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요통환자의 능동 하지직거상 동작 시 골반조절 방법에 따른 복부 근활성도와 요골반부 회전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elvic Control Method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and Lumbo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8 no.2, 2020년, pp.223 - 231  

김대현 (강북가톨릭정형외과) ,  박진 (드림솔병원 근골격계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methods of pelvic control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and lumbo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ASLR) i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tients with low back p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만성요통 환자의 경우 복부근을 선택적으로 동원하거나 직접적으로 골반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대편 하지를 이용하여 골반을 조절하기 위한 내적인 힘을 이끌어내어 능동 하지직거상 동작 시 복부 근활성을 활성 화시키고, 골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임상에서 능동 하지직거상 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능동 하지직거상 동안 반대편 하지를 이용하여 골반을 조절하는 방법이 복부 근활성도와 골반회전 각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에서 능동 하지직거상을 실시함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 환자에게 능동 하지직거상 동안 반대편 하지를 이용하여 골반을 조절하는 것이 복부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골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에서 능동 하지직거상을 실시함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성인들이 요통을 예방하기 위해 복근의 활성을 목적으로 할 수 있는 동작은 무엇인가? 능동 하지직거상 동작은 일반 성인에게 요통을 예방하기 위하여 복근의 활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Gatti et al., 2006).
만성요통을 유발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 2009). 이러한 만성요통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요추부의 불안정성은 만성요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Panjabi, 2003).
외적인 힘을 이용하여 골반의 안정성 안정성을 향상시킬 때 내적인 힘을 이용하는 방법 또한 병행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9). 그러나 외적인 힘을 이용하는 방법은 치료사의 손이나 골반벨트를 지속적으로 적용 시에만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환자의 내적인 힘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Hu et al., 2010; Takasa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iraksinen O, Brox JI, Cedraschi C, et al.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European Spine Journal. 2006;15(Suppl2):s192. 

  2. Andersson GB. Epidemiological features of chronic low-back pain. The Lancet. 1999;354(9178):581-585. 

  3.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1989;60(Sup230):1-54. 

  4. Costa LDCM, Maher CG, McAuley JH, et al. Prognosis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ception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2009;339:b3829. 

  5. Cram JR.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New York. Aspen Publishers. 1998. 

  6. Dankaerts W, O'sullivan PB, Burnett AF, et al. Reliability of EMG measurements for trunk muscles during maximal and sub-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in healthy controls and CLBP patient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Kinesiology. 2004;14(3):333-342. 

  7. Frank C, Page P,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Human kinetics. 2009. 

  8. Gatti R, Corti M, Cervi P, et al. Biomechanics of lower limb raising from the supine position. Europa Medicophysica. 2006;42(3):185-193. 

  9. Hermens H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et al.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Kinesiology. 2000;10(5):361-374. 

  10.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clinical examination measures for identification of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84(12):1858-1864. 

  11. Hoffman S L, Johnson M B, Zou D, et al. Effect of classification-specific treatment on lumbopelvic motion during hip rotation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Manual Therapy. 2011;16(4):344-350. 

  12. Hu H, Meijer OG, van Dieen JH, et al. Muscle activity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and the effects of a pelvic belt on the ASLR and on treadmill walking. Journal of Biomechanics. 2010;43(3):532-539. 

  13. Kisner C, Colby LA, Borstad J.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Philadelphia. Fa Davis. 2017. 

  14. Lee D. The pelvic girdle.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9. 

  15. Liebenson C, Karpowicz AM, Brown SH, et al.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lumbar spine stabil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9;1(6):530-535. 

  16. Mens JM, Vleeming A, Snijders CJ, et al. The act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and mobility of the pelvic joints. European Spine Journal. 1999;8(6):468-473. 

  17. Mens JM, Damen L, Snijders CJ, et al. The mechanical effect of a pelvic belt in patients with pregnancy-related pelvic pain. Clinical Biomechanics. 2006;21(2):122-127. 

  18. Nelson-Wong E, Poupore K, Ingvalson S, et al. Neuromuscular strategies for lumbopelvic control during frontal and sagittal plane movement challenges differ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13;23(6):1317-1324. 

  19. Noh KH, Kim JW, Kim GM, et al. The influence of dual pressure biofeedback units on pelvic rotation and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women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4;26(5):717-719. 

  20. Oh JS, Cynn HS, Won JH, et al. Effects of performing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on hip and back extensor muscle activity and amount of anterior pelvic tilt.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7;37(6):320-324. 

  21.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03;13(4):371-379. 

  22. Park KH, Ha SM, Kim SJ, et al. Effects of the pelvic rotatory control method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and the pelvic rotation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Manual Therapy. 2013;18(3):220-224. 

  23. Richardson CA, Snijders CJ, Hides JA, et al.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s, sacroiliac joint mechanics, and low back pain. Spine. 2002;27(4):399-405. 

  24. Roussel NA, Nijs J , Mottram S, et al. Altered lumbopelvic movement control but not generalized hypermobil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jury in dancers. A prospective study. Manual Therapy. 2009;14(6):630-635. 

  25. Sawle L, Freeman J , Marsden J, et al. Exploring the effect of pelvic belt configurations upon athletic lumbopelvic pain.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2013;37(2):124-131. 

  26. Takasaki H, Iizawa T, Hall T, et al. The influence of increasing sacroiliac joint force closure on the hip and lumbar spine extensor muscle firing pattern. Manual Therapy. 2009;14(5):484-489. 

  27. Yu CW, Kim SY. Comparison of lumbo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ith and without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5;10(4):39-48. 

  28. Vleeming A, Mooney V, Stoeckart R. Movement stability and lumbopelvic pain.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