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갑상선암 환자를 위한 지역암센터 자가관리프로그램 중재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at Thyroid Cancer-Diagnosis Stage : a Pilot Stud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3, 2015년, pp.582 - 593  

유혜라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부선주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전미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경기지역암센터) ,  조은미 (아주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o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articularly during the time of waiting for surgery after cancer diagnosis. Psychological distress, biological responses of immune cell counts, and quality of life were the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도 소재 지역암센터에서 갑상선암을 진단받고 수술 대기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 암센터 자가관리프로그램이 디스트레스, 면역반응 및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단일군 전후사후 설계로 시도되었다. 그 결과 자가관리프로그램 후 디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전반적 삶의 질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면역반응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갑상선 암 진단 후 수술을 기다리고 있는 재가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암센터 자가관리프로그램이 디스트레스, 면역반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후설계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통해 갑상선암을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작하기 전 대기단계의 대상자들에게 자가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들의 정신적 디스트레스 감소, 면역반응의 증가,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중재연구의 기획 및 실행단계에서 도출될 수 있는 장단점 및 방해요인 등을 파악하는 목적을 동시에 가지는 예비연구이기도 하다.
  • , 2010), 진단 및 수술 전 대기시기 동안의 재가 암환자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진단과 수술 전 대기시기의 재가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가능한 중재 방안으로 자가관리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제까지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은 대부분 병원 중심으로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Garssen,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과 수술 전 대기시기의 갑상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선행문헌 대부분은 다양한 종류의 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포함하였으며, 암 치료 중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본 것으로, 갑상선 암 진단을 받고 수술 대기 상태의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 다. 이에 건강검진을 통해 갑상선암을 진단받고 수술 대기 중인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관리프로그램의 실행가능성 및 근접모집단에 적절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예비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비록 대상자 수가 작기는 하지만, 대상자의 디스트레스와 전반적 삶의 질에 대한 자가관리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DSMP의 목적은? 만성적 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자가관리프로그램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CDSMP)으로, 이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향상을 위해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만성적 증상관리, 정신적 스트레스관리 및 사회적 적응 관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Lorig et al., 2012).
디스트레스 온도계의 점수에 따라 어떤 의미를 갖는가? 본 연구에서는 디스트레스 선별도구로 미국 NCCN (2011)에 의해 개발된 디스트레스 온도계(distress thermometer, DT)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 다. 이 도구는 0에서 10까지의 온도계 모양으로 구성 되어져 있는 시각적비율척도 (Visual analogous scale)로 점수가 높을수록 디스트레스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DT의 절단점 4점을 기준으로 하여 4 점 이하는 암과 관련된 경증의 디스트레스, 4점 이상은 중재가 요구되는 중증의 디스트레스로 구분하며 (Buchmann, Ashby, Cannon, & Hunt, 2015), 본 연구에서는 DT를 연속변수와 4점을 기준으로 이분 화한 범주변수로 제시하였다.
디스트레스는 어떤 것인가? 공공보건의료기관 혹은 건강검진센터를 통해 국가암 검진을 받은 후 수검자 중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높은 암발생 가능성 혹은 암진단을 받는 경우, 수검자들은 진단과 동시에 죽음을 떠올리게 되어 부정, 절망, 우울이나 불안 등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2003년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에서는 이와 같은 암진단 과정의 부정적 경험을 디스트레스(Distress)로 정의하였으며, 디스트레스는 암과 관련된 증상의 악화 및 치료에 대한 적응능력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Kang & Nam, 2007; NCCN, 2011). 선행연구에 의하면 암환자의 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S., Kim, G., Marcia, G., Na, Y., & Kim, K. (2014). The applicability of the United States'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CDSMP) to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4), 63-72. 

  2. Buchmann, L., Ashby, S., Cannon, R. B., & Hunt, J. P. (2015). Psychosocial distres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52(4), 644-649. http://dx.doi.org/10.1177/0194599814565761 

  3. Dabrowski, M., Boucher, K., Ward, J. H., Lovell, M. M., Sandre, A., Bloch, J., Carlquist, L., Porter, M., Norman, L., & Buys, S. S. (2007).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NCCN distress thermometer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5(1), 104-111. 

  4. DeKeyser, F. G., Wainstock, J. M., Rose, L., Converse, P. J., & Dooley, W. (1998). Distress, symptom distress, and immune function in women with suspected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5(8), 1415-1422. 

  5. Easley, J., Miedema, B., & Robinson, L. (2013). It's the "Good" cancer, so who cares? Perceived lack of support among young thyroid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40(6), 596-600. http://dx.doi.org/10.1188/13.ONF. 596-600. 

