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idden Markov Chain 모형과 이변량 코플라함수를 이용한 가뭄빈도분석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Hidden Markov Chain Model and Bivariate Copula Fun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2, 2015년, pp.969 - 979  

전시영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용탁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특성분석에 유리하며, 확률론적 접근이 가능한 은닉 마코프 모델(HMM) 기반의 가뭄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HMM 기반의 가뭄의 심도뿐만 아니라 지속시간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도록 코플라 함수 기반의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기법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의 2015년 가뭄 빈도를 평가하였다. 가뭄빈도분석 결과 최근 40년 자료를 기준으로 영동지방에 비해 영서지방이 전체적으로 가뭄이 발생할 경우 가뭄의 심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심한가뭄의 발생 비율의 경우에 철원의 경우 10%를 상회하는 등 임진강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심한가뭄의 발생비율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강유역 일부지점에서는 2014/2015년의 가뭄 지속기간 및 심도의 결합재현기간이 1,000년이 넘는 가뭄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북한강 및 임진강 유역에 심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100년 이상의 기왕최대가뭄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lied a probabilistic-based hidden Markov model (HMM) to better characterize drought patterns. In addition, a copula-based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was employed to further investigate return periods of the current drought condition in year 2015. The obtained results reveal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5). 본 연구에서는 6개월 누적 월 강수량을 구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을 정의하기 위해서 정상년 기준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강수의 Anomaly를 구분하고자 다음 Eq. (1)을 이용하여 가뭄절단수준을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특성 변수로 HMM을 통하여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이변량 가뭄빈도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극치 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92개 강우 관측소의 일 자료를 사용하여 월평균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타당성을 위하여 30년 이상의 자료가 구축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2015년 6월 14일 기준으로 기상청에서 극한 가뭄 또는 심한 가뭄으로 선정한 지역인 서울, 경기도 및 강원도 지역의 지점을 추가적으로 선정하여 연구 시 64개 지점의 강우관측소를 사용하였다.
  • 산정된 2개의 변량에 대해서 가뭄빈도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가뭄의 결합재현빈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플라 함수를 사용하여 특성변수간의 의존 구조를 고려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변량 가뭄 빈도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뭄의 지속시간과 심도에 대한 주변확률분포를 우선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2015년 8월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뭄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한강 유역의 경우 과거의 유례를 찾기 힘든 장기적 가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15년 가뭄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가뭄의 신뢰성 있는 평가를 위하여 기존 가뭄지수의 문제점을 상당부분 보완할 수 있으며, 확률론적 접근이 가능한 은닉마코프모델(hidden Markov model, HMM) 기반의 가뭄지수(Yoo et al.

가설 설정

  • 즉, HMM은 수문시계열을 통계적 관점에서 가장 효과적인 분리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가뭄을 평가하는 과정과도 매우 부합된다. 기본적으로 HMM 은 수문변량의 특성이 은닉상태(hidden state)에 있으며, 이러한 은닉 상태들의 천이확률(transition probability)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다는 정상성 가정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서 은닉상태는 일종의 범주와 같으며, 예를 들어 1번 은닉 상태는 1번 범주에 해당하는 자료 분류로 설명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HMM을 이용하여 강수의 특성을 7가지 상태로 구분하여 나타내었으며, 강우의 Anomaly가 음수를 나타내는 상태 1~3까지를 가뭄의 절단수준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상태-1을 극한가뭄, 상태-2를 심한가뭄, 상태-3을 보통가뭄으로 구분하였다.
  • HMM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조건부 독립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어진 은닉상태와 관측시계열로 이루어진 모형에서 관측시계열 벡터는 다른 모든 변수와 조건부적으로 독립이라고 가정한다. 둘째, 현재의 시계열은 바로 이전의 은닉상태에만 상관성이 있는 1차 Markov Chain을 기준으로 구성되며 은닉상태의 분포특성은 시간 적으로 오직 이전 은닉상태에 의존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DMC에서 분류하고 있는 가뭄의 정의는? NDMC에서 분류하고 있는 가뭄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먼저 기후학적 가뭄은 임의 지역에 건조한 기후패턴이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후학적 가뭄이 수개월 지속되었을 때 하천, 저수지, 지하수위 저하로 발생되는 가용물 공급 수준을 의미한다. 농업적 가뭄은 농작물의 성장 및 생태 환경 유지에 필요한 토양 수분이 확보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하며, 주로 토양수분지수를 활용하여 나타낸다. 사회경제적 가뭄은 물 공급이 사회경제적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는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산업화 전·후로 가뭄의 관심사가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 초반 약 150개가 넘는 가뭄에 관한 정의가 나올 정도로 연구가 수행된 이유는? 가뭄은 관측 및 정의하기 어려우며 가뭄 피해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복잡한 자연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1980년대 초반 약 150개가 넘는 가뭄에 관한 정의가 나올 정도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
Run Theory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Yevjevich (1967)에 의해서 제안된 Run Theory를 활용하였다. Run Theory는 가뭄의 지속시간, 심도, 강도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여러 연구에서 적용되고 있다. 즉, 가뭄특성을 평가 하는데 있어서 지점별로 결정된 기준값(truncation level)을 토대로 지속성이 큰 가뭄의 시공간적 가뭄평가 및 결합재현기간를 위한 가뭄 특성을 추출하는데 활용된다 (Dracup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naccorso, B., Bordi, I., Cancelliere, A., Ross, G., and Sutera, A. (2003). "Spatial Variability of Drought: An Analysis of the SPI in Sicily."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7, No. 4, pp. 273-296. 

