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환자의 낙상실태 및 위험요인 조사연구: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Fall Events and Fall Risk Factors among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3, 2017년, pp.350 - 360  

최은희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고미숙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유정숙 (서울대학교병원 통합물류부) ,  김미경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of falls among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fall risk fact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15, 2016 and January 15, 2017 from 32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발생 현황을 파악하고자한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낙상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낙상위험요인을 국내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낙상위험 예측 요인의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한국형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는 국내 임상현장의 상황을 반영하는 타당도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의 기초 토대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를 분석하고, 임상현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낙상위험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낙상실태 및 낙상위험 사정도구 사용실태를 확인하고 입원 환자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의 중요도를 알아봄으로써 한국형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예비문항을 만들기 위한 사전연구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 환자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한국형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부분 병동에서 간호실무에 직 ․ 간접적으로 참여하며 낙상예방활동 모니터링 및 낙상 발생률을 관리하는 수간호사였기 때문에 급성기 환자가 주로 입원하는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요인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한국형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발생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국내 임상현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낙상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실태를 분석하고, 낙상위험의 요인 및 중요도를 파악하여 입원 환자에게 적합한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삼고자하는 것이다.
  •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설문에 필요한 일반적 사항 및 낙상 관련 자료 이외의 개인정보는 수집하지 않았다. 설문지 배부 시 설문조사의 보상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여 연구참여자의 자발성에 근거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후 소정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발생 현황을 파악하고자한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낙상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낙상위험요인을 국내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낙상위험 예측 요인의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한국형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진료 과적 특성과 위험요인을 개별적으로 고려한 낙상예방 중재안을 수립하여야 하는 이유는? 연구마다 진료과의 유형이 달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진료과가 아닌 병동별로 낙상 발생률을 비교한 연구에서도 내과병동이외과병동보다 낙상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28]. 내과는 심혈관계 질환, 악성종양, 소화기계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많고, 환자들은 이로 인한 합병증 및 여러 가지 질환이 동반되어 전신 쇠약, 어지러움, 배설장애 등의 증상이 빈번히 나타나며 낙상 관련 위험 약물을 다양하게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사료된다. 신경외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는 보행 및 기동성 장애와 마비, 평형감각 장애, 의식수준 장애가 있는 환자가 많이 분포되어 낙상발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낙상이 주로 발생하는 진료과와 병동에서는 환자의 진료 과적 특성과 위험요인을 개별적으로 고려한 낙상예방 중재안을 수립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종합병원 입원 환자 중 낙상사고의 비율은?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사건(adverse event) 중 하나로써 간호의 주요한 질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 입원 환자의 낙상 발생률은 연구에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어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최근 국내연구에서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사고가 1,000명당 1.9건으로 보고되었다[1].
낙상이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낙상은 환자에게 신체적으로는 타박상이나 부종, 열상, 골절, 뇌손상 등의 심각한 상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하며[2], 정서적으로는 불안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상 생활로부터 환자를 위축시키며 우울 및 자신감 상실 등의 부정적인 영향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YS, Choi-Kwon SM.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74-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2. Coussement J, De Paepe L, Schwendimann R, Denhaerynck K, Dejaeger E, Milisen K.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acute-and chronic-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8; 56(1):29-36.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08.x 

  3. Healey F, Scobie S, Glampson B, Pryce A, Joule N, Willmott M. Slips, et al. The third report from the Patient Safety Observatory [Internet]. London: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2007[cited 2017 December 13]. Available from: http://www.nrls.npsa.nhs.uk/resources/?entryid4559821. 

