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계열 대학생의 HIV/AIDS와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및 태도
A Study on Nursing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of HIV/AIDS and Hepatitis B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3, 2015년, pp.474 - 487  

이형숙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해나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건희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미리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민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빛나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은경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은영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진희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성혜진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송미선 (서울여자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ing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toward HIV/AIDS and Hepatitis B.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23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128 non-nursing college students. Self-ad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Ahn 등(2008)과 Sung (2008)의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볼 때 간호대학생의 경우 HIV/AIDS 또는 B형 간염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비교적 많으나, 비 간호계열 대학생의 경우 요구도에 비해 교육과정이나 강연 등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적은 것으로 사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과 비간호계열 대학생의 HIV/AIDS와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비교하고, 교육경험 및 정보입수 경로 외 B형 간염 항원/항체 유무 및 백신접종 상태와 임상실습을 수행한 간호대학생의 주사침 자상 및 혈액, 체액 노출 경험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에 따른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HIV/AIDS와 B형 간염의 지식 향상과 태도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비 간호계열 대학생의 HIV/AIDS와 B형 간염의 지식 및 태도를 비교하고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계열 대학생의 HIV/AIDS 및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의 HIV/AIDS와 B형 간염의 지식점수가 비 간호계열 대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 또한 간호대학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계열 대학생의 HIV/AIDS와 B형 간염의 지식 및 태도를 비교 ·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형 간염 바이러스는 무엇인가?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만성 간질환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HIV/AIDS와 같은 체액 및 혈액 매개성 질환이다. 만성 B형 간염은 간경변 및 간암 등의 질환을 유발하며 우리나라의 만성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전체 사망원인의 8위로 2013년 통계상 10만명당 13.
만성 B형 간염으로 인해 어떤 질환을 유발하는가?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만성 간질환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HIV/AIDS와 같은 체액 및 혈액 매개성 질환이다. 만성 B형 간염은 간경변 및 간암 등의 질환을 유발하며 우리나라의 만성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전체 사망원인의 8위로 2013년 통계상 10만명당 13.2명이 간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HIV/AIDS와 같은 혈액 및 체액을 매개로 전파되는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 위험이 큰 병원종사자들은 어떠한 경로로 감염될 수 있는가? 특히,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종사자들은 HIV/AIDS와 같은 혈액 및 체액을 매개로 전파되는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 등에 직업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높다. 병원에서 이러한 질환에 감염되는 일반적이고 가장 흔한 전파 경로는 환자의 오염된 혈액이 점막이나 상처에 접촉되거나, 주사바늘 또는 각종 날카로운 가구에 찔리는 사고에 의한 것이다(Oh & Choe, 2002). 이러한 손상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도는 B형 간염바이러스가 6-30%, C형 간염 바이러스가 1-10%, HIV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H. M., Yoo, J. S., Park, C. G., & Kim, M. Y. (2008). HIV/AIDS-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1), 108-120. 

  2.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1). Updated U.S. public health serv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BV, HCV, and HIV and recommendations for post exposure prophylaxi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9, 1-42. 

  3. Education Ministry Ordinance 31. (2014). School health screening rule. Retrieved October 27, 2015, from http://www.law.go.kr/lsInfoP.do? lsiSeq151722&efYd20140303#0000 

  4. Han, J. S., Cho, H., Kim, Y., & Kim, Y. (2012).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intention toward AIDS and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01-208. http://dx.doi.org/ 10.5807/kjohn.2012.21.3.201 

  5. Kang, H. S., Kang, K. H., Sin, S. R., & Jang, S. B. (2005). The effects of an AIDS photo exhibition on AIDS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9(2), 241-248. 

  6. Kim, H. N., Bae, S. S., & No, H. J. (2012).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behavior about Hepatitis B patient in health care-related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3(1), 45-53. 

  7. Kim, H. J., Kim, N. C. (2014). The status of blood and body fluid exposure and affecting factors among nursing students including knowledge, performance regarding standard precaution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5(3), 17-30. 

  8. Kim, I. H., Kim, Y. M., & Lee, C. G. (2001). Hepatitis B examination and recognition change after 1 year in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2(8), 1271-1278. 

  9. Kim, O. S., Choi, J. S., Jeong, J. S., Park, E. S., Yoon, S. W., Jung, S. Y., Jin, H. Y., & Kim, K. M. (2010). Survey of under-reporting rate and related factors after blood and body fluid exposure among hospita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5), 466-476. 

  10. Kim, Y. H. (1990). A study on nursi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 124-135. 

  11. Kim, Y. M., Han, J. S., & Lee, O. C. (2014).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HIV/AIDS in comparison with chronic hepatitis B among female nursing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2), 31-39. 

  1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December). HIV/ADIS statistics report. Retrived September 9, 2015,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85&inputYear2013 

  1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September). Legal infectious disease occurrence report. Retrived October 26, 2015,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 &parmTabIdM_01_01#SubCont 

  1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Korea federation for HIV/AIDS Prevention (2010, December). National Survey on HIV/AIDS Knowledge,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Retrived September 9, 2015, from http://www.nih.go.kr/CDC/cms/cmsFileDownload.jsp?fi d3445&cid27713&fieldNameattach1&i ndex1 

  15. Lee, J. K. (2010). Effects of AIDS education on knowledge, prejudice, susceptibility, severity and intention of safe sex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2), 258-269. 

  16. Oh, B. U. (2014).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AIDS of social work students. Journal of Human Rights Welfare, 15(1), 53-75. 

  17. Oh, H. S. & Choe, K. W. (2002). Descriptive study of reported bloodborne exposures in health 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7, 51-64. 

  18. Park, J. H., Jun, H. K., Jeong, S. H., Hwang, J. H., Lee, C. S., & Lee, H. B. (2010).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70-75. 

  19. Park, S. N., Lee, E. Y., Kim, G. M., & Han, S. J. (2005). Knowledge, compliance and levels of risk factor recognition for needle stick injuries in student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337-346. 

  20. Sin, Y. H. & Hong, Y. H. (1996).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Pusan and Uls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33-42. 

  21. Sohn, A., Moon, J. S., Shin, S., Chun, S., & Kim, S. (2008).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person with HIV/AIDS (PWHAs) among adolescents in seoul,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3, 31-56. 

  22. Sohn, A. Tabang, F., Moon, C. S., & Ko, S. D. (2009). Optimistic bias on HIV/AID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5, 57-78. 

  23. Statistics Korea (2013, September).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3. Retrieved September 9, 2015, from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 &aSeq330181 

  24. Sung, M. H. (2008).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vulnerability to AIDS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2), 221-228. 

  25. Ungan, M. & Yamon, H. (2003). AID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ical university students in Turke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1(2), 163-167. http://dx.doi. org/10.1016/s0738 -3991(02)00190-8 

  26.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AIDS epidemic update (pp. 5-48). Retrieved August 18, 2015, from http://data.unaids. org/pub/Report/2003/2003_epiupdate_e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