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문화 권리의 제고 복제문화와 콘텐츠 큐레이션의 쟁점
Rethinking the Right to Culture in the Digital Age The Issues of Copying Culture and Content Curation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4, 2015년, pp.197 - 224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뉴스콘텐츠 업계, 특히 '큐레이션'이라는 뉴스의 제작보다는 가공과 편집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최근 온라인 뉴스콘텐츠 플랫폼 문화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근본적으로 이 글은 풍요로운 인간 창작의 근원이 현실 세계의 모사(알리아스)와 창조적 변형의 모방(미메시스)이 합쳐진 복제문화에서 온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복제문화의 과도한 상업주의적이고 퇴행적 흐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뉴스 큐레이션 기업들은 기존 저작물의 리믹스와 매시업 과정을 확대하면서 더욱더 대담하게 복제하고 '훔치고' 혼성화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자 대중의 문화 공유지로 귀속시키는데 무심하다고 본다. 이 글은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반형 뉴스콘텐츠 큐레이션 업체의 사례를 들어 이의 복제문화적 위상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본 연구는 오늘날 뉴스 큐레이션 자체가 누리꾼들의 정보 공유지로부터의 무단 퍼나르기적 속성이 강해질수록 큐레이션 업체들은 이에 대한 호혜주의에 입각한 사회 보상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큐레이션 문화를 이용자 대중이 함께 향유하고 문화 권리화 할 수 있는 덜 약탈적인 대안을 구상하려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ritically investigates the cultural phenomenon surrounding the news mobile phone app in which 'curation', relying on the news editing and adaption, has become much more significant than making the news directly. This study affirms the fact that a copying culture which is basically a com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제란 무엇인가? ‘복제’(copying)란 “한 대상의 이름을 다른 대상에 부여하고 한 대상의 형상을 다른 대상 안에서 생산하거나 인식하는 행위”(Boon, 2010: 309)라 말할 수 있다. 복제 행위를 잘 보면, 이는 두 단계의 과정적 행위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과 인터넷은 어떤 효과를 갖는가? 디지털과 인터넷이란 새로운 기술 현실은 인류의 복제와 미메시스의 오래된 전통을 전면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복제와 ‘전유’1)는 누리꾼들의 ‘감염문화’(viral culture)의 일부로 존재하는 ‘펌질’과 ‘포샵’ 행위를 극대화한다.
‘알고리즘 저널리즘’ 혹은 ‘로봇 저널리즘’이라 불리는 오늘날 뉴스의 실태는 어떠한가? 뉴스의 세계는 어떠한가? 오늘날 이윤수취의 획득이 네이버나 다음의 뉴스 재가공 플랫폼 업자나 모바일 기반형 뉴스 큐레이터 <피키캐스트> 등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뉴스도 현실계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의 기사 취재 과정보다는 가상계에서 상호 복제되거나 모사되어 존재하는 시뮬라크르의 수집에 점점 더 의존한다. 즉 뉴스의 생산기제는 전통적으로 전문 편집자와 저널리즘 교육을 받은 기자들의 창의적 취재 방식과 함께, 점차 누리꾼들이 만들어낸 내용들을 자신의 뉴스 인터넷 플랫폼으로 끌어들여 기계적 알고리즘에 의해 뉴스거리들을 생산하고(재)배치하는 자동화 저널리즘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2) 더 나아가 우리는 오늘날 뉴스 기삿거리의 선정, 배치, 구성과 같이 기자들이 수행하던 현실 사건의 취재, 편집 과정을 기계가 대신 해주는 시대까지 점친다. 우린 이제 이를 ‘알고리즘 저널리즘’ 혹은 ‘로봇 저널리즘’이라 부르기도 한다(강정수,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