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한 농촌지역 성인 신체활동의 지역사회환경 요인 분석
Neighborhood Environment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Modeling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3, 2015년, pp.488 - 502  

김봉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living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01 adults living in three Ri in Y-city, Gyeong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체활동일의 가산자료에 적합한 영과잉 음이항 회귀 모형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도되었다. 가산자료 분석방법으로 신체활동 영향 요인을 파악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지지정도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본 연구는 가산모형을 적용하여 신체활동 참여 및 비참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지역 사회환경 요인을 파악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체활동일의 가산자료에 적합한 영과잉 음이항 회귀 모형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도되었다. 가산자료 분석방법으로 신체활동 영향 요인을 파악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지지정도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본 연구는 가산모형을 적용하여 신체활동 참여 및 비참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지역 사회환경 요인을 파악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일에 대한 가산자료 분석방법인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013년도 경기도 Y시 보건소의 주민참여형 건강증진 시범사업 참여 마을로 선정된 3개 리에 거주하는 20세이상 주민 201명을 편의추출하였으며, 2013년 7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일 가산자료에 보다 더 적합한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를 야기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나? 신체활동 부족은 심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비만, 유방암 및 대장암 등의 만성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지만,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조기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며, 만성질환과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Bauman et al., 2012).
신체활동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특정 인구집단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중요한 이유는? 신체활동은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특정 인구집단, 거주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복잡한 행위이다(Sallis, Owen, & Fisher 2008). 그러므로 신체활동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특정 인구집단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ch, Reis, Hino, & Hallal, 2014).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장점은? 신체활동 부족은 심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비만, 유방암 및 대장암 등의 만성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지만,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조기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며, 만성질환과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Bauma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dy, C. L., Wilson, D. K., Kirtland, K. A., Ainsworth, B. E., Sharpe, P., & Kimsey, D. (2004). Associations of perceived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supports with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 440-443. 

  2. Andersen, L., Gustat, J., & Becker, A. B.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lifestyle-related physical activity in a low-income African American inner-city southern neighborhood. Journal of Community Health, published online 26 March 2015. http://dx.doi.org/10.1007/s10900-015-0019-z 

  3. Barnidge, E. K., Radvanyi, C., Duggan, K., Motton, F., Wiggs, I., Baker, E. A., & Brownson, R. C. (2013).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suppor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y eating in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Rural Health, 29(1), 97-105. http://dx.doi.org/10. 1111/j.1748-0361.2012.00431.x 

  4. Bauman, A. E., Reis, R. S., Sallis, J. F., Wells, J. C., Loos, R. J. F., & Martin, B. W. (2012).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why are some people physically active and others not? Lancet, 380, 258-271. 

  5. Echeverria, S., Diez-Roux, A. V., Shea, S., Borrell, L. N., & Jackson, S. (2008). Association of neighborhood problems and neighborhood social cohesion with mental health and health behaviors: the multi -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Health & Place, 14, 853-865. 

  6. Eichinger, M., Titze, S., Haditsch, B., Dorner, T. E., & Stronegger, W. J. (2015). How are physical activity behavior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built and social residential environment? PLoS One, 10(6), e0126010. http://dx.doi. org/10.1371/journal.pone.0126010. 

  7. Jang, M. H. & Park, C. G. (2012). Risk factors influencing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ing of abuse count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6), 819-83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19 

  8. Jung, M. & Cho, B. H. (2007).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Health and Social Science, 22, 153-182. 

  9. Kang, S. J. & Kim, Y. H. (2011).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3), 113-124. 

  10. Kim, Y. H., Park, I. K., & Lee, H. G. (201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logical variables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4(4), 61-74. 

  11. Kim, Y. A. & Yoon, H. S.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of caregivers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61-72. 

  12. Lee, D. H. (2013). Simulated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for the zero inflated poisson lognormal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3), 1347-1360. 

  13. Lee, H. S. & Shepley, M. M. (2012).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leisure-time walking among Korean adult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Journal, 52, 99-110. 

  14. Lee, J. M., Kwon, K. S., Lee, J. H., & Jeon, G. S. (2005). A study on health behavior of the populations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30(2), 213-226. http://dx.doi.org/10.5393/JAMCH. 2013.38.3.182 

  15. Lee, M. S., Kim, D. K., Kim, E. Y., Na, B. J., & Sung, T. 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and health behaviors among some rural peop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2), 73-98. 

  16. Mama, S. K., Diamondb, P. M., McCurdy, S. A., Evans, A. E., McNeill, L. H., & Lee, R. E. (2015). Individu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and obese African American and Hispanic wom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Preventive Medicine Reports, 2, 57-64. http://dx.doi.org/10.1016/j.pmedr. 2015.01.001 

  17. McNeill, L. H., Kreuter, M. W., & Subramanian, S. V. (2006). Social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a review of concepts and evid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63, 1011-1022.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ungbuk: Author. 

  19. Moon, S. (2012). Physical activities and related factors among low-income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38-50.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38 

  20. Parks, S. E., Housemann, R. A., & Brownson, R. C. (2003). Differenti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urban and rural adults of various socioeconomic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1), 29-35. 

  21. Rech, C. R., Reis, R. S., Hino, A. F., & Hallal, P. C. (2014).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from Curitiba, Brazil. Preventive Medicine, 58, 53-57. 

  22. Roh, M. Y., Lee, H. K., Lee, C. Y., & Kim, G. S. (2012).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navy personnel: an ec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296-306. 

  23. Sallis, J. F., Owen, N., & Fisher, E. B. (2008). Ecological models of health behavior.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465-486).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4. Sampson, R. J., Raudenbush, S. W., & Earls, F. (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77, 918-924. 

  25. Slymen, D. J., Ayala, G. X., Arrendondo, E. M., & Elder, J. P. (2006). A demonstration of modeling count data with an application to physical activity. Epidemiologic Perspectives & Innovations, 3, 3-11. http://dx.doi.org/ 10.1186/1742 

  26. Solomon, E., Rees, T., Ukoumunne, O. C., Metcalf, B., & Hillsdon, M. (2013).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living in rural south-west England: a cross-section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 129. http://dx.doi.org/10.1186/1479-5868-10-129 

  27. Strong, L. L., Reitzel, L. R., Wetter, D. W., & McNeill, L. H. (2013). Associations of perceived neighborhood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with physical activity and television viewing in African Americ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7(6), 401-409. http://dx.doi. org/10.4278/ajhp.120306-QUAN-127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Retrieved July 3, 2015,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 publications/9789241599979/en/ 

  29. Yun, E. H., Kang, Y. H., Lim, M. K., Oh, J. K., & Son, J. M. (2010).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in smoking behavior among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0, 78-85. Retrieved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1-2458/10/78 

  30. Zaninotto, P. & Falaschetti, E. (2011). Comparison of methods for modelling a count outcome with excess zeros: applic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5, 205-210. http://dx.doi.org/10.1136/jech.2008.0796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