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단일만성질환과 복합만성질환 의료급여수급자의 사례관리요구도 비교
Comparing the Needs of Case Management between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Simple and Multiple Chronic Disease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8 no.2, 2015년, pp.98 - 106  

안양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서연옥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eds of case management between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simple and multiple chronic diseases (SCD vs MCD). Methods: The study employed secondary analysis method using a cross-sectional data from 2009 case management service enrollees. D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의료급여수급자 중에서 만성질환을 1개 보유한 단일질환군과 2개 이상 보유한 복합질환군 간에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의료급여사례관리 요구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의료급여수급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단일만성질환군과 복합만성질환군 사례관리요구도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조사연구로 2009년도 의료급여사례관리 등록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 이 연구는 의료급여사례관리 고위험군 사례관리종결자 중 단일 ․ 복합 만성질환별 사례관리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질환군별 맞춤형 의료급여사례관리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단일만성질환군과 복합만성질환군의 차이를 보인 것은 자가관리능력과 합리적 의료이용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전국 의료급여수급자의 수는? 2011년도 전국 의료급여수급자는 약 161만명으로 2008년도의 약 184만명에 비하여 12.6% 감소하였으나, 2001년 이후 지난 10년간 의료급여 연평균 급여비 증가율은 약 11.
의료급여수급자가 가지는 특징은? 의료급여수급자는 노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서 대부분 완치가 어려운 만성퇴행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지속적이며 장기간의 관리가 필요하다(Joung, Kwon, & Ahn, 2007; Lee & Sohn, 2012; Nam & Shim, 2011). 또한 노인성 질환은 단일증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치료와 관리가 복잡하여 다양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Lee & Sohn, 2012; Nam & Shim, 2011).
복합만성질환자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외국의 사례는 어떠한가?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복합만성질환자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특성파악이나 관리지침이 개발되지 않은 실정으로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복합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통합적이며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하기 위해 가이디드 케어(Guided care)를 개발했는데, 가이디드 케어의 적용으로 대상자의 만성질환 관리의 질을 향상시켰으며(Boult et al., 2008; Boyd et al., 2008), 입원이용이 감소되어 의료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Sylvia et al., 2008). 또한 영국에서도 국가 보건사회 장기요양서비스 모형에 의하여 만성질환관리를 대상자에 따라 자가관리, 질병특이관리, 복합상병관리가 단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복합만성질환자관리는 간호 전문인력에 의한 사례관리가 실시되고 있다(Sargent, Pickard, Sheaff, & Boade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2010).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ment program and its policy direction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5, 67-84. 

  2. Ahn, Y. H., Kim, E. S., & Ko, I. S. (2010). The effects of tele-care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medical aid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51-361. 

  3. Ahn, Y. H., Kim, E. S., Ham, O. K., Kim, S. H., Kim, S. O., & Song, M. K. (2012). Validation of a needs assessment tool for case management in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4), 549-558. http://dx.doi.org/10.4040/jkan. 2012.42.4.549 

  4. Baik. O. M.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applying Andersen's revised mode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8, 1-27. 

  5. Boult, C., Reider, L., Frey, K., Leff, B., Boyd, C. M., Wolff, J. L., et al. (2008). Early effects of "Guided Care" on the quality of health care for multimorbid older persons: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Gerontology 63(3), 321-327. 

  6. Boyd, C. M., Shadmi, E., Conwell, L. J., Griswold, M., Leff, B., Brager, R., et al. (2008). A pilot test of the effect of guided care on the quality of primary care experiences for multimorbid older adul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5), 536-542. http://dx.doi.org/10.1007/s11606-008-0529-9 

  7. Cho, J. H., Kim, S. O., Song, M. K., & Yim, E. S.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by geographic loc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89-302.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289 

  8.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Health care system. Retrieved October 20, 2015, from http://www.ilt.columbia.edu/publications/papers/newwinel.html 

  9. Joung, E. O., Kwon, S. B., & Ahn, O. H. (2007). Coping with experiences in multiple chronic diseases in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32-41. 

  10. Jung, Y. H. (2013). Analysis of multiple chronic diseases among the older persons: Focused on users of out patients department. Health & Welfare Issue & Focus, 26(196), 1-8. 

  11. Kim, C. J. (2013, June). Care more. Retrieved September 15, 2015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01/2013060100380.html 

  12. Kim, E. S., Lee, J. Y., & Yoo, W. S. (2009). Direction for case management services to promote appropriate use of health care by medical aid beneficiarie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3. Kim, E. S., Nam, J. J., Kim, M. Y., Ko, I. S., Lee, D. M., Kim, G. S., et al. (2007).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aid utiliz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long-term utilizers.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Nursing Policy Research Institute. 

  14. Kim, J. G. (2008).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po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7, 5-33. 

  15. Kim, S. A. (2012).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by medical aid case management-Centered on medical aid recipients with chronic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5).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older Koreans. Retrieved October 15, 2015,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research/view.jsp?bid10&ano179&keyryear&query&ryear_value2005&content_type1&queryStringcnllYXJfdmFsdWU9MjAwNSZrZXk9cnllYXImcnllYXI9MjAwNSZxdWVyeT0mcGFnZT0yJmRpdmlzaW9uPeyXsOq1rOuztOqzoOyEnA 

  17. Lee, I. S., & Kim, S. W. (2004).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 of care of Medicaid recipients.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11, 66-99. 

  18. Lee, M. J., & Sohn, H. S. (2012). Self-rated health of the chronic disease patients with depression in aged over 65.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4), 246-257. 

  19. Lim, S. J. (2010). Change in healthcare utilization by disease severity after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21-332. 

  20. Min, H. S. (2015). Comparison of health care utilization between in high risk group case management of medicare and designated doctor system group in medical aid benefici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 Family Affairs. (2008). Guideline of medicaid management. Retrieved October 8, 2015,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22. Nam, S. K., & Shim, O. S.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 239-259. 

  2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Medicaid 2010. Retrieved September 10, 2015 from http://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3 

  24. Park, E. J.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dical care use of Medicaid benefici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25. Park, E. J., & Kim, C. M. (2008). Case management process identified from experience of nurse case manag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789-801. http://dx.doi.org/10.4040/jkan.2008.38.6.789 

  26. Rhee, W. H. (2006). Developing a case management strategies program for Korean medical aid cl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7. Sargent, P., Pickard, S., Sheaff, R., & Boaden, R. (2007). Patient and carer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for long-term conditions.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5(6), 511-519. http://dx.doi.org/10.1111/j.1365-2524.2007.00708.x 

  28. Shin, Y. S., Choi, B. H., Shin, H. Y., Hwang, D. K., & Yun, S. J. (2005). A policy report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aid expenditure and improvement direc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 Sylvia, M. L., Griswold, M., Dunbar, L., Boyd, C. M., Park, M., & Boult, C. (2008). Guided care: Cost and utilization outcomes in a pilot study. Disease Management, 11(1), 29-36. http://dx.doi.org/10.1089/dis.2008.111723 

  30. Wolff, J. L., Starfield, B., & Anderson, G. (2002). Prevalence, expenditures, and complications of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elderl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 2269-227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