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양모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이 양육역량을 매개로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Adoptive Mother and Problem Behavior of Adopted Child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3, 2015년, pp.19 - 34  

안재진 (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변미희 (백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권지성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운선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adoptive mother on the problem behaviors of adopted childre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competency between them.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family background and adoption-related char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의 양적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된 공개입양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패널조사로 격년으로 조사를 실시하며1), 입양아동을 장기적으로 추적조사하여 그들의 발달수준을 측정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이하 입양아동종단연구)”의 4차년도 양적 조사 자료 중 초등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입양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이 부모의 양육역량을 매개로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 가운데 부모특성 변인들이 차지하는 설명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hn, Kwon, Byun, & Choi, 2009). 본 연구에서는 부모특성 변인들 중 아동의 문제행동에 주요한 영향요인들로 나타난 우울과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특징은 양육역량의 하위요인, 그리고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것은 동일한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의 양육역량 가운데 유연성은 설명력이 비교적 높은 수준(25.
  • 본 연구는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이하 입양아동종단연구)”의 4차년도 양적 조사 자료 중 초등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입양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이 부모의 양육역량을 매개로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특히 부모의 양육역량의 하위요인과 아동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각각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영향력의 구체적인 경로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가구소득과 모의 교육수준, 입양당시 연령과 입양유형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맥락변수들을 함께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양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양가정 내에서도 부모의 우울과 결혼만족도, 양육행동이 입양아동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입양부모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입양된 유아의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결혼 만족도는 인지발달의 하위요인에, 부모의 우울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Kwon, Byun, Ahn, & Choi, 2008). 또한 입양부모의 양육태도는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민주ㆍ자율적이고 애정ㆍ수용적인 양육태도보다는 권위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와 적대적이고 거부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Ahn et al., 2009).
비행청소년 부모의 역량에 대한 모형에서 부모의 효과적인 양육 행동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한편, 부모로서의 역할수행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은 많은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미 입증되어 왔다. Rose 등(2004)은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의 원인과 발달과정에 대한 Patterson, DeBaryshe와 Ramsey(1989)의 연구를 기반으로, 비행청소년 부모의 역량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이 모형에서는 부모의 효과적인 양육행동을 방해하는 요인들로 가족의 인구학적 특성(소득, 부모의 교육수준, 지역사회, 인종)과 가족 스트레스 요인(실직, 부모의 폭력, 부부갈등 및 이혼), 조부모 및 부모의 특성(반사회적 행동 및 스트레스에 대한 수용성 등)을 밝히고 있다. 즉, 이들 요인은 양육기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아동의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Rose et al.
우울증 부모를 둔 자녀들의 부적응행동을 어떻게 나누어 설명이 가능한가? 우울증 부모를 둔 자녀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Downey와 Coyne(1990)에 따르면, 우울증 부모를 둔 자녀들의 부적응행동은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 둘째는 우울한 개인의 양육행동, 그리고 마지막은 우울한 개인의 보다 광범위한 대인관계적 특성에 의한 것이다. 저자들은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고찰한 결과, 아동의 문제는 유전적인 요인으로만 설명할 수 없으며, 부모의 우울수준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덜 하도록 만들어 부모의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양육상의 어려움이 우울한 어머니들에게만 나타나는 특성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 J., Kwon, J. S., Byun, M. H., & Choi, W. S. (2009). The factors influencing problem behavior level of Korean adopt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9, 187-219. 

  2. Bae, S. W., & Shin, W. S. (2005). The factor structure of CES-D scale(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 An application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alth and Social Science, 18, 165-190. 

  3. Baron, M. B.,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 Barth, R., & Berry, M. (1988). Adoption and disruption: Rates, risks, and responses. New York: Aldine de Gruyter. 

  5. Brodzinsky, D. M. (1993). Long-term outcomes in adoption. The Future of Children, 3(1), 153-166. 

  6. Brodzinsky, D. M., Hitt, J. C., & Smith, D. W. (1993). Impact of parental separation and divorce on adopted and nonadopt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3, 451-461. 

  7. Brodzinsky, D. M., Radice, C., Huffman, L., & Merkler, K. (1987).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symtomatology in a nonclinical sample of adopted and nonadopted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6, 350-356. 

  8. Brodzinsky, D. M., Schechter, D. E., Braff, A. M., & Singer, L. M. (1984). Psychological and academic adjustment in adopted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582-590. 

  9. Brodzinsky, D. M., Smith, D. W., & Brodzinsky, A. B. (1998). Children's adjustment to adop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0. Byun, M. H., Choi, W. S., Ahn, J. J., & Kwon, J. S. (2012).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Results of the fourth wave survey in 2012. Seoul: Korea Adoption Services. 

  11. Choi, W. S., Ahn, J. J., Byun, M. H., & Kwon, J. S.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dopted children II: Focusing on the sociality and behavior problem of the adopt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2(4), 473-502. 

  12. Choi, W. S., Byun, M. H., Ahn, J. J., & Kwon, J. S. (2010).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Results of the third wave survey in 2010. Gwachoen: MPAK. 

  13.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14.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1), 50-76. 

  15. Ha, T. J., & Kang, H. A. (2012). The effects of poverty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 Testing mediating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parental depressi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0, 139-166. 

  16. Harnish, J. D., Dodge, K. A., Valente, E., & Conduct Problems Prevention Research Group. (1995). Mother-child interaction quality 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ol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socioeconomic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hild behavior problem. Child Development, 66, 739-753. 

  17. Kang, S. J.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s social emotion: Centering on the pathways of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conflict. Journal of Social Sciences, 26(1), 113-147. 

  18. Kim, Y. A., Kim, E. J., Kim, Y. J., & Lee, S. M. (2010). Manual for Parenting Competency Inventory(PCI). Seoul: Huno Consulting. 

  19.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012 Adoption statistics,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21(2015, May, 17). 

  20. Kwon, J. S., Byun, M. H., Ahn, J. J., & Choi, W. S. (2008).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Results of the second wave survey in 2008. Gwachoen: MPAK. 

  21. Lee, S. G. (2007). Mediation effects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view, 12, 19-36. 

  22. Lindholm, B. W., & Touliatos, J. (1980).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pted and nonadopted children. Psychological Report, 46, 307-310. 

  23. Moon, K. J., & Oh, K. J. (1995).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maladjustment: Observ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depress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4(1), 41-55. 

  24. Oh, K. J., Lee, H. R., Hong, K. E., & Ha, E. H. (1997).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Manual. Seoul: Chung-ang Aptitude Research Center. 

  25. Patterson, G. R., DeBaryshe, B., & Ramsey, E. (1989).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44, 329-335. 

  26. Rose, C. C., Blaser, B. A., Galhoun, G. B., & Bates, J. M. (2004). Assessing the parents of juvenile offenders: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f the juvenile offender parent questionnaire.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6(1), 25-43. 

  27. Rosenthal, J. A. (1993). Outcomes of adop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Future of Children 3, 77-88. 

  28. Sharma, A. R., McGue, M. K., & Benson, P. L. (1996).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of United States adopted adolescent. part 2: Age at Placement.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8, 83-100. 

  29. Shin, H. W., Chung, I. J., Min, S. H., & Kwon, J. S. (201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improve parent-child attachment in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2), 85-95. 

  30. Shin, S. J.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13, 133-153. 

  31. Zill, N. (1985). Behavior and learning problems among adopted children: Findings from a U. S. national survey of child health. Toronto: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