  6.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Data Center (2001, 12) QLQ-C30(CR38) Scoring manual. Retrieved September 14, 2015, from http://www.eortc.be/qol/files/SCManualQLQ-C30.pdf 

  7. Garssen, B., Boomsma, M. F., Jager, M. E., Porsild, T., Berkhof, J., Berbee, M., Visser, A., Meijer, S., & Beelen, R. H. (2013). Stress management training for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Psycho-oncology, 22, 572-580. 

  8. Irwin, M. R. (2008). Human psychoneuroimmunology: 20 years of discovery.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2(2), 129-139. 

  9. Kang, D. H., McArdle, T., Park, N. J., Weaver, M. T., Smith, B., & Carpenter, J. (2011). Dose effects of relaxation practice on immune responses in women newly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 an exploratory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38(3), 240-252. 

  10. Kang, G. & Oh, S. (2012).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tress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161-170. 

  11. Kang, J. & Nam, K. (2007). Psychosocial aspects and mental health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50), 421-429. 

  12. Lee, J. I., Kim, S. H., Tan, A. H., Kim, H. K., Jang, H. W., Hur, K. Y., Kim, J. H., Kim, K., Chung, J. H., & Kim, S. W. (2010). Decre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survivor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n Kore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8, 101-110. 

  13. Lorig, K. (2000). Living a healthy life with chronic conditions: self-management of heart disease, arthritis, diabetes, asthma, bronchitis, emphysema & others. Palo Alto: Bull Publishing Company. 

  14. Lorig, K., Holman, H., Sobel, D., Laurent, D., Gonzalez, V., & Minor, M. (2012). Living with a healthy life with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of heart disease, arthritis, diabetes, asthma, bronchitis, emphysema & other physical & mental health condition (4th ed.). Palo Alto: Bull Publishing Company. 

  15. Miller, G. E. & Cohen, S. (2001).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the immune system: a meta-analytic review and critique. Health Psychology, 20(1), 47-63. 

  16. Moon, Y., Ham, O., Kim, J., & Lim, J. (2008). Degree of pain, and barriers and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among home care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2), 177-185. 

  17. National Cancer Center (2013, 01). Cancer information. Retrieved September 9, 2015, from http://ncc.re.kr/webzine/201301/sub_08.jsp 

  18.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12). Cancer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9, 2015,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4000000 

  1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5, 01). Local cancer center. Retrieved December 16, 2015,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60105000000 

  20.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2011, 12). Distress Management. Retrieved September 15, 2015, from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f_guidelines. asp 

  21. Northouse, L. L. (1989). The impact of breast cancer on patients and husbands. Cancer Nursing, 12(5), 278-284. 

  22. Oh, P. J. & Jang, E. (2014).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cortisol and immun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4), 446-457. 

  23. Oh, P. J. & Lee, E. A. (2013).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sychological distress, self 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4), 377-388. 

  24. Park, J. S. & Oh, Y. J. (2010). An analysis of cancer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given nursing services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are registered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1), 48-58. 

  25. Park, J., Yoo, H., & Kwon, B. (2007).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on successive aging. Korea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513-522. 

  26. Ridgway, E., Grose, J., Charles, A., Hewett, J., Jarvis, M., & Benjamin, S. (2014). Does labelling a rare cancer diagnosis 'good' affect the patient's experience of treatment and recovery?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8. http://dx.doi.org/10.1111/ecc.12258 

  27. Risendal, B., Dwyer, A., Seidel, R., Lorig, K., Katzenmeyer, C., Coombs, L., Kellar-Guenther, Y., Warren, L., Franco, A., & Ory, M. (2014). Adap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lessons for implementation. Journal of Cancer Education, 29(4), 762-771. 

  28. Snyder, C. F., Blackford, A. L., Okuyama, T., Akechi, T., Yamashita, H., Toyama, T., Carducci, M. A., & Wu, A. W. (2013). Using the EORTC-QLQ-C30 in clinical practice for patient management: identifying scores requiring a clinician's attention. Quality of Life Research, 22(10), 2685-2691. 

  29. Yoo, H. R. & Park J. W. (2005). Living with a healthy life with chronic disease. Seoul: Koonja. 

  30. Yun, Y. H., Park, Y. S., Lee, E. S., Bang, S. M., Heo, D., Park, S., You, C. H., & West, K. (200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ity of Life Research, 13(4), 863-868. 

  31. Wilson, P. M. (2008). The UK Expert Patients Program: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cancer survivors' self-care support programs.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1),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