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정된 크로스-바디 스트레칭이 오목위팔관절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ified Cross-body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in Glenohumeral Join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4, 2015년, pp.1 - 7  

고은경 (마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도영 (중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운동병리 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ross-body stretching (CBS) and modified cross-body stretching (MCBS) on the range of motion (ROM) of glenohumeral joint (GHJ) in healthy subjects. METHODS: Thir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2 groups: CBS group without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어깨 뒤 긴장을 이완시키기 위해 어깨뼈 고정 유무에 따른 크로스-바디 스트레칭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뼈 고정 유무에 따른 크로스-바디 스트레칭(cross-body stretching: CBS)과 수정된 크로스-바디 스트레칭(modified cross-body stretching: MCBS)이 오목위팔 관절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어깨뼈 고정 유무에 따른 크로스-바디 스트레칭이 오목위팔관절의 수평 모음과 안쪽 회전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어깨뼈를 고정한 MCBS 군은 오목위팔관절 안쪽회전과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의 전⋅후 차이가 어깨뼈를 고정하지 않는 CBS 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군 간에 스트레칭 강도를 동일하게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에게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최대 강도로 스트레칭 하도록 지시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스트레칭 기법 자체의 제한 점이다.

가설 설정

  • 두 번째로, 본 연구는 즉각적인 스트레칭 효과를 알아본 반면에 이전 연구에서는 4주간의 장기간의 스트레칭 효과였기 때문에 이전 연구에서 스트레칭 전⋅후 차이 값이 더 컷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월 스트레칭은 무엇인가? 타월 스트레칭은 오목위팔관절을 모음, 안쪽회전, 그리고 폄 자세를 취하기 위해 한 손을 등 뒤로 하고, 타월을 이용하여 반대 손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이다. 또 다른 흔히 수행하는 스트레칭으로 크로스-바디 스트레칭으로 어깨를 90˚ 굽힘 상태로 올린 다음 반대 팔로 가슴을 가로질러 수평 모음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이다.
타월 스트레칭과 크로스-바디 스트레칭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 다른 흔히 수행하는 스트레칭으로 크로스-바디 스트레칭으로 어깨를 90˚ 굽힘 상태로 올린 다음 반대 팔로 가슴을 가로질러 수평 모음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이다. 이 두 가지 스트레칭 방법은 어깨뼈(scapula)를 고정하지 않아 오목위팔관절을 가로지르는 조직뿐만 아니라 어깨흉부관절 조직에 스트레스가 주어지기 때문에 어깨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반면에 효과적인 스트레칭을 위해 어깨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리퍼 스트레칭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어깨와 팔꿈치를 90˚ 굽힘 자세를 취한 후 반대 손을 이용하여 먼쪽 아래팔을 밀어 테이블에 가까워지도록 안쪽회전 시키는 방법이다.
임상과 스포츠 활동에서 어깨 뒤쪽의 단축은 어떤 질환의 원인이 되는가? 임상과 스포츠 활동에서 어깨 뒤쪽의 단축(posterior shoulder tightness)은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관절테두리 손상(labral lesion), 그리고 회전근개 파열을 일으키는 흔한 어깨질환의 원인이다(Grossman 등, 2005; Tyler 등, 2000). 어깨 관절의 뒤쪽 관절낭(posterior capsule)과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그리고 작은원근(teres minor)과 같은 바깥 회전근의 어깨 뒤쪽의 단축은 팔 올리기 시 위팔뼈 머리(humeral head)의 과도한 앞쪽과 위쪽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봉오리 밑 공간(subacromial space)을 감소시킨다(Harryman 등, 1990; Ludewig와 Cook,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rsa PA, Dover GC, Wilk KE, et al. Glenohumeral range of motion and stiffness in professional baseball pitchers. Med Sci Sports Exerc. 2006;38(1):21-6. 

