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0, No. 2, pp. 31-40, 2014. 

  16. W. Huh, Y. M. Yang, E. Jeong, J. E. Lee, N. K. Je, J. J. Lee, S. C. Lim, & E. J. Choi, "An assessment of HIV/AIDS knowledge,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s among Korean pharmacy students. Yakhak Hoeji", Vol. 58, No. 5, pp. 349-356, 2014. 

  17. M. R. Lee,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in undergraduates for the health-related department and the health-unrelated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1, No. 2, pp. 213-222, 2011. 

  18.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valuation of 2012 Education Work for Health care provider. Final Report. Incheon City: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 November. Report No: None. 

  19. A. Han, S. H. Choi,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infection behaviors regarding AIDS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15, No. 2, pp. 1-12. 2014. 

  20. J. Park, J. Gu,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HIV/AID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national universit of transportatio", Vol. 46, pp. 391-398. 2011. 

  21. Y. Han, "The effect of AIDS educ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1, No. 3, pp. 467-476. 2001. 

  22. S. Y. Kim, J. S. Lee, S. K. Park, & Y. I. Kim,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a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5, No. 4, pp. 13-28, 2008. 

  23. Yeon. Haw. Ju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HIV/AIDS among Journalists, Master's thesis, Pusan, Inje University", pp. 1-40, 2006.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Korean Fedneration for HIV/AIDS Prevention, "National survey on HIV/AIDS knowledge,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Cheongju: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IV/AIDS foundational course for professional training. Cheongju: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6. J. M. Kim, & J. Y. Choi,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Seoul: Koonja". 2007. 

  27. B. Y. Oh, S. D. Yang, & S. Y. Ju, "Knowledge, ㅁttitudes and optimistic bias about AIDS of students. Journal of Human Rights Welfare", Vol. 17, pp. 89-112, 2015. 

  28. Ayranci U., "AIDS knowledge and attitudes in a Turkish popula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BMC Public Health", Vol. 5, No. 1, pp. 95, 2005. 

  29. J. P. Moatti, L. Manesse, C. Le Gales, J. P. Pages, & F. Fagnani, "Social perception of AIDS in the general public: a French study. Health Policy", Vol. 9, No. 1, pp. 1-8, 1988. 

  30. J. Lee, H. J. Yoon, & H. S. Kim, "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medical professionals about AIDS.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Vol. 15, No. 1, pp. 57-77, 2005. 

  31. J. L. Freedman, D. O. Sears, & J. M. Carlsmith, "Soc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81. 

  32. E. R. Smith, & D. M. Mackie, "Social Psychology, 2nd ed. Philadelphia: Psychology press",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