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중재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들의 삶의 질, 우울,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grated Intervention Program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Self Care Agenc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3, 2016년, pp.445 - 455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홍은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self care agency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one group pre-post test. A total of 25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도 J시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에게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교육, 인지적 및 정서적 중재와 운동을 통한 신체적 중재가 포함된 통합적 프로그램이라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교육, 인지적 및 정서적 중재와 운동을 통한 신체적 중재가 포함된 통합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삶의 질, 우울, 자가간호 역량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통합중재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의 삶의 질, 우울 및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에게 적용한 통합중재 프로그램이 삶의 질, 우울,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 , 2002), 암환자 대상의 중재의 효과를 메타분석한 결과(Jang, Choi, & Kwon, 2013), 신체적, 인지․정서적 중재방법을 통합한 통합요법은 우울에 대한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암환자와 가족의 전인적, 총체적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물-정신-사회적 세 측면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Cho, 2007),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인지적 및 정서적 중재와 운동 중재를 통합한 통합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삶의 질, 우울 및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인지적 및 정서적 중재와 운동을 통한 신체적 중재가 포함된 통합적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자가간호역량 향상에 기여 하였다. 선행 암환자 대상 중재연구가 주로 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대상 연구를 찾기가 어려웠으며, 중재방법 또한 통합적인 방법보다는 단편적인 중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가설 설정

  •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삶의 질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할 것이다.
  •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우울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감소할 것이다.
  •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자가간호 역량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소표본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대상자 들의 삶의 질, 우울, 자가간호역량 사전조사 점수를 이용하여 Shapiro-Wilk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Table 3). 그 결과 모든 변수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 이하 모든 분석에서는 각 변수들이 정규분포임을 가정하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합중재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통합중재프로그램이란 교육, 인지적 및 정서적 중재와 운동 중재가 모두 포함된 통합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통합중재프로그램은 간호학 교수 2인이 중심이 되어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하였다.
암환자들이 경험하는것은 무엇인가? 많은 암환자들은 건강, 신체 일부, 정신, 사회적 기능, 자아존중감, 성기능, 직업 등 여러 가지를 잃게 되어 개인의 평형상태가 깨어지고 극심한 정서적 혼란을 겪게 되며(Anderson, 1989), 암과 관련된 증상 또는 치료와 관련된 증상으로 인해 통증, 피로, 인지장애, 불면 등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감소를 경험하게 된다(Smyth et al., 2016).
재가 암환자를 위한 통합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가설은 무엇인가?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삶의 질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할 것이다.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우울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감소할 것이다. ∙통합중재프로그램을 적용받은 대상자들의 자가간호 역량은 프로그램 적용 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H., Nho, J. H., Yoo, S., Kim, H., Nho, M., & Yoo, H. (2015).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fatigu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6), 812-822. http://dx.doi.org/10.4040/jkan.2015.45.6.812 

  2. Anderson, J. L. (1989). The nurse's role in cancer rehabilitation. Cancer Nursing, 12(2), 85-94. 

  3. Boo, S. J. (2015).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in brain tumor patients after surgery. Asian Oncology Nursing Society, 15(4), 211-218. http://dx.doi.org/10.5388/aon.2015.15.4.211 

  4.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285-29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285 

  5. Cho, S. J. (2007). Psychiatric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5), 430-446. 

  6. Choi, J. Y. (2008). Complementary therapy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1(5), 435-448. 

  7. Choi, J. Y. & Yang, J. J. (2008).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and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need for caring among patients with cancer under radi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8(1), 17-23. 

  8. Choi, Y. A. (2007). Change in immune system and hormone of adult males after Kouksundo trai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 Choi, Y. H. & Ha, Y. S. (2014).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depression and resil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2), 109-11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2.109 

  10. Chon, S. J. (1989). Reminiscence: content analysis and its nursing im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Geden, E. & Taylor, S. (1988). Self-as-carer: a preliminery evaluation. In proceeding of the seventh annual nursing research conference, Columbia, Missouri;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School of Nursing. 

  12. Han, S. S., Shin, I. S., & Kim, Y. J. (2009).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9(1), 33-40. 

  13. Hong, M. S., Yom, Y. H., & Kim, G. M. (2012). The analysis of 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cancer patients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12(4), 247-256. http://dx.doi.org/10.5388/aon.2012.12.4.247 

  14. Jang, E. H., Choi, K. S., & Kwon, S. J. (2013).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3(1), 1-10. http://dx.doi.org/10.5388/aon.2013.13.1.1 

  15. Jung, Y.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5(2), 188-201. 

  16. Kim, C., Shin, A. M., Park, K. M., Park, M. H., & Kim, Y. (2008).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the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and cared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2), 177-187. 

  17. Kim, I. (2014). Literature review of exercise therapy effect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2), 49-58. 

  18.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5, Decemb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3. Retrieved July 12, 2016,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402000000 

  19. Kwon, Y. E. (1990).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E. O., Eom, A. Y., Song, R. Y., Chae, Y. R., & Paul, L. (200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49-655. 

  21. Lee, J. R.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ability and self-care behaviors of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1), 227-245. 

  22. Oh, K. O., Gang, M. H., & Jung, K. S. (2012).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tate-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12(2), 125-131.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25 

  23. Oh, P. J. & Choi, H. J. (2012).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of oncology patients: a meta-analysis. Asian Oncology Nursing, 12(4), 257-266. http://dx.doi.org/10.5388/aon.2012.12.4.257 

  24. Ohnishi, H. (2011). Ment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Japanese Journal of Anesthesiology, 60(9), 1024-1031. 

  25. Orem, D. E. (1985).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3rd ed). New York : MaGraw-Hill, 18-159. 

  26. Park, H. J. (2013). Changes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rough Kouksundo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27. Park, J. S. & Oh, Y. J. (2010).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6), 594-605. 

  28.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1), 52-63. 

  29. Rawl, S. M., Given, B. A., Given, C. W., Champion, V. L., Kozachik, S. L., Barton, D., Emsley, C. L., & Williams, S. D. (2002).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ological functioning for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9(6), 967-975. 

  30. Schag, C. A. & Heinrich, R. L. (1989). Anxiety in medical situations: adult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1), 20-27. 

  31. Smyth, E. N., Shen, W., Bowman, L., Peterson, Patrick., John, W., Melemed, A., & Liepa, A. M. (2016). Patient-reported pain and other quality of life domains as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a phase III clinical trial of patients with advanced breast canc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4(52), 1-10. http://dx.doi.org/10.1186/s12955-016-0449-z. 

  32. So, H. (1992). Testing construct validity of self-as-carer inventory and its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4(2), 147-161.P 

  33. Yang, Y. H. (2002). The trajectory of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stomach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4), 482-491. 

  34. Zung,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