  2. Dracup, J.A., Lee, K.S., and Paulson, E.G. (1980).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Even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6, No. 2, pp. 289- 296. 

  3. Kao, S.C., and Govindaraju, R.S. (2007). "A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with implications for desig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2, Issue. D13, pp. 1-15, doi:10.1029/2007JD 008522. 

  4. Kao, S.C., and Govindaraju, R.S. (2010). "A copula-based joint deficit index for droughts." Journal of Hydrology, Vol. 380, pp. 121-134. 

  5. Kim, T.W., Valdes, J.B., and Yoo, C.S. (2003). "Nonparametric Approach for Estimating Return Periods of Droughts in Arid Reg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8, pp. 237-246. 

  6. Kim, T.W., Valdes, J.B., ASCE, F., and Yoo, C.S. (2006). "Nonparametric Approach for Bivariate Drought Characterization Using Palmer Drought Index."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1, pp. 134-143. 

  7. Kwak, J.W., Kim, Y.S., Lee, J.S., and Kim, H.S. (2012).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Copula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Civil Engineering, pp. 1762-1771, doi: 10.1061/9780784412312.175. 

  8. Kwon, H.H., Kim, T.J., Hwamg, S.H., and Kim, T.W. (2013). "Development of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Based on Homogeneous Hidden Markov Ch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5, pp. 1861-1870. 

  9. Lee, J.H., Chung, G.H., and Kim, T.W. (2009). "Evaluation of Flood Severity Using Bivariate Gumbel Mixed Model."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9, pp. 725-736. 

  10. Loaiciga, H.A., and Leipnik, R.B. (1996). "Stochastic renewal model of Iow-fow streamflow sequences." Stochastic Hydrology and Hydraulics, Vol. 10, pp. 65- 85. 

  11. Mirakbari, M., and Ganji, A. (2010). "Reliability analysis of a rangeland system: the application of Profust theory."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Vol. 24, pp. 399-409, doi:10.1007/s00477-009-0329-8 

  12. Mishra, A.K., and Desai, V.R. (2005). "Drought forecasting using stochastic models."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Vol. 19, pp. 326-339, doi:10.1007/s00477-005- 0238-4 

  13. Salas, D., Chauvin, F., Deque, M., Douville, H., Gueremy, J.F., Marquet, P., Planton, S., Royer, J.F., and Tyteca, S. (2005). "Description and validation of the CNRMCM3 global coupled model." Climate Dynamics, Vol. 103, pp. 1-36. 

  14. Sklar, A. (1959). "Fonctions de repartition a n dimensions et leurs marges." Universite Paris, Vol, 8, pp. 229-231. 

  15. Wilhite, D.A., and Glantzb, M.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Vol. 10, lssue. 3, pp. 111-120. 

  16.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Hydrrology paper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No. 23. 

  17. Yoo, J.Y., Kwon, H.H., Kim, T.W., and Lee, S.O. (2014).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based on Homogeneous Hidden Markov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1, pp. 145-153. 

  18. Yoo, J.Y., Kwon, H.H., So, B.J., Rajagopalan, B., and Kim, T.W. (2015). "Identifying the role of typhoons as drought busters in South Korea based on hidden Markov chain model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Research Letter, Vol. 42, pp. 2797-2804, doi: 10.1002/ 2015GL063753. 

  19. Yue, S. (2001). "A bivariate gamma distribution for use in multivariate flood frequency analysis." Hydrological Processes, Vol. 15, No. 6, pp. 1033-1045. 

  20. Zhang, L., and Singh, V.P. (2006). "Bivariate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Copula Method."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1, No. 2, pp. 150-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