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 안료 중 남동광(Azurite)으로 제조된 청색계열 안료 입도의 단계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국내 외 청색계열 안료 57종을 선정, Malvern사의 Mastersizer2000을 이용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국내 외에서 시판되고 있는 청색 안료 일부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단계별 입도 분리가 잘 되어 있으며, 안료의 입도가 작아질수록 Span 값은 증가하고 입도 분포 범위는 넓어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iedman and Sanders가 제안한 Grain size를 기준으로 보면 대부분의 안료는 주로 모래와 실트영역에 해당하였으며 B-100은 72.2%가 점토영역에 해당되었고 A-14는 자갈에 해당하는 영역이 2.5%를 차지하였다. 나아가 동일 성분의 안료라 할지라도 입자 크기에 따라 안료의 발색특성이 다르며 흡유량, 비중, 작업성 등 중요물성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추가적 실험이 필요하며 물리적 특성과 입도분포 특징에 대한 정보는 천연 안료의 취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ere conducted the particle-size analysis on 57 blue pigments to understand the step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lue pigments made out of Azurite by using Malvern's Mastersizer 2000. As the result, most of the conventional blue pigments in Korea, Japan, and Chinese showed good gran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동광(Azurite) 원료 57종 안료의 입도를 분석하기 위해 Malvern사의 Mastersizer2000을 이용하여 제조사 안료별, 입도 단계별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안료의 전처리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용성물질이나 휘발물질, 유기색소 유무를 확인하는 실험을 거쳤다. 수용성물질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KS M ISO 787-3에 의거하여 열수추출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시료에서 추출되는 수용성 물질은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남동광을 원료로 하는 시판안료의 입도 분포 특징을 확인함으로 천연안료의 사용에 있어서 적정한 입자 크기를 선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향후 추가연구로서 남동광 천연광물안료에 함유된 불순물, 남동광의 함량 등을 분석하여 입도분포 특징과 함께 발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문화재 보존 처리 현장에 적용 가능한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복원 및 회화 등에 사용되는 안료 중 청색계열 ‘석청(石淸, Azurite)’의 입도분포를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도분석을 통하여 석청 안료에 대한 평균 입도와 분포도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문화재 시공에 적합한 안료 입자 크기 선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안료는 무기안료, 유기안료, 레이크(Lake)안료 등으로 구분되며 고대로부터 회화, 건축물, 공예품, 장신구 등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 중 무기안료는 일반적으로 유기안료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색상이 비교적 변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천연으로 얻는 암석 광물이나 토양을 분쇄하여 만든 안료와 인공 황화수은처럼 주사와 같은 색을 내지만 인공 합성되어 가공되어지는 합성안료로 나누어진다.
광물성 안료의 전통적인 제조방법은 무엇인가? 광물성 안료는 광물이 갖는 투명도, 조흔색, 광택과 같은 특징을 조절하여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맞는 안료로 사용 가능하다. 전통적인 제조방법으로는 막자사발에 잘게 쪼갠 암석을 넣고 막자를 활용하여 곱게 분쇄한 후 수비하여 고운입자를 얻어 내는 방법과 또는 안료에 열을 가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전자의 방법이 대표적이다. 안료는 열을 가하지 않고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발색이 달라지며 입자가 굵을수록 빛이 입자 내를 통과 하는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흡수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며, 입자를 통과해 투과되는 빛이 적어 그에 따라 발색도 어둡게 된다(Lee, 2010).
무기안료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료는 무기안료, 유기안료, 레이크(Lake)안료 등으로 구분되며 고대로부터 회화, 건축물, 공예품, 장신구 등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 중 무기안료는 일반적으로 유기안료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색상이 비교적 변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천연으로 얻는 암석 광물이나 토양을 분쇄하여 만든 안료와 인공 황화수은처럼 주사와 같은 색을 내지만 인공 합성되어 가공되어지는 합성안료로 나누어진다. 자연에서 얻어지는 광물성안료와 토양을 분쇄하여 만든 안료로 대표적인 석록(石綠), 석청(石淸), 진사(辰砂), 대자(代赭), 석황(石黃), 백토, 황토 등이 있다 (L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B.C., 2008, Stud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ing techniques for palace architectur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ju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Nam C.C., Moon W.S. Hong J.O., and Hwang J.J, 2001, The composition analysis of Danchung pigments at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NO.22, 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Y.Y, Lee H.I., Kim B.S., and Kim S.S., 2009, Process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Ultramarine Blue from Kaolin, J. Miner. Soc. Korea, 22(2), 107-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o J.J., Lee S.J., Kim S.J., Yun Y.K., and Ahn B.C., 2008, Characterization of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J. Miner. Soc. Korea, 21(3), 271-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ang S.G., and Cheong C.J., 2010,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of the Suncheo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 No.3, 198-2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ang S.W., Park Y.S., park D.W., and Kim J.K., 2010, A Study on Dancheong Pigments of Old Wooden Building in Gwangju and Jeonnam,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43, 3, 202, 269-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 Wentworth C.,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The Journal of Geology, Vol.30, No. 5, 377-3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B., Choi Y.Y., Cho S.B., Kin W.T., 2008, Effect of Grinding method and Grinding ratie on the dry beneficiation of Kaolin mineral. 21(2), 129-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J., Han M.S,. Lee H.H., 2012, A scienr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a scrol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Bulguk Templ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12, No.3, September, 212-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S.H., 2010, The color of traditional painting, Gail art, 1, 17-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S.J., Choi I.S., Lee K.G., Do J.Y., and Ahn B.C., 2012,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a scrol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Bulguk Templ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12, No.3, September 2012, 212-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J.Y., 2014,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natural inorganic pigments using scientific analysis methods, Graduate school of Yong in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M., 2013, Material and col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neral pigments used in traditional 'dancheong' of Korea. (in Korean) 

  14. Lee, K.W.,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hite pigment used in traditional painting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W.,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hite pigment used in traditional painting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im, S.J., Park, H.S., Cha, B.K.,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mineral pigments of Japan and China with Conservation Scientific Analysis, Conservation of Art, Vol.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alvern, 2007, Sample dispersion and refractive index guide, Malvern instruments. 

  18. Malvern, 2015, Basic principles of particle size analysis, Malvern instruments.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M.K., 2015, A study on the pattern and pigment for four Buddhist Guardians of Songgwangsa temple in Wanju, Korea,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in E.J., 2005,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8, 360-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IMON J. BLOTT and KENNETH PYE, 2001,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J. Earth Surf. Process. Landforms, 26, 1237-12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