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 효율 향상을 위한 연료전지전극 개발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ment of Electrode for PEMFC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6 no.6, 2015년, pp.547 - 553  

박석정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  이재승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  이기섭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  노범욱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commercialization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s, one of the key objectives is to reduce cost of full stack assembly. Regard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he major issue is to improve fuel cell activation process in the initial Hydrogen Oxidation Reaction and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일반적인 열풍건조에서는 전극내에 이오노머에 열화에 따른 MEA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전극의 기공 사이에 있는 잔류 용매의 제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풍건조 공정을 개선한 VD(Vacuum Drying) 공정을 통하여, 전극내 이오노머의 열화 및 MEA의 성능저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잔류용매를 제거하고, 이를 통하여 MEA의 활성화 공정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전극의 잔류 용매 제거를 위한 최적의 건조 공정 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하였으며, 열풍건조 및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연료전지를 제조하여 활성화 공정효율 및 성능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MEA 평가를 위한 전극은 위의 용매들을 사용하여 촉매슬러리의 고형분 10%로 실험하였다. 촉매슬러리의 도포 기재로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를 사용하였으며, 전극 슬러리는 80°C 건조 존을 통해서 도포 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전극 슬러리 제조 시 사용되는 용매들을, 용매의 화학구조에 따라 3종류(1-Propanol, 1-Butanol, 1-Pentanol)로 분류하여 전극 슬러리을 제조한 후 건조 조건에 따른 잔류 용매량을 TGA 자료로 확인 할 수 있었다.
  • 촉매 슬러리는 용매별로 건조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탄소에 담지된 백금촉매에 아이노머 및 용매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촉매슬러리의 고형분은 5%로 실험하였다. 슬러리 용매로는 1-Propanol, 1-Butanol, 1-Pentanol과 H2O를 사용하였다. 열풍건조온도는 100, 130, 160°C이며 건조시간은 1, 2, 3, 4시간 건조하였다.
  • 연료전지에 적용되는 전극은, 연료전지 자동차의 엔진 역할을 하는 MEA가 실제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작동부이며, 향후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부품을 양산하는 것에 있어 공정 효율성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다.
  • MEA 평가를 위한 전극은 위의 용매들을 사용하여 촉매슬러리의 고형분 10%로 실험하였다. 촉매슬러리의 도포 기재로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를 사용하였으며, 전극 슬러리는 80°C 건조 존을 통해서 도포 후 사용하였다. 열풍건조온도는 100, 160°C이며 진공건조 온도는 100°C에서 진공도는 2×10⁻2 torr에서 2시간 건조 하였다.

데이터처리

  • 전극의 진공건조 조건에 따라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급 가스는 anode/cathode를 수소/공기를 사용하였고 상대 습도는 anode/cathode 각각 100%에서 평가하였다. 반응 가스들의 화학 양론비는 anode 1.
  • 전극의 진공건조 조건에 따라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급 가스는 anode/cathode를 수소/공기를 사용하였고 상대 습도는 anode/cathode 각각 100%에서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 기공도 분석은 Quantachrome사 Poremaster 33GT 모델에 수은압입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입도 분석은 Microtrac사 S3500 모델을 이용해서 입자 크기 및 분포 정도를 측정하였다.
  • 0으로 고정하였다. 진공건조조건에 따른 잔류용매량 측정은 NETZSCH사 TG209F3 모델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통해 잔류용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헬륨(He) 분위기에서 10°C/min의 승온 속도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믹싱 공정시 연료전지 전극 안에 있는 잔류 용매는 연료전지 제조 시 활성화 공정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촉매는 슬러리 상태의 믹싱 및 건조공정을 거쳐서 연료전지전극으로 제조가 되어진다. 이때 연료전지 전극 안에는 믹싱공정 시 사용된 용매들이 전극 기공 사이에 필연적으로 잔류하게 되며, 이러한 잔류 용매는 연료전지 제조과정인 활성화 공정에서 백금 촉매와 반응가스와의 활성면적을 감소시키거나 촉매 활성을 저하시켜 활성화 공정 효율을 저하시킨다.
1-Pentanol로 제조된 전극을 온도 조건 100°C에서 열풍건조와 진공건조로 건조시간에 따른 TGA 분석결과는? TGA를 통해 잔류 용매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Fig. 2의 (a)와 (b)는 100°C에서 2시간 건조 후 잔류 용매량이 열풍건조의 경우 약 3.6%, 진공건조의 경우 약 1.9%가 남음을 확인하였다. 두 건조 방식 모두 2시간 이후부터는 잔류 용매량에 있어 더 이상에 큰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MEA는 제조공정에 따라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인가? 향후에는 양산공정에서의 연료전지 제조 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활성화 공정 및 제품품질 향상이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MEA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서, MEA 제조공정에 따라서 연료전지의 출력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핵심 부품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W. Vielstich, A. Lamm, Hubert, "Handbook of fuel cells", John willey & Son, Vol. 1, 2003. 

  2. C.H. Steele, A. Heinzel, "Materials for fuel cell technologies", Nature, Vol. 414, 2001, p. 345. 

  3. H.L. Tang, S.L. Wang, M. Pan, S.P. Jing, Y.Z. Ruan "Performance of DMFCs prepared by hot- pressed MEA and catalyst-coated membrane", Original Research Article Fuel Cells Bulletin, Vol. 2007, Issue 5, May 2007, pp. 12-16. 

  4. H.L. Tang, S.L. Wang , S.P. Jing, M. Pan, "A comparative study of CCM and hot-pressed MEAs for PEM fuel cells", J. of Power Sources, Vol. 170, Issue 1, 30 June 2007, pp. 140-144. 

  5. A. Sayari, M. Jaroniec, T.J. Pinnavaia (EDS.), Nanoporous Materials II, Stud. Surf. Sci. Catal. 129 (2000). 

  6. H.Y. Jung, K.Y. Cho and J.K. Park, "Influence of annealing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on performance of direct methanol fuel cell(DMFC)", J. of Power Sources, Vol. 163, 2007, pp. 952-956. 

  7. X.Z. Yuan, S.S. Zhang, J.C. Sun, H.J. Wang, "A review of accelerated conditioning for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J. of Power Sources, Vol. 196, 2011, pp. 9097-9106. 

  8. T.W. Lim, S.H. Kim, S.Y. Ahn, B.K. Hong, B.K. Ah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fuel cell", US 2010/0129689 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