  4. Oliver D, Daly F, Martin FC, McMurdo ME.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2004;33(2):122-130. http://dx.doi.org/10.1093/ageing/afh017 

  5. Kim CG, Suh MJ.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2;9(2):210-228. 

  6. Myers H, Nikoletti S. Fall risk assessment: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nurses' clinical judgement and risk assessment tools in predicting patient fall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3;9(3):158-165.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3.00409.x 

  7. Chapman J, Bachand D, Hyrkas K. Testin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feasibility of four falls risk assessment tools in a clinical sett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1): 133-142.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0.01218.x 

  8. Hendrich AL, Bender PS, Nyhuis A.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2003;16(1):9-21. http://dx.doi.org/10.1053/apnr.2003.016009 

  9. Kang YO, Song RY.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retrospective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29-38. https://doi.org/10.7475/kjan.2015.27.1.29 

  10. Kim SJ, Lee YM. Fall risk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4):2191-2203. 

  11. Kim EK, Lee JC, Eom MR.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5):676-684. https://doi.org/10.4040/jkan.2008.38.5.676 

  12. Park SH, Kim E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or usefulness of fall risk assessment tools in adult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6;16(3):180-191. https://doi.org/10.15384/kjhp.2016.16.3.180 

  13. Jang IS, Lee SG.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3):264-274. https://doi.org/10.7739/jkafn.2014.21.3.264 

  14. Vassallo M, Stockdale R, Sharma JC, Briggs R, Allen 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four fall risk assessment tools on acute medical ward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6):1034-10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53316.x 

  15. Perell KL, Nelson A, Goldman RL, Luther SL, Prieto-Lewis N, Rubenstein LZ. Fall risk assessment measures: An analy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y. 2001;56(12):761-766. http://dx.doi.org/10.1093/gerona/56.12.M761 

  16. Oliver D, Healey F, Haines TP.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10; 26(4):645-692. http://dx.doi.org/10.1016/j.cger.2010.06.005 

  17. Morse JM, Morse RM, Tylko SJ.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1989;8(4):366-377. https://doi.org/10.1017/S0714980800008576 

  18. Oliver D, Britton M, Seed P, Martin FC, Hopper A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vidence based risk assessment tool (STRATIFY) to predict which elderly inpatients will fall: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BMJ. 1997;315(7115):1049-1053. https://doi.org/10.1136/bmj.315.7115.1049 

  19. Hendrich A, Nyhuis A, Kippenbrock T, Soja ME. Hospital fall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clinical practice. Applied Nursing Research. 1995;8(3):129-139. http://dx.doi.org/10.1016/S0897-1897(95)80592-3 

  20. Poe SS, Cvach M, Dawson PB, Straus H, Hill EE. The Johns Hopkins fall risk assessment tool: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7;22(4):293-298. https://doi.org/10.1097/01.ncq.0000290408.74027.39 

  2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The guidelines for patient safety (6th. ed). Seoul cit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5. p. 11-14. 

  22. Yang HM, Chun BC. Falls in the general hospital inpatients: Incidence,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9;15(2):107-120. 

  23. Bouldin ED, Andresen EM, Dunton NE, Simon M, Waters TM, Liu MJ, et. al. Falls among adult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3;9(1):13-17. 

  24. Healey F, Scobie S, Oliver D, Pryce A, Thomson R, Glampson B. Falls in English and Welsh hospitals: A national observational study based on retrospective analysis of 12 months of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8;17(6):424-430. http://dx.doi.org/10.1136/qshc.2007.024695 

  25. Burns ER, Stevens JA, Lee R. The direct costs of fatal and non-fatal falls among older adults-United States. Journal of Safety Research. 2016;58:99-103. http://dx.doi.org/10.1016/j.jsr.2016.05.001 

  26. Cox J, Thomas-Hawkins C, Pajarillo E, DeGennaro S, Cadmus E, Martinez M.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hospitalized adult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2015;28(2):78-82. http://dx.doi.org/10.1016/j.apnr.2014.12.003 

  27. Fischer ID, Krauss MJ, Dunagan WC, Birge S, Hitcho E, Johnson S, et al.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patient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a large academic hospital.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05;26(10):822-827. https://doi.org/10.1086/502500 

  28. Schwendimann R, Buhler H, De Geest S, Milisen K. Characteristics of hospital inpatient fall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Gerontology. 2008;54(6):342-348. https://doi.org/10.1159/000129954 

  29. Kim EAN, Mordiffi, SZ, Bee WH, Devi K, Evans D. Evaluation of three fall-risk assessment tools in an acute care set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60:427-43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9.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