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tervention Mapping을 적용한 지역사회기반의 골관절염 자기관리지지 프로그램 개발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 a Community-based Disease Self-management Support Program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2 no.3, 2015년, pp.245 - 257  

안양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라이프스타일 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intervention mapping (IM) to develop a community-based disease self-management support program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Methods: IM was applied as follows: i) a needs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ut by a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확인된 행위나 환경의 결정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선택하여 실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화목표에 대한 이론적 방법과 실제 활동이 기술되었다.
  • 또 다른 한계점은 환자 개인별 맞춤형 중재로 설계하였기에 수행목표는 개인의 건강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세분화된 수행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수행목표와 변화목표를 제시하여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전체 과정의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의 외적타당도는 전 개발과정을 통해서 중요한 부분이다.
  • 그러나 프로그램 개발과정, 프로그램 접근방법이나 전략, 내용 등 여러 측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국내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중재와는 다른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것이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으며, 주요 네 가지 측면에서 논하고자 한다.
  •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측면에서 의사소통의 경우, 자조관리과정에서는 같은 관절염 환자들 간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의사, 환자, 간호사들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함이며, 특히 환자가 자신의 질병상태를 정확하게 의사표현하고 또한 자신이 질병관리를 위하여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하여 의료 팀에게 질문을 하고 들을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가족 또는 이웃의 지지를 포함하고 있는데, 동거가족이 없는 독거 환자의 경우에는 함께 할 수 있는 이웃을 활용하도록 계획하였다. 이와 같은 다면적 프로그램의 중재가 제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무에서 지역사회보건간호사의 이론적 지식과 기술 습득이 절실히 필요하다(Detaille et al.
  • 프로그램 개요: 4단계에서는 중재의 내용 및 방법, 범위 그리고 프로그램 자료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 계획을 제시하였다(Table 3). 이 연구에서 중재 프로그램은 공공보건기관의 방문보건사업과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에서 만성질환관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강점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제공될 것으로 계획하였다. 그 이유는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이 기존보건사업에 자연스럽게 엮어지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친밀감을 강화하고, 한편으로 서비스제공자(간호사)의 업무가 과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 즉 잠재적 대상이 누구인지, 서비스제공자는 누구인지, 그리고 중재는 어떤 틀을 가지고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누구를 대상으로 누가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할지를 계획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자 수 및 표집방법, 중재 틀, 중재자교육 · 훈련, 중재서비스의 질 관리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IM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이론기반의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기관리지지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내용을 서술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수행목표와 관련요인(행위나 환경 결정요인)이 연결되어 수립된 변화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론 근거의 적절한 기술이나 방법/전략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한 활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Taylor, 2013). 즉 확인된 행위나 환경의 결정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선택하여 실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화목표에 대한 이론적 방법과 실제 활동이 기술되었다.

가설 설정

  • 그리고 Hibbard와 Cunningham (2008)은 2007년 건강가구조사결과를 토대로 연령, 교육수준, 수입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환자활력수준이 다름을 제시하였는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의료급여수급자일수록 그리고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활력수준이 낮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결과들을 기반으로 환자활력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며 또한 환자활력수준을 높이면 골관절염 환자는 자기관리행위의 증진으로 건강상태가 증진될 것으로 가정하고 이 연구에서 골관절염 환자의 활력수준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환자활력수준은 평균 56.
  • 중재 프로그램의 목표(objective)는 질병자기관리를 위한 환자활력수준의 향상으로 결정하였고, 결과적으로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수준이 증대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골관절염 환자의 질병자기관리를 위한 활력수준의 향상은 환자의 통증, 신체기능제한, 우울 등의 수준을 감소시키어 전체적으로 건강 수준을 증대시키기 때문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기관리지지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사회에서 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기관리지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은 당연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관절염이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는 공통 질환으로 만성질병이면서 장애유발의 원인이 되고 소득상실 및 의료비용증가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만 50세 이상 골관절염 유병률이 29.
자조관리과정은 무엇인가? 자조관리과정은 자조원칙과 관절염, 운동과 통증관리, 지구력 운동과 정서적 문제, 영양과 문제해결방법, 민간요법에 대한 평가와 의사소통 문제, 그리고 관절염 약물관리와 자기조절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자조관리과정은 환자들로 구성된 10명 내외의 소그룹 형태 학습과정으로 자기효능, 계약, 자기간호를 핵심요소로 하고 있으며, 총 6회의 모임을 통하여 자신의 질병을 스스로 관리하는 기술, 의지,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일종의 자기관리를 위한 환자교육 프로그램이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자조관리과정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자조관리과정의 내용이나 방법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조관리과정을 수정 · 보완하고 그 명칭을 ‘스스로 관절관리’로 개칭하여 적용하기도 하였다(Lee et al.
골관절염은 지속적인 약물치료보다는 무엇이 강조되는가? 8%였다(Kim & Kim, 2013). 골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다르게 지속적인 약물치료보다는 운동이나 신체활동과 같은 자기관리활동들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오늘날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효율적 골관절염관리는 자기관리지지(self-management support)를 통하여 환자 스스로 질병관리에 대한 책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통증완화, 신체기능향상, 우울과 같은 합병증 감소 등의 건강성과를 이루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Kim, B. J., Ham, O. K., & Kim, S. H.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activation for self-management among community resident with osteoarthriti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303-31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3.303 

  2. Bandura, A.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26. 

  3. Bartholomew, L. K., Parcel, G. S., Kok, G., Gottlieb, N. H., & Fernandez, M. E. (2011).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3rd ed.). San-Fransisco: Jossey-Bass. 

