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79 - 96  

권혜진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  전숙영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요인과 환경 변인으로 어머니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 및 양육실제를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문제행동 중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5차년도(2012년) 한국아동패널데이터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유아 1703명과 그의 어머니가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요인 중 정서성기질은 어머니 양육역량에 부정적 영향을, 활동성기질과 사회성기질은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유아의 기질요인 중 정서성기질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유아의 기질요인 중 활동성기질과 사회성기질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역량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역량은 자녀의 기질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중재하기 위한 어머니 교육은 자녀의 기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양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The 5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us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모델을 최종 구조회귀 모델로 채택하고 이에 대한 모수치를 추정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를 알아보았다.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정서성기질은 공격성 및 주의집중 문제행동인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β=.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조사 대상이 유아기에 진입하여 처음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타고난 특성인 기질과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자기 자신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는 정도인 자기효능감과 자녀에 대한 온정적 양육을 양육역량이라는 잠재변인으로 생성하여 자녀의 기질과 외현적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역량과 유아의 기질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역량, 외현화 문제행동이라는 두 개의 잠재변인에 특정 지표변수를 설정한〔그림 1〕과 같은 구조회귀 모델을 통계적 검증 모델로 설정하였다. 구조회귀 모델의 통계적 검증에 앞서 연구 자료가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합한 정규성을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9.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역량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유아의 기질적 특성이 문제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유아의 기질 특성을 이해하고 어머니가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믿고 실제로 적절하게 반응하는 역량을 갖는 것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달라지게 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특성과 환경 변인으로 유아와 가장 가까이에서 빈번하게 상호작용하는 어머니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고 실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역량을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조사 대상이 유아기에 진입하여 처음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타고난 특성인 기질과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세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 양육역량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한데(Gilmore & Cuskelly, 2008), 선행연구의 논의들을 종합해보면 양육지식과 양육기술 등과 같은 구체적인 양육행동실제와 부모 자신에 대한 자기인식 등이 부모에게 필요한 양육역량(김명하, 20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을 의미하는 어머니의 효능감과 구체적인 양육행동 실천을 의미하는 온정적 행동을 양육역량 변인으로 구성하여 자녀의 발달 및 행동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특성과 환경 변인으로 유아와 가장 가까이에서 빈번하게 상호작용하는 어머니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고 실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역량을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조사 대상이 유아기에 진입하여 처음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타고난 특성인 기질과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자기 자신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는 정도인 자기효능감과 자녀에 대한 온정적 양육을 양육역량이라는 잠재변인으로 생성하여 자녀의 기질과 외현적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개인차가 왜 나타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효능감 간에 강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김미정, 이경님, 2011; Coleman, & Karraker, 1998; Leerkes, & Crockenberg, 2002; Woods, 2011).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특정상황에서 개인이 자신의 유능성에 대해 내리는 판단, 특정 행동의 수행에 대한 개인의 기대 또는 신념(Bandura, 1997)이다.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어머니 자기효능감은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산후관리 자기효능감 등과 같이 부모역할과 관련된 효능감으로 세분화하여 연구되거나 자녀를 바람직하게 양육하는 능력에 대한 부모 자신의 신념인 양육효능감으로 주로 연구되어왔다.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은 양육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관련연구들은 어머니 개인마다 양육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은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자기효능감의 개인차에 의한 결과(이상균, 유조안, 2015; 최형성, 2005)로 설명하고 있다. 높은 자기효능감은 자녀의 신호를 잘 이해하고 긍정적이며 반응적이고 온정적 양육행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반면 낮은 자기효능감은 통제적이고 강압적인 양육행동, 수동적인 부모역할에 대한 대처 등과 관련이 있다(김미정, 이경님, 2011; 최형성, 2005). 즉, 어머니 자신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뢰와 자신감을 가지고 있을 경우 자녀양육 상황에서 부딪치는 다양한 문제들에 능동적으로 대처해나갈 수 있어 자녀에게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Sanders & Woolley, 2005).
Buss와 Plomin(1984)가 제안한 유아 기질의 세 가지 구성요소는? 부모와 자녀의 행동 특성은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자녀 간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신나나 등, 2015; Thomas, Chess, & Birch, 1984) 부모-자녀관계의 양방향적 특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는 방식은 학자마다 다르지만 Buss와 Plomin(1984)은 정서성기질 , 활동성기질 , 사회성기질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제안하였고, 그 중에서도 유아의 정서성기질은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화가 났을 때 격하게 반응하는 등 일반적으로 부정적 정서를 많이 나타내는 정도로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타고난 성향인 유아의 기질은 특히 어머니의 지각이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Lengua, & Kovacs, 2004; Miner & Clarke-Stewart, 2008)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상진 (2014). 영유아 행동의 성장곡선 추정에 미치는 측정의 오차영향: 잠재특성모형과 관찰점수 모형의 비교(pp21-56). 한국아동패널2014 심층분석연구(최윤경 편).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권신영, 서영숙 (2014).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관계에서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01-115. 

