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ving and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tent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6, 2015년, pp.802 - 811  

김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최소은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validate a model to predict living and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tention in nursing students. The conceptual model was based on the theory planned behavior. Methods: Quota sampling methodology was used to recruit 921 nursing students from all 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계획행동이론 모형을 토대로 생존 시와 뇌사 시 기증유형별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관련요인과 장기기증 의도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검증함으로써 추후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교육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이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매개로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은 생존 시, 뇌사 시 모두 장기기증 태도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으며,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를 예측하고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추가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장기기증유형에 따라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장기기증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교육전략을 세우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 모형은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되며, 장기기증 유형별로 각각 모형을 구축하여 비교하였다는 점이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간호대학생에게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구축 연구이다.
  • 각각의 선행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을 구성하는 세 가지 변인 외에 행위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도덕적 규범, 자기 정체성[2,12,13,15], 커뮤니케이션[9-11], 종교적 규범, 신체적 통합성[14] 등을 추가하여 분석하였으나, 연구 결과의 일관성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장기기증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여러 선행 연구[7,16]들을 바탕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추가하여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력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또한 장기기증 지식과 태도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정도와 태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다[7]. 이처럼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가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와 기증 의도, 기증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추가하여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력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기기증에 관한 지식을 외생 변수로 설정하고,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장기기증 의도를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를 예측하고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추가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장기기증유형에 따라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수술은 어떻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수술은 1945년 각막이식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장기부전 환자의 보편적인 치료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1]. 우리나라는 2000년 2월부터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 법률에 따르면 장기기증의 유형은 생존 시 기증, 뇌사 시 기증, 사후 기증으로 구분되어 있고[2],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기증이 필요하며 본인이 직접 기증 등록을 신청해야 한다.
장기기증 유형은 어떻게 나뉘는가? 앞에서 언급했듯이 장기기증 유형은 생존 시, 뇌사 시, 사후 장기기증으로 세 가지가 있으나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의하면 2013년 전체 기증자 중 생존 시 장기기증자는 79.5%, 뇌사 시 장기기증자는 17.
뇌사 장기기증자가 실제 기증으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생존 시 장기기증은 기증자 자신의 선택이 중요하지만 뇌사 장기기증은 기증자가 등록을 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기증을 위해서는 가족의 동의가 꼭 필요하다. 특히, 뇌사 장기기증 증가를 위해서는 잠재 뇌사자를 조기에 파악하여 장기기증을 권유하고 기증으로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뇌사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생존 시 장기기증과 뇌사 시 장기기증은 기증절차가 다르므로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D.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eople's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3;12:96-135. 

  2. Cha DP. Factors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intentions to resister and discuss the decision of organ donation with their family in situations of living, brain death, and heart death: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vertising Research. 2010;87:7-40. 

  3.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Annual report of the transplant 2013 [Internet]. Seoul: Author; 2014 [cited 2015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s://www.konos.go.kr/konosis/common/bizlogic.jsp. 

  4. You HR.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garding brain dead organ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gkwan University; 2004. 

  5. Lee JA, Kim SY.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8;22(1):120-129. 

  6. Shon YH, Cho CM. Public's attitude to organ transplants and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2;9(2):279-287. 

  7. Kim M, Joo SJ, Choi JH, Kim KS, Yoo M, Kim HJ. Knowledge, attitude, and will for organ don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toward the brain death organ don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2;15(2):231-243. 

  8.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9. Kim HI, Cha H.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0;54(6):173-198. 

  10. Bresnahan M, Lee SY, Smith SW, Shearman S, Nebashi R, Park CY, et al.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study of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register as organ donors in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ealth Communication. 2007;21(3):201-211. http://dx.doi.org/10.1080/10410230701307436 

  11. Feeley TH. College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organ donation: An integr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7;37(2):243-271. http://dx.doi.org/10.1111/j.0021-9029.2007.00159.x 

  12. Hyde MK, White KM. To be a donor or not to be? Apply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9; 39(4):880-900. http://dx.doi.org/10.1111/j.1559-1816.2009.00464.x 

  13. Hyde MK, Knowles SR, White KM. Donating blood and organs: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perspective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ndividual motivations to donate. Health Education Research. 2013;28(6):1092-1104. http://dx.doi.org/10.1093/her/cyt078 

  14. Stephenson MT, Morgan SE, Roberts-Perez SD, Harrison T, Afifi W, Long SD. The role of religiosity, religious norms, subjective norms, and bodily integrity in signing an organ donor card. Health Communication. 2008;23(5):436-447. http://dx.doi.org/10.1080/10410230802342119 

  15. Hyde MK, White KM. Disclosing donation decisions: The role of organ donor prototypes in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ur.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9;24(6):1080-1092. http://dx.doi.org/10.1093/her/cyp028 

  16. Horton RL, Horton PJ. A model of willingness to become a potential organ donor.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1;33(9):1037-1051. 

  17. Siegel JT, Alvaro EM, Lac A, Crano WD, Dominick A. Intentions of becoming a living organ donor among Hispanics: A theory-based approach exploring differences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organ don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08;13(1):80-99. http://dx.doi.org/10.1080/10810730701807142 

  18. Kopfman JE, Smith SW. Understanding the audiences of a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 discriminant analysis of potential organ donors based on intent to donate.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1996;24(1):33-49. http://dx.doi.org/10.1080/00909889609365438 

  19. Morgan S, Miller J. Communicating about gifts of life: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s, and altruism on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organ donation.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2002;30(2):163-178. http://dx.doi.org/10.1080/00909880216580 

  20. Bae HS, Kang S. The influence of viewing an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 on cornea donation intentio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008;23(1):87-95. http://dx.doi.org/10.1080/10410230701808038 

  21. Morgan S, Miller J, Arasaratnam L. Signing cards, saving lives: An evaluation of the worksite organ donation promotion project. Communication Monographs. 2002;69(3):253-273. http://dx.doi.org/10.1080/03637750216540 

  22. Mitchell RJ. Path analysis: Pollination. In: Scheiner SM, Gurevitch J, editors. Design and analysis of ecological experiments. 2n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p. 211-231. 

  23. Ajzen I. TPB questionnaire construction: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01 [cited 2013 July 30]. Available from: http://people.umass.edu/aizen/pdf/tpb.measurement.pdf. 

  24. Kim YH.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ivil servants at city, county, ward offices and health centers engaged i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upo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25. Giles M, McClenahan C, Cairns E, Mallet J.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blood donation: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4;19(4):380-391. http://dx.doi.org/10.1093/her/cyg063 

  26. Bae HS. A prediction model for the effects of emotion and issue involvement on entertainment-education viewers' intention to register as cornea donors. Journal of Broadcasting Research. 2006; 62:273-301. 

  27. Radecki CM, Jaccard J. Psychological aspects of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of individual and next-of-kin donation decisions. Health Psychology. 1997;16(2):183-195. 

  28. Sander SL, Miller BK. Public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organ and tissue donation: An analysis of the northwest Ohio communit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5;58(2):154-163. http://dx.doi.org/10.1016/j.pec.2004.08.003 

  29. Brug J, van Vugt M, van den Borne B, Brouwers A, van Hooff H. Predictors of willingness to register as an organ donor among dutch adolescents. Psychology & Health. 2000;15(3):357-368. http://dx.doi.org/10.1080/08870440008401998 

  30. Browne C, Desmond DM. Intention to consent to living organ donation: An exploratory study.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08;13(5):605-609. http://dx.doi.org/10.1080/13548500701842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