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요통환자의 요추부 불안정성 유무에 따른 능동 하지직거상 시 요골반부 회전각의 차이
Comparison of Lumbo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ith and without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4, 2015년, pp.39 - 48  

유창우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egree of lumbopelvic rotation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test in chronic low back pain with and without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METHODS: A total of 71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ASLR 검사가 시상면에서 요골반부의 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임상도구로 입증하였으나(Hicks et al, 2005; Liebenson et al, 2009; Roussel et al, 2007), 만성요통환자가 ASLR 시 요골반부의 회전 각도, 그리고 한 다리를 드는데 어려움 정도가 요추부 불안정성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ASLR 시 요골반부 회전각이 어느 정도 회전해야 불안정성의 발생 여부를 예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환자의 요추부 불안정성 유무에 따라 ASLR 시 요골반부 회전각과 주관적 어려움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요추부 불안정성에 따른 ASLR 시 요골반부 회전각의 절단값(cut-off value)을 제시하고자 한다.
  • 5도 이상일 경우 요추부에 불안정성이 있다고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만성요통환자의 요추부 불안정성 여부를 검사할 때 ASLR 검사를 이용한 요골반부 회전각 검사법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환자의 요추부 불안정성의 유무에 따라 ASLR 시 요골반부 회전각과 주관적 어려움 정도의 차이와 절단값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추부 불안정성이 유무에 따라 ASLR 시 요골반부의 회전각의 평균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요통은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만성요통은 오늘날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다. 이러한 만성요통은 기능 저하, 삶의 질 저하, 정서적 변화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Delitto et al, 2012). 만성요통은 최소 12주 동안 증상이 존재한 경우로 정의하고 그 중에 비특이성 요통이 95%를 차지한다(Airaksinen et al, 2006).
만성요통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만성요통은 기능 저하, 삶의 질 저하, 정서적 변화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Delitto et al, 2012). 만성요통은 최소 12주 동안 증상이 존재한 경우로 정의하고 그 중에 비특이성 요통이 95%를 차지한다(Airaksinen et al, 2006). 요추부 안정성은 만성요통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안되었다(Panjabi, 2003).
요골반부 안정성에 기여하는 근육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많은 연구자들이 요추의 회전중심은 복횡근과 다열근이 상호 공동수축으로 조절된다고 보고하였다(Vleeming et al, 2007). 특히 다열근은 척추를 후방으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체간을 굴곡 시 복근들에 의해 발생되는 척추의 굴곡을 중립화 시키며 요추 4-5번 분절의 안정성을 2/3이상 기여하고 있다(Wilke et al, 1995). 뿐만 아니라 요추와 골반은 생체역학적 체계로 흉요근막을 형성하여 요골반부의 안정성에도 기여한다(Dillen et al, 2003). 흉요근막을 형성하는 근육은 크게 대근육과 소근육으로 나누어진다. 대근육에는 척추기립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복직근, 요방형근, 요근과 광배근이 있으며, 소근육에는 복횡근, 다열근, 횡돌기간근, 극돌기간근 등이 있다(Bergmark, 1989). 흉요근막을 이루는 근육의 수축은 흉요근막의 장력을 증가시켜 척추를 뻣뻣하게 만들고, 상하지가 움직이는 동안에 요골반부의 안정성에 기여한다(Vleeming et al, 2007). 이러한 요골반부 안정성의 결핍은 일상생활에서 불안정성이 반복되거나 유지되어 요통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다(Hoffman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iraksinen O, Brox JI, Cedraschi C, et al. Chapter 4.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Eur Spine J. 2006;15 Suppl 2:S192-300. 

  2. Alqarni AM, Schneiders AG, Hendrick PA. Clinical tests to diagnose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 systematic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41(3):130-40. 

  3.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 Scand Suppl. 1989;230: 1-54. 

  4. Bruno PA, Goertzen DA, Millar DP. Patient-reported perception of difficulty as a clinical indicator of dysfunctional neuromuscular control during the prone hip extension test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Man Ther. 2014; 19(6):602-7. 

  5. Delitto A, George SZ, Van Dillen LR, et al.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2;42(4):A1-57. 

  6. Elia DS, Bohannon RW, Cameron D, et al. Dynamic pelvic stabilization during hip flexion: a comparison stud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4(1):30-6. 

