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 요인 분석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2 no.3, 2015년, pp.149 - 159  

강영옥 (충남대학교병원)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lls and 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an baseline data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fall prevention. Methods: The data on 120 patients who experienced falls from 2010 to 2013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상 실태 및 낙상위험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도에 수행된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연구(Kang & Song, 2015)를 위해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별한 낙상자료에 대해 2차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분석 하여 환자안전관리 보고시스템에 등록된 낙상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 실태 및 낙상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낙상예방 및 위험 환자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예방 및 위험 환자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6.
  • 낙상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의도하지 않은 자세의 변화로 인해 당시 몸의 위치보다 낮은 곳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에 눕는 것을 의미한다(Tinetti, Speechley, & Ginter, 1988).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자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현재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또는 발을 땅에 딛지 않은 상태에서 떨어진 경험이 의료진에게 감지되어 해당 의료기관 의료질관리실의 사건보고체계에 낙상사고로 정식 보고된 사례를 의미한다.
  • 낙상 실태는 낙상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낙상 관련 요인, 낙상 유형 및 장소, 낙상발생 상황, 간호중재, 낙상 결과 등을 의미한다(Kim & Suh, 2002). 본 연구에서는 환자 전자의무기록과 환자안전관리 시스템의 낙상사고보고서에 기록되어 있는 낙상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낙상 결과, 질병 관련 특성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낙상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낙상 예방 및 낙상위험 환자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최근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 환자와 만성질환자의 증가, 질병의 다양화 등으로 낙상위험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임상에서는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를 파악하고 낙상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현장에서 발생한 낙상 사례의 충분한 숫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후향적 접근방법을 통해 환자안전관리보고시스템에 등록된 낙상한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도하였다.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낙상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 낙상예방 및 위험 환자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현장에서 발생한 낙상 사례의 충분한 숫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후향적 접근방법을 통해 환자안전관리보고시스템에 등록된 낙상한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도하였다.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낙상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 낙상예방 및 위험 환자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는 어떤 것들을 경험하게 되는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는 질병, 수술, 침상 안정 등으로 인해 점차 약해지게 되고 여러 가지 약물 복용의 결과로 불안정한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빈뇨나 긴박뇨, 설사 등으로 인해 화장실에 급히 가게 되는 것을 경험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대해 다양한 위협을 느끼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Morse, 2009). 이러한 입원 환경에서 병실의 침대 이용 시, 기립 및 보행 시, 욕실이나 화장실 이용 시 낙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Kim & Suh, 2002).
낙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병원에서의 낙상과 낙상으로 인한 상해는 환자와 가족 및 병원 관리자들에게 심각한 문제이다. 낙상으로 인해 환자는 타박상과 같은 경미한 손상부터 심한 연조직의 외상, 골절, 경막하 혈종, 장기적인 장애와 심지어는 사망까지 이르게 하는 두개골 골절을 경험하게 된다(Coussement et al., 2008).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인 내적 위험 요인과 외적 위험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은 연령 및 성별과 같은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내적 위험 요인과 환경의 영향과 관련이 있는 외적 위험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Soriano, DeCherrie, & Thomas, 2007). 입원 환자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위험 요인에는 동반질환, 행동장애, 불안과 혼동, 시력 장애, 섬망, 근육약화, 요실금, 균형 장해 등이 포함된다(Oliver et al., 2007). 외적 위험 요인으로는 부적절한 보행보조기구, 신발, 어두운 조명, 미끄러운 바닥과 장애물 등 환경적 요인이 보고되고 있다(Evans, Hodgkinson, Lambert, & Wood, 2001). 그러나 업무 수행 중 나타나는 낙상은 작업환경, 안전을 경시하는 문화적 배경,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부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Lopez, Gerling, Cary, & Kanak,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gland, A., & Wyller, T. B. (2004).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10(5), 308-313. http://dx.doi.org/10.1136/ip.2003.004721 

  2. Bouldin, E. D., Andresen, E. M., Dunton, N. E., Simon, M., Waters, T. M., Liu, M., et al. (2013). Falls among adult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Journal of Patient Safety, 9(1), 13-17.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2699b64 

  3. Carson, M., & Cook, J. (2000). A strategic approach to falls preventio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Governance, 5(3), 136-141. http://dx.doi.org/10.1108/14664100010351233 