  2. Borstad JD, Dashottar A. Quantifying strain on posterior shoulder tissues during 5 simulated clinical tests: a cadaver stud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 41(2):90-9. 

  3. Burkhart SS, Morgan CD, Kibler WB. The disabled throwing shoulder: spectrum of pathology Part III: The SICK scapula, scapular dyskinesis, the kinetic chain, and rehabilitation. Arthroscopy. 2003;19(6):641-61. 

  4. Dillman CJ, Fleisig GS, Andrews JR. Biomechanics of pitching with emphasis upon shoulder kinematic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3;18(2):402-8. 

  5. Ellenbecker TS, Roetert EP, Bailie DS, et al. Glenohumeral joint total rotation range of motion in elite tennis players and baseball pitchers. Med Sci Sports Exerc. 2002;34(12):2052-6. 

  6. Fleisig GS, Andrews JR, Dillman CJ, et al. Kinetics of baseball pitching with implications about injury mechanisms. Am J Sports Med. 1995;23(2):233-9. 

  7. Grossman MG, Tibone JE, McGarry MH, et al. A cadaveric model of the throwing shoulder: a possible etiology of superior labrum anterior-to-posterior lesions. J Bone Joint Surg Am. 2005;87(4):824-31. 

  8. Harryman DT II, Sidles JA, Clark JM, et al. Translation of the humeral head on the glenoid with passive glenohumeral motion. J Bone Joint Surg Am. 1990;72(9):1334-43. 

  9. Izumi T, Aoki M, Muraki T, et al. Stretching positions for the posterior capsule of the glenohumeral joint: strain measurement using cadaver specimens. Am J Sports Med. 2008;36(10):2014-22. 

  10. Lintner D, Mayol M, Uzodinma O, et al. Glenohumeral internal rotation deficits in professional pitchers enrolled in an internal rotation stretching program. Am J Sports Med. 2007;35(4):617-21. 

  11. Ludewig PM, Cook TM. Translations of the humerus in person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mptom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32(6):248-59. 

  12. Manske RC, Meschke M, Porter A,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ed comparison of stretching versus stretching and joint mobilization for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measured by internal rotation motion loss. Sports Health. 2010;2(2):94-100. 

  13. McClure P, Balaicuis J, Heiland D,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of stretching procedures for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3):108-14. 

  14. Moore SD, Laudner KG, McLoda TA, et al. The immediate effects of muscle energy technique on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41(6):400-7. 

  15. Morrison DS, Frogameni AD, Woodworth P. Non-operative treatment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J Bone Joint Surg Am. 1997;79(5):732-7. 

  16. Muraki T, Yamamoto N, Zhao KD, et al. Effect of posteroinferior capsule tightness on contact pressure and area beneath the coracoacromial arch during pitching motion. Am J Sports Med. 2010;38(3):600-7. 

  17. Myers JB, Laudner KG, Pasquale MR, et al. Glenohumeral range of motion deficits and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in throwers with pathologic internal impingement. Am J Sports Med. 2006;34(3):385-91. 

  18. Pappas AM, Zawacki RM, Mccarthy CF. Rehabilitation of the pitching shoulder. Am J Sports Med. 1985; 13(4):223-35. 

  19. Tyler TF, Nicholas SJ, Roy T, et al. Quantification of posterior capsule tightness and motion loss in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Am J Sports Med. 2000; 28(5):668-73. 

  20. Warner JJ, Micheli LJ, Arslanian LE, et al. Patterns of flexibility, laxity, and strength in normal shoulders and shoulders with instability and impingement. Am J Sports Med. 1990;18(4):366-75. 

  21. Wilk KE, Hooks TR, Macrina LC. The modified sleeper stretch and modified cross-body stretch to increas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in the overhead throwing athlet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3; 43(12):891-4. 

  22. Wilk KE, Meister K, Andrews JR. Current concepts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overhead throwing athlete. Am J Sports Med. 2002;30(1):136-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