  7. Hebert JJ, Koppenhaver SL, Magel JS, et al. The relationship of transversus abdominis and lumbar multifidus activation and prognostic factors for clinical success with a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A crosssectional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 78-85. 

  8.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clinical examination measures for identification of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858-64. 

  9.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determining which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ill respond to a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Arch Phys Med Rehabil. 2005;86(9):1753-62. 

  10. Hoffman SL, Johnson MB, Zou D, et al. Effect of classification-specific treatment on lumbopelvic motion during hip rotation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Man Ther. 2011;16(4):344-50. 

  11. Hungerford B, Gilleard W, Hodges P. Evidence of altered lumbopelvic muscle recruitment in the presence of sacroiliac joint pain. Spine (Phila Pa 1976). 2003;28 (14):1593-600. 

  12. Hungerford B, Gilleard W, Lee D. Altered patterns of pelvic bone motion determined in subjects with posterior pelvic pain using skin marker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4;19(5):456-64. 

  13. Lee DG. The pelvic girdle(3r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2004. 

  14. Lee Hj, Kim Sy,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Draw-In and Expansion Maneuvers on Trunk Stabiliza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umbar Spine Instability. Phys Ther Korea 2015;22(1):37-48. 

  15. Liebenson C, Karpowicz AM, Brown SH, et al.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lumbar spine stability. PM R. 2009;1(6):530-5. 

  16. Linek P, Saulicz E, Wolny T, et al. Intra-rater reliability of B-mode ultrasound imaging of the abdominal muscles in healthy adolescents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PM R. 2015;7(1):53-9. 

  17. Magee DJ. Instability &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Seminar workbook. 2. 1999. 

  18. Mens JM, Vleeming A, Snijders C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in posterior pelvic pain since pregnancy. Spine (Phila Pa 1976). 2001;26(10):1167-71. 

  19. Mens JM, Vleeming A, Snijders CJ, et al. Responsiveness of outcome measurements in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posterior pelvic pain since pregnancy. Spine (Phila Pa 1976). 2002;27(10):1110-5. 

  20. Mens JM, Vleeming A, Snijders CJ, et al. The act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and mobility of the pelvic joints. Eur Spine J. 1999;8(6):468-73. 

  21. Noh KH, Kim JW, Kim GM, et al. The influence of dual pressure biofeedback units on pelvic rotation and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women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J Phys Ther Sci. 2014;26(5):717-9. 

  22. O KY, Jhung YJ, Park SB, et al. Comparison between computerized inclinometer and manual inclinometer in measuring whole spinal range of motion. Ann Rehabil Med. 2002;26(4):456-60. 

  23.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9. 

  24. Panjabi MM.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I. Neutral zone and instability hypothesis. J Spinal Disord. 1992;5(4):390-6; discussion 97. 

  25. Park KH, Ha SM, Kim SJ, et al. Effects of the pelvic rotatory control method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and the pelvic rotation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Man Ther. 2013;18(3):220-4. 

  26. Roussel NA, Nijs J, Truijen S, et al. Low back pain: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trendelenburg test,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breathing pattern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7;30(4):270-8. 

  27. Sa JM, Kim S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sive lumbar extension test and the prone instability test. Phys Ther Korea. 2011;18(3):85-93. 

  28. Tateuchi H, Tsukagoshi R, Fukumoto Y, et al. Pelvic instability and trunk and hip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J Electromyogr Kinesiol. 2013;23(1):151-8. 

  29. Van Dillen LR, Sahrmann SA, Norton BJ, et al. The effect of modifying patient-preferred spinal movement and alignment during symptom testing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preliminary report. Arch Phys Med Rehabil. 2003;84(3):313-22. 

  30. Vleeming A, Mooney V, Stoeckart R. Movement Stability and Lumbopelvic Pain (2nd ed). Churchill Livingstone. 2007. 

  31. Wilke HJ, Wolf S, Claes LE, et al. Stability increase of the lumbar spine with different muscle groups. A biomechanical in vitro study. Spine (Phila Pa 1976). 1995;20(2):192-8. 

  32. Wiltse L, Rothman S. Spondylolisthesis: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natural history. Semin Spine Surg. 1989; 1(1):7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