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저수지의 용도에 따른 호안 식물상 차이
Difference in Shoreline Flora According to the Usage of Reservoi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4, 2015년, pp.339 - 347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수지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수력발전용, 농업용수용, 생활 공업용수용 및 홍수조절용으로 구분한 우리나라 35개 저수지의 호안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 종류와 지형, 수문, 물 및 토양 환경을 조사하여 이용목적에 따른 호안 환경과 식물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호안의 식물상은 저수지의 용도에 따라서 종수, 종류 및 식물종 특성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변수선택법 결과에 의하면 저수지 호안의 출현종수는 중앙수위에서 범람빈도가 높고 호안의 연평균노출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주좌표분석과 집괴분석의 결과에서 저수지 호안의 식물상은 이용목적에 따라서 크게 3가지 유형, 홍수조절용과 생활 공업용수용, 농업용 및 발전용 저수지로 구분이 되었다. 식물상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연범람빈도, LQI 지수 및 연평균노출기간이었다.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수질이 중영양으로 유지되는 발전용 저수지에서는 종풍부도가 높고 침수식물종을 비롯한 수생식물종이 풍부한 연안대가 발달하였다. 수위변동이 심하고 수질이 빈영양 혹은 중영양인 홍수조절용과 생활 공업용수용 저수지 식물상은 수위변동역에서 단명의 교란지식물이 분포하였다. 수위변동이 중간 정도이고 중영양 또는 부영양인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과 같은 수면을 덮는 식물종이 특징적으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수지 호안의 식물상 특성은 이용목적에 따라서 수위변동, 수질 등의 환경요인이 차이가 나타나고 이에 따라서 식물상의 구조와 종풍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shoreline of total 35 reservoirs according to their usages of waterpower generation, agricultural water supply,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an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용도에 따른 호안 환경 차이가 저수지의 연안대 및 수위변동역의 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식물상 차이에 기여하는 주요한 환경요인을 선별하여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의 관속식물상을 저수지 용도에 따라서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수지를 크게 홍수조절용, 수력발전용, 농업용수용 및 생활·공업용수용 저수지로 용도별로 구분하고 각 용도별로 대표적인 저수지 총 35개를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저수지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우리나라 저수지는 이용목적에 따라 농업용, 발전용, 생활·공업용수용, 홍수조절용 저수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Cho and Cho, 2013), 이러한 저수지 용도에 따라서 저수지 전체 및 호안의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에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호안의 환경은 수위변동폭과 수질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으며 부수적으로 호안 토양의 토성이 중요한 환경 요인이었다 (Cho and Cho, 2013).
저수지의 용도에 따라 호안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차이가 나타나는 예는 무엇이 있는가? 저수지의 용도에 따라서 수문 관리를 달리하기 때문에 수위변동의 크기와 빈도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서 식생을 비롯한 호안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차이가 나타난다 (Casanova and Brock, 2000). 예를 들면 홍수조절용 저수지는 고도가 높은 곳에 조성되고 규모가 매우 크며 수위변동폭이 크지만 그 빈도가 적은 특징을 보였고, 발전용 저수지는 홍수조절용 저수지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수위변동 폭이 작으나 그 변화 빈도가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Cho and Cho, 2013). 또한 저수지의 수질은 저수지의 수심이 얕을수록 체적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져서 부영양화에 취약하고 (Yoon et al.
부영양화에 취약한 특징을 지닌 저수지는 어디인가? 예를 들면 홍수조절용 저수지는 고도가 높은 곳에 조성되고 규모가 매우 크며 수위변동폭이 크지만 그 빈도가 적은 특징을 보였고, 발전용 저수지는 홍수조절용 저수지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수위변동 폭이 작으나 그 변화 빈도가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Cho and Cho, 2013). 또한 저수지의 수질은 저수지의 수심이 얕을수록 체적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져서 부영양화에 취약하고 (Yoon et al., 2003; Kim and Kim, 2010), 수질 관리 목표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농업용 저수지에서 부영양화가 심하게 진행되고 있다 (Cho and Cho,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brahams, C (2005).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drawdown zones, British Wildlife, 16, pp. 395-402. 

  2. Beklioglu, M, Altinayar, G and Tan, CO (2006). Water level control over submerged macrophyte development in five shallow lakes of Mediterranean Turkey, Archiv fur Hydrobiologie, 166, pp. 535-556. 

  3. Brian, R, Venables, B, Bates, DM, Hornik, K, Gebhardt, A and Firth, D (2002). Modern applied statistics with S, The J.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52, pp. 689-705. 

  4. Casanova, MT and Brock, MA (2000). How do depth,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Plant Ecology, 147, pp. 237-250. 

  5. Chambers, PA and Kaiff, J (1985). Depth distribution and biomass of submersed aquatic macrophyte communities in relation to Secchi depth, Canadian J.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2, pp. 701-709. 

  6. Cho, HS (2013).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drawdown zone of Korean reservoir,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7. Cho, HS and Cho, K-H (2013).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6, pp. 343-359. [Korean Literature] 

  8. Choung, YS, Lee, WT, Cho, K-H, Joo, KY, Min, BM, Hyun, J-O,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9. Choung, CJ, Kopaska, JA and Downing, JA (2004). A century of change in macrophyte abundance and composition in response to agricultural eutrophication, Hydrobiologia, 524, pp. 145-156. 