  4. Coussement, J., De Paepe, L., Schwendimann, R., Denhaerynck, K., Dejaeger, E., & Milisen, K. (2008).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acute-and chronic-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6(1), 29-36.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08.x 

  5. Dykes, P. C., Carroll, D. L., Hurley, A., Lipsitz, S., Benoit, A., Chang, F., et al. (2010). Fall prevention in acute care hospitals: A randomiz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4(17), 1912-1918. http://dx.doi.org/10.1001/jama.2010.1567 

  6.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1), 38-45.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1.00269.x 

  7. Fisher, N. M., Gresham, G., & Pendergast, D. R. (1993). Effects of quantitative progressive rehabilitation program applied unilaterally to the osteoarthritic kne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12), 1319-1326. http://dx.doi.org/10.1016/0003-9993(93)90087-Q 

  8. Hitcho, E. B., Krauss, M. J., Brige, S., Dunagan, W. C., Fisher, I., Johnson, S., et al. (2004).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falls in a hospital setting: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7), 732-739.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4.30387.x 

  9. Hur, J. Y., & Kim, H. J. (2009).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knowledge and attitude to falls in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1(1), 38-50. 

  10. Jeon, M. Y., Jeong, H. C., & Choe, M. A.,(2001). A study on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fracture from the fal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3), 443-453. 

  11. Kang, Y, O., & Song, R. (2015).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retrospective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1), 29-38.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29 

  12. Kelly, A., & Dowling, M. (2004). Reducing the likelihood of falls in older people. Nursing Standard, 18(49), 33-40. http://dx.doi.org/10.7748/ns2004.08.18.49.33.c3672 

  13. Kim, C. G., & Suh, M. J.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2), 210-228. 

  14. Kim, E. K., Lee, J. C., & Eom, M. R. (2008).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76-684.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676 

  15. Kim, Y. S., & Choi-Kwon, S. (2013).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74-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Statistical report on the aged. Seoul: Statistics Korea. Retrieved January 21, 2015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 

  17. Lopez, K. D., Gerling, G. J., Cary, M. P., & Kanak, M. F. (2010). Cognitive work analysis to evaluate the problem of patient falls in an inpatient setting.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17(3), 313-321. http://dx.doi.org/10.1136/jamia.2009.000422 

  18. Morse, J. M. (2009). Preventing patient falls: Establishing a fall intervention program.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 Oliver, D. (2004). Prevention of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genda for research and practice. Age and Ageing, 33(4), 328-330. http://dx.doi.org/10.1093/ageing/afh145 

  20. Oliver, D., Connelly, J. B., Victor, C. R., Shaw, F. E., Whitehead, A., Genc, Y., et al. (2007). Strategies to prevent falls and fractures in hospitals and care homes and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British Medical Journal, 334(7584), 82-86. http://dx.doi.org/10.1136/bmj.39049.706493.55 

  21. Oliver, D., Daly, F., Martin, F. C., & McMurdo, M. E. (2004).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33(2), 122-130. http://dx.doi.org/10.1093/ageing/afh017 

  22. Oliver, D., Healey, F., & Haines, T. P. (2010).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6(4), 645-692. http://dx.doi.org/10.1016/j.cger.2010.06.005 

  23. Shin, J. G. (2011).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falls among elderly in a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4. Soriano, T. A., DeCherrie, L. V., & Thomas, D. C. (2007). Falls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A review for primarycare provider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4), 545-553. 

  25. Sung, Y. H., Kwon, I. G., & Kim, K. H. (2006). Factors influencing falls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2), 200-207. 

  26.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26), 1701-1707. http://dx.doi.org/10.1056/NEJM198812293192604 

  27. Walsh, W., Hill, K. D., Bennell, K., Vu, M., & Haines, T. P. (2011). Local adaptation and evaluation of a falls risk prevention approach in acute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3(2), 134-141. http://dx.doi.org/10.1093/intqhc/mzq075 

  28. Yang, H. M., & Chun, B. C. (2009). Falls in the general hospital inpatients: incidence, associate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5(2), 107-120. 

  29. Yoo, I. Y. (2011). Analysis of multi-variate recurrent fall risk factors in elderly people using residential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comparisons between single and recurrent faller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1(1), 119-12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19 

  30. You, M. S. (2006).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the hospitalized elderly by fa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