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뇌졸중 환자의 최대 호기와 배 안으로 밀어 넣기가 복부근육두께에 미치는 효과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Abdominal Muscles between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nd Maximal Expir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4, 2015년, pp.33 - 38  

서동권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지선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s commonly used in clinical training for trunk stability, performing this procedure in stroke patients is difficult; instead, maximal expiration can be much easily performed in stroke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aimed to demonstrat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확한 동작 수행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들 근육의 훈련 방법으로 배 안으로 밀어 넣기 동작이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그리고 배바깥빗근의 대칭성과 배 안으로 밀어 넣기 동작과 최대 호기 시 이들 근육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복부 근육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복부 근육의 수축을 위한 훈련방법으로 최대 호기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shida 등, 2012). 이에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 배 안으로 밀어 넣기와 최대 호기를 적용한 후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배 안으로 밀어 넣기보다 최대 호기가 마비측 복부 근육의 두께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들의 재활의 목적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들에게 재활의 목적은 거의 대부분 제한된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의 회복이라고 볼 수 있다(Verheyden 등, 2007). 뇌졸중 후 체간에 발생하는 감각과 운동의 장애는 기능적인 움직임과 많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Karatas 등, 2004; Ryerson 등, 2008).
바깥 복부층을 형성하는 근육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배가로근(transverses abdominal muscle), 배속빗근(internal oblique)은 중요한 체간 근육으로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과 함께 바깥 복부층을 형성한다(Hodges와 Richardson, 1997). 이중 배가로근과 배속빗근은 복부 속근육으로 균형과 자세 조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Verheyden 등, 2007).
최근 복부 근육의 두께 변화를 평가 하기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환자들의 복부 근육의 두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 기기를 사용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평가는 비침습적이고 측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평가 시 나타나는 주변 근육의 혼선(cross-talk)이 없어 측정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Peschers 등, 2001).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높아 최근 복부 근육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Richardson 등, 2004; Hides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hm DG, Drinkwater EJ, Willardson JM, et al. The use of instability to train the core musculature. Appl Physiol Nutr Metab. 2010;35(1):91-108. 

  2. Hides J, Wilson S, Stanton W, et al.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2006;31(6):175-8. 

  3. Hides JA, Belavy DL, Cassar L, et al. Altered response of the anterolateral abdominal muscles to simulated weight-bearing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Eur Spine J. 2009;18(3):410-8. 

  4. Hodges PW, Gandevia SC, Richardson CA. Contractions of specific abdominal muscles in postural tasks are affected by respiratory maneuvers. J Appl Physiol. 1997;83(3):753-60. 

  5. Hodges PW, Pengel LH, Herbert RD, et al.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Nerve. 2003;27(6):682-92. 

  6. Hodges PW, Richardson CA.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 Brain Res. 1997;114 (2):362-70. 

  7. Ishida H, Hirose R, Watanabe S.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contraction of the lateral abdominal muscles between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nd breathe held at the maximum expiratory level. Man Ther. 2012;17(5):427-31. 

  8. Jull GA, Richardson CA. Motor control problems in patients with spinal pain: a new direction for therapeutic exercis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0;23(2): 115-7. 

  9. Karatas M, Cetin N, Bayramoglu M, et al.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4;83(2):81-7. 

  10. Karthikbabu S, Rao BK, Manikandan N, et al. Role of trunk rehabilitation on trunk control,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re-post design. Neurosci Med 2011;2:61-7. 

  11. Mannion AF, Pulkovski N, Gubler D, et al. Muscle thickness changes during abdominal hollowing: an assessment of between-day measurement error in controls and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Eur Spine J. 2008;17(4):494-501. 

  12. Marsden JF, Hough A, Shum G, et al. Deep abdominal muscle activity following supratentorial stroke. J Electromyogr Kinesiol. 2013;23(4):985-90. 

  13. Misuri G, Colagrande S, Gorini M, et al. In vivo ultrasound assessment of respiratory function of abdominal muscles in normal subjects. Eur Respir J. 1997;10(12): 2861-7. 

  14. Nelles G, Spiekermann G, Jueptner M, et al. Reorganization of sensory and motor system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Stroke. 1999;30(8):1510-6. 

  15. Park HJ, Shin WS , Oh DW. The Study of Asymmetrical Contraction of the Lateral Abdominal Muscles in Stroke Patients using Ultrasound Imaging. J Korean Soc Phys Med. 2012;7(3):319-27. 

  16. Peschers UM, Gingelmaier A, Jundt K, et al. Evaluation of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using four different techniques. Int Urogynecol J Pelvic Floor Dysfunct. 2001;12(1):27-30. 

  17. Richardson CA, Hides JA, Wilson S, et al. Lumbo-pelvic joint protection against antigravity forces: motor control and segmental stiffness assess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J Gravit Physiol. 2004;11(2): P119-22. 

  18. Richardson CA, Jull GA. Muscle control-pain control. What exercises would you prescribe? Man Ther. 1995;1(1): 2-10. 

  19. Richardson CA, Snijders CJ, Hides JA, et al.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s, sacroiliac joint mechanics, and low back pain. Spine. 2002;27(4): 399-405. 

  20. Ryerson S, Byl NN, Brown DA,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2008;32(1):14-20. 

  21. Teyhen DS, Bluemle LN, Dolbeer JA, et al. Changes in lateral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n those with lumbopelvic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11):791-8. 

  22. Teyhen DS, Miltenberger CE, Deiters HM, et al. The use of ultrasound imaging of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5;35(6):346-55. 

  23. Urquhart DM, Hodges PW, Story IH. Postural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varies between regions of these muscles and between body positions. Gait Posture. 2005;22(4):295-301. 

  24. Verheyden G, Nieuwboer A, Van de Winckel A, et al. Clinical tools to measur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2007;21(5):387-94. 

  25.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Clin Rehabil. 2006;20(5):4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