  10. Emmanuel, P, Bolker, B, Claude, J, Cuong, HS, Desper, R, Durand, B, Dutheil, J, Gascuel, O, Heibl, C, Lawson, D, Lefort, V, Legendre, P, Lemon, J, McCloskey, R, Nylander, J, Opgen-Rhein, R, Popescu, A, Schliep, K, Strimmer, K and de Vienne, D (2015). Analyses of Phylogenetics and Evolution, Package'ape'. http://ape-package.ird.fr/. 

  11. Harrell, FE (2015). Package 'Hmisc'. https://cran.r-project.org/packageHmisc 

  12. Hill, NM, Keddy, PA and Wisheu, IC (1998). A hydrolog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effects of dams on the shoreline vegetation of lakes and reservoirs, Environmental Management, 22, pp. 723-736. 

  13. Hofmann, H, Lorke, A and Peeters, F (2008). Temporal scales of water-level fluctuations in lakes and their ecological implications, Hydrobiologia, 613, pp. 85-96. 

  14. Hough, RA, Mark, DF, Brian, JN, Robert, LT and David, AP (1989). Plant Community dynamics in a chain of lakes: principal factors in the decline of rooted macrophytes with eutrophication, Hydrobiologia, 173, pp. 199-217. 

  15. Keddy, P and Fraser, LH (2000). Four general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wetlands in large lakes: The role of water levels, nutrients, competitive hierarchies and centrifugal organization, Lakes &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5, pp. 177-185. 

  16. Keddy, PA and Reznicek, AA (1986). Great Lakes vegetation dynamics: the role of fluctuating water level and buried seeds, J. of Great Lakes Research, 12, pp. 25-36. 

  17. Kim, HJ and Kim, HI (2010).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effective water depth,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17, pp. 95-104. [Korean Literature] 

  18. Lee, Y, Kim, J-K, Jung, S, Eum, J, Kim, C and Kim, B (2014).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index model for lakes and reservoirs,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pp. 19-28. 

  19.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er,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20. Leira, M and Cantonati, M (2008). Effects of water-level fluctuations on lakes: an annotated bibliography, Hydrobiologia, 613, pp. 171-184. 

  21. Lu, Z-J, Li, L-F, Jiang, M-X, Huang, H-D and Bao, D-C (2010). Can the soil seed bank contribute to revegetation of the drawdown zone in the Three Gorges Reservoir Region? Plant Ecology, 209, pp. 153-165. 

  22. Naselli-Flores, L and Barone, R (2005). Water-level fluctuations in Mediterranean reservoirs: setting a dewatering threshold as a management tool to improve water quality, Hydrobiologia, 548, pp. 85-99. 

  23. Nishihiro, J, Kato, Y, Yoshida, T and Washitani, I (2014).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a floating-leaved plant, Trapa japonica, in Lake Mikata, Japan, is determined by limitations on seed dispersal and harmful salinity levels, Ecological Research, 29, pp. 981-989. 

  24. Oksanen, J, Blanchet, FG, Kindt, R, Legendre, P,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and Wagner, H (2015).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org. 

  25.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26. Phillips, GL, Eminson, D and Moss, B (1978). A mechanism to account for macrophyte decline in progressively eutrophicated freshwaters, Aquatic Botany, 4, pp. 103-126. 

  27. R Core Team (2015).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28.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 (2012). https://rawris.ekr.or.kr/. 

  29. Smith, SDP (2014). The rol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regulating the dominance of floating and submerged aquatic plants in a field mesocosm experiment, Aquatic Botany, 112, pp. 1-9. 

  30. Steffen, K, Becker, T, Herr, W and Leuschner, C (2013). Diversity loss in the macrophyte vegetation of northwest German streams and rivers between the 1950s and 2010, Hydrobiologia, 713, pp. 1-17. 

  31. Stroh, HG (2006). Contribution to the ephemeral wetland vegetation along riverbanks and lakeshores of Western Thrace (NE Greece), Tuexenia, 26, pp. 353-388. 

  32. Thomaz, SM, Thomaz, AP, Bini, LM and Murphy, KJ (2006). Effect of reservoir drawdown on biomass of three species of aquatic macrophytes in a large sub-tropical reservoir (Itaipu, Brazil). Hydrologia, 570, pp. 53-59. 

  33. Van Geest, GJ, Wolters, H, Roozen, FCJM, Coops, H, Roijackers, RMM, Buijse, AD and Scheffer, M (2005). Water-level fluctuations affect macrophyte richness in floodplain lakes, Hydrobiologia, 539, pp. 239-248. 

  34. Wagner, T and Falter, CM (2002). Response of an aquatic macrophyte community to fluctuating water levels in an oligotrophic lake,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8, pp. 52-65. 

  35.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2012). http://www.wamis.go.kr/. 

  36. Wilcox, DA and Nichols, SJ (2008). The Effects of water-level fluctuations on vegetation in a Lake Huron wetland, Wetlands, 28, pp. 487-501. 

  37. Wooten, JW (1986). Variations in leaf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Sagittaria (Alismataceae) caused by various water levels, Aquatic Botany, 23, pp. 321-27. 

  38. Yoon, KS, Lee, KS, Kim, HJ and Kim, HI (2003). Classification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5, pp. 66-7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