  4. Battersby, M., Von Korff, M., Schefer, J., Davis, C., Ludman E., Greene S. M., et al. (2010). Twelve evidence-based principles for implementing self-management support in primary care.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6(12), 561-570. 

  5. Bennell, K. L., Hunter, D. J., & Hinman, R. S. (2012).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British Medical Journal, 345(7868), 37-42. http://dx.doi.org/10.1136/bmj.e4934 

  6. Begum, N., Donald M., Ozolins, I. Z., & Dower, J. (2011). Hospital admissions, emergency department utilization and patient activation for self-management among people with diabete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93(2), 260-267. http://dx.doi.org/10.1016/j.diabres.2011.05.031 

  7. Boisvert, J.-M., Beaudry, M., & Bittar, J. (1985). Assertiveness training and human communication processes,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logy, 15(1), 58-73. 

  8. Chang, S. J., Choi, S. Y., Kim, S. A., & Song, M. (2014).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 systematic review. Asian Nursing Research, 8, 172-181. http://dx.doi.org/10.1016/janr.2014.08.002 

  9. Cherrington, A., Martin, M. Y., Hayes, M., Halanych, J. H., Wright, M. A., Appel, S. J., et al. (2012). Intervention mapping as a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a diabetes peer support intervention in rural Alabama. Preventing Chronic Disease, 9: 110053. http://dx.doi.org/10.5888/pcd9.110053 

  10.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11. Detaille, S. I., van der Gulden, J. W. J., Engels, J. A., Heerkens, Y. F., & Dijk, F. J. H. (2010). Using intervention mapping (IM) to develop a self-management programme for employees with a chronic disease in the Netherlands. BioMedical Central Public Health, 10.353. http://dx.doi.org/10.1186/1471-2458-10-353 

  12. Hanan, S. A., & Sahar, Y. M. (2011). Perceived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an exercise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osteoarthritis. Journal of American Science, 7(8), 315-323. 

  13. Heller, A., Elliott, M. N., Haviland, A. M., Klein, D. J., & Kanouse, D. E. (2009). Patient activation status as a predictor of patient experience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Medical Care, 47(8), 850-857. http://dx.doi: 10.1097/MLR.0b013e318197b661 

  14. Hibbard, J. H., & Cunningham, P. J. (2008). How engaged are consumers in their health and health care, and why does it matter? Research Briefs, 8, 1-9. 

  15. Hibbard, J. H., Mahoney, E. R., Stock, R., & Tusler, M. (2007). Do increases in patient activation result in improved self-management behaviors? Health Services Research, 42, 1443-1463. 

  16. Jaramillo, A., Welch, V. A., Ueffing, E., Gruen, R. L., Bragge, P., Lyddiatt, A., et al. (2013). Prevention and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are top priorities for osteoarthritis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6, 503-510. http://dx.doi.org/10.1016/j.clinepi.2012.06.017 

  17. Kil, S. Y., Oh, W. O., & Suk, M. 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psychosocial factors of patients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 79-86. 

  18. Kim, H. R., & Kim E. J. (2013).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a Korean population aged 50 and ov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27-39.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27 

  19. Lee, C. Y., & Cho, Y. H. (2012). Evaluation of a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self-care program for rural Korea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7), 965-97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965 

  20. Lee, E. N., Lee, K. S., Lee I. O., Bak, W. S., Choi, H. W., Cho, K. S., et al. (2015). Effects of the new version of the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2), 105-113. http://dx.doi.org/10.5953/JMJH.2015.22.2.105 

  21. Lee, M. S., & Cheon, E. Y. (2009).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social networks on elder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1(2), 152-161. 

  22. Leventhal, H., Brisette, I., & Leventhal, E. (2003). The commonsense model of self-regulation of health and illness. In L.D. Cameron, & H. Leventhal (Eds). The self-regulation of health and illness behavior. London: Routledge. 

  23. Lim, N. Y., Kim, J. I., Lee, E. N., Lee, K. S., Lee, I. O., Cho, K. S., et al. (2010). The analysis on published research in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7(1), 79-88. 

  24. Martire, L. M., Schulz, R., Keefem F. J., Rudy, T. E., & Starz, T. W. (2007). Couple-oriented education and support intervention: Effects on individuals with osteoarthritis and their spouses. Rehabilitation Psychology, 52(2), 121-132. 

  25. Mosen, D. M., Schmittdiel, J., Hibbard, J., Sobel, D., Remmers, C., & Bellows, J. (2007). Is patient activation associated with outcomes of care for adult with chronic conditions? Journal of Ambulatory Care Management, 30(1), 21-29. 

  26. Newman, S., Steed, L., & Mulligan, K. (2004).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for chronic illness. The Lancet, 364(9444), 1523-1537. 

  27.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83). States and processes of self change in smoking: Toward an intergratvi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 390-395. 

  28. Schmid, A. A., Andersen, J., Kent, T., Williams, L. S., & Damush, T. M. (2010).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 and adapt a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in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medical centers. Implementation Science, 15(5), 97. http://dx.doi.org/10.1186/1748-5908-5-97 

  29. Simon, S. N. (2009). Applying gestalt theory to coaching. Gestalt Review, 13(3), 230-240. 

  30. Taylor, N. J., Sahota, P., Sargent, J., Barber, S., Loach, J., Louch, G., et al. (2013).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 culturally appropriate intervention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the HAPPY (Healthy and Active Parenting Program for Early Year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 , 142. http://dx.doi.org/10.1186/1479-5868-10-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