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중재가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자기간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sychological Distress, Self 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4, 2013년, pp.377 - 388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애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depression, anxiety, self 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Methods: Two thousand and eighty three abstracts were identified through six electronic databases (1980 to June 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간호영역에서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은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행동중재의 축적된 연구들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개관하는 메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2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17편의 인지행동중재 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우울 및 불안)와 자기간호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파악하고, 인지행동중재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지행동중재는 지시적 심상요법 및 명상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고, CD 및 테이프 혹은 소책자를 활용한 개별중재가 많았으며, 중재 제공자의 대부분이 간호사로서 병실 혹은 간호사실에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암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연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는 메타분석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디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암은 질병자체뿐 아니라 치료의 부작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삶의 질은 생존률과 더불어 암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결과변수로 간주되고 있다(Goodinson & Singleton, 1989).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암 환자가 정신적, 정서적으로 겪는 고통을 말하는 것으로(Kim & Lee, 2008), 일반적으로 암 환자의 33%가 병적인 우울, 불안을 나타내고 70%는 경증의 우울, 불안을 나타낸다. 이러한 심리적 상태는 암 환자의 삶의 질과 암치료이행에 유의한 관련이 있음으로, 전문가들은 심리사회적중재를 암 환자 돌봄의 8개 핵심필수영역으로 제안하였고(Raingruber, 2011), 이에 많은 국가에서 암 환자의 심리적 상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Galway, Black, Cardwell, Mills, & Donnelly, 2008).
심리사회적중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심리사회적중재는 비약물적 중재로 교육, 인지행동요법, 지지-표현(경험-실존)치료 등이 이에 해당된다(Kim & Lee, 2008). 심리사회적중재 중 인지행동요법은 왜곡된 인지, 정서 및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문제해결을 위한 대처기술을 학습하는데 초점을 둔 체계적인 심리적 접근으로 암 환자의 심리사회적중재에서 가장 흔히 적용되는 접근법이다(Jassim, Whitfold, & Grey, 2010).
인지행동요법에 대한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인지요법중재에 대하여 국외의 경우 1995년 이후부터 최근 2011년 까지 체계적고찰 및 메타분석연구를 통해 주요 심리사회적 중재로 분석되고 있으나(Hodges et al., 2011), 국내에서 발표된 중재논문의 결과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제한점이 있다. 국외 메타분석 연구에는 1993~2004년에 발표된 암생존자에게 적용한 11편의 인지행동중재에 대한 메타분석연구(Osborn, Demoncada, & Feuerstein, 2006), 1980~2005년에 발표된 암 환자에게 적용한 14편의 인지행동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Schneid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 Egger, M.,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315, 629-634. http://dx.doi.org/10.1136/bmj.315.7109.629 

  3. Galway, K. M., Black, A., Cardwell, C. R., Mills, M., & Donnelly, M. (2008).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wellbeing for recently diagnosed cancer patients (protocol).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http://dx.doi.org/10.1002/14651858 

  4. Goedendrop, M. M., Gielissen, M. F., Verhagen, C. A., & Bleijenberg, G. (2009).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reducing fatigue during cancer treatment in adults. Cochrame Database of Systemic Review,(1),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14651858.CD006953.pub2/pdf 

  5. Goodinson, S. M., & Singleton, J. (1989). Quality of lif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concepts, measures and their clinical im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6, 327-341. 

  6. Hersch, J., Juraskova, I., Price, M., & Mullan, B. (2009). Psychosocial interventions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Psychological Oncology, 18, 795-810. 

  7. Hodges, L. J., Walker, J., Kleiboer, A. M., Ramirez, A. J., Richardson, A., Velikova, G., et al. (2011). What i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A metareview and practical proposal. Psychological Oncology, 20, 470-478. http://www.ncbi.nlm.nih.gov/pubmed/20878870 

  8. Jassim, G. A., Whitford, D. L., & Grey, I. M. (2010).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non-metastatic breast cancer (Protocal).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14651858.CD008729/full 

  9. Kim, J. N., & Lee, R. (200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the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 329-357. 

  10.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Son H. J., Jang B. H.,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1. Meyer, T. J., & Mark, M. M. (1995).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with adult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experiments. Health Psychology, 14, 101-108. 

  1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January). Cancer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30, from http://www.cancer.go.kr/ncic/cics-f/03/032/index.html 

  13. Newell, S., Sanson-Fisher, R. W., & Savolainen, N. J. (2002). Systematic review of psychological therapies for cancer patients: Over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4, 558-584 

  14. Oh, P. J., & Choi, H. J. (2012).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of oncology patients: A meta-analysis. Asian Oncology Nursing, 12, 257-266. 

  15. Oh, P. J. (2010). An integrative review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in Korea: 2003-2008.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 80-87. 

  16. Oh, S. S. (2009).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17. Osborn, R. L., Demoncada, A. C., & Feuerstein, M. (2006).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36, 13-34. 

  18. Raingruber, B. (2011). The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with cancer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2011).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Nursing, http://dx.doi.org/10.5402/2011/638218 

  19. Ranchor, A. V., Fleer, J., Sanderman, R., Van der Ploeg, K. M., Coyne, J. C., & Schroevers, M. (2012).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ancer survivors and cancer patients in the palliative phas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14651858. CD009511/abstract?deniedAccessCustomisedMessage&userIsAuthenticatedfalse 

  20. Rehse, B., & Pukrop, R. (2003).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Meta analysis of 37 published controlled outcome stud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0, 179-186. 

  21. Schneider, S., Moyer, A., Knapp-Oliver, S., Sohi, S., Cannelia, D., & Targhetta, V. (2010). Pre-intervention distress moderates the efficacy of psychosocial treatment for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3 (1), 1-14. http://dx.doi.org/10.1007/s10865-009-9227-2. 

  22. Sheard, T., & Maguire, P. (1999). The effect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Results of two meta-analyses. British Journal of Cancer, 80, 1770-1780. 

  23. Schwarzer, G. (2013). Meta: Meta-analysis with R. R package version 2.15.3. http://CRAN.R-project.org/packagemeta 

  24. Uitterhoeve, R. J., Vernooy, M., Litjens, M., Potting, K., Bensing, J., Mulder, P. D., et al. (2004).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ritish Journal of Cancer, 91 , 1050-1062. 

  25. Williams, S., & Dale, J. (2006).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for depression/depressive symptoms in adul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Cancer, 94 , 372-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