  3.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5. 김수정, 곽금주 (2013). 3세부터 7세까지 어머니의 애정/온정적 양육태도의 변화가 아동의 학교 적응에 주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19. 

  6. 남궁령 (2014).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31-157. 

  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문영경, 민현숙 (2012).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59-70. 

  9. 박수홍,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홍광표 (2013). 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 31(2), 157-178. 

  10. 성정원, 박성연 (2011).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자녀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2), 123-145. 

  11. 신나나, 박보경, 김소영, 도현심 (2015). 모-자녀간 상호작용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순응/불순응 행동간의 상호적 관계: 단기종단연구. 아동학회지, 36(5), 75-94. 

  12. 신나리, 안재진 (2014).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간의 인과적 종단 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5(5), 135-154. 

  13.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매뉴얼 개정판. 서울: 휴노컨설팅. 

  14. 육아정책연구소 (2009). 한국아동패널 2009 (2차년도) 도구프로파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육아정책연구소 (2013). 한국아동패널 2013 사업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원영미, 박혜원, 이귀옥 (2004).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연변 조선족과 한국 유아의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331-334. 

  17. 이상균, 유조안 (2015). 빈곤관련 가족환경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과 아동 문제행동간의 관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실천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48(6), 29-57. 

  18. 이정숙, 문보경 (2010). 유아의 기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55-74. 

  19. 임현주 (2014). 유아의 성별,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5-27. 

  20. 임현주 (2015).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5(2), 97-115. 

  21. 장혜진, 이정림, 윤은주, 김해인 (2013).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전은주 (2015).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유형, 양육효능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9(4), 391-412. 

  23.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24. 최미나 (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25. 최형성 (2005). 양육효능감의 매개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모형. 아동학회지, 26(6), 351-365. 

  2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 man & Company. 

  27.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28. Berdan, L. E., Keane, S. P., & Calkins, S. D. (2008). Temperament and externalizing behavior: Social preference and perceived acceptance as protective factors. Development Psychology, 44(4), 957-968. 

  29.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30. Campbell, S. B. (2002).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NY: The Guilford Press. 

  31.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32.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33. Eisenberg, N., Sadovsky, A., Spinrad, T. L., Fabes, R. A., Losoya, S. H., Valiente, C., Reiser, M., Cumberland, A., & Shepard, S. A. (2005). The Relations of problem behavior statu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effortful control, and impulsivity: Concurrent relations and prediction of change. Developmental Psychology, 41(1), 93-211. 

  34. Fox, L., Dunlap, G., & Powell, D. (2002).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 Issues and considerations for behavior support.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4, 208-217. 

  35. Gilliom, M., & Shaw, D. S. (2004). Codevelopment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2), 313-333. 

  36. Gilmore, L. A., & Cuskelly, M. (2008). Factor structure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using a normative sample.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8(1), 48-55. 

  37. Halverson, C. F., & Deal, J. E. (2001). Temperamental change, parenting, and the family context. In T. D. Wachs, & G. A. Kohnstamm (Eds.), Temperament in context (pp. 61-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38. Kuhn, J. C., & Carter, A. S. (2006). Maternal self-efficacy and associated parenting cognitions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564-575. 

  39. Leerkes, E. M., & Crockenberg, S. C. (2002). The development of maternal self-efficacy and its impact on maternal behavior. Infancy, 3(2), 227-247. 

  40. Lengua, L. J., & Kovacs. E. A. (2004). Bidir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parenting and the prediction of adjustment problems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21-38. 

  41. Mathiesen, K. S., & Tambs, K. (1999).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3), 431-439. 

  42. Miner, J. L., & Clarke-Stewart, K. A. (2008).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behavior from age 2 to age 9: Relations with gender, temperament, ethnicity, parenting, and r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44(3), 771-786. 

  43. Reder, P., Duncan, S., & Lucey, C. (2003). Studies in the assessment of parenting. London: Routledge. 

  44. Rettew, D., Stanger, C., McKee, L., Doyle, A., & Hudziak, J. (2006).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parent temperamen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Comprehensive Psychiatry, 47, 412-420. 

  45. Roskam, I., & Meunier, J.C. (2012). The determinant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trajectories: The effects of parental and child time-varying and time-invariant predi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6(3), 186-196. 

  46. Sanders, 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1(1), 65-73. 

  47.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48. Thomas, A., Chess, S., & Birch, H. G. (1984). Temperament and 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49. Walker, L. O., & Cheng, C. Y. (2007). Maternal empathy, self-confidence, and stress as antecedents of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2(2), 93-104. 

  50. Weavera, C. M., Shaw, D. S., Dishion, T. J., & Wilson, M. N. (2008). Parenting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t high risk for early conduct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1(4), 594-605. 

  51. Woods, K. (2011). Examining the effect of medical risk, parental stress, and self-efficacy on parent behaviors and home environment of prematur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Nebrask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