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Fa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6, 2015년, pp.890 - 899  

김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fa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and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s and children and their posttraumatic growth an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녀의 질병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심리 상태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고통과 성장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심리상태에 대해 이해하고,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아버지의 성장을 도모하는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개인이 몸담고 있는 사회, 문화, 집단을 의미하는 사회문화적 요소의한 측면인 사회적 지지는 선행 연구에서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 모형[2]의 주요 개념을 바탕으로 외상 사건 전의 개인적 특성인 낙관성, 외상 사건에 대한 충격을 의미하는 핵심신념 붕괴, 인지적 과정인 의도적 반추, 사회문화적 요소인 사회적 지지를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부정적인 측면인 고통에 대해 알아보고, 역경의 여파로 인하여 이전의 수준을 넘어선 긍정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외상 후 성장[8]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외상 후 성장 모형[2]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고통과 성장정도, 그리고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아버지의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한 결과, 문항별 평균은 3.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고통과 외상 후 성장의 정도 및 관련 요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외상 후 성장 관련 추후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되며 간호 이론 개발과 이론의 확대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고통과 외상 후 성장 정도 및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고통과 외상 후 성장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진단 시 아버지의 고통은 높은 편이었으며 시간이 지나도 고통은 해소되지 않고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 따라서, 대상자가 의도적 반추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돕고, 영적인 측면에 관심을 갖고 영적간호를 제공하며, 개인의 강점인 낙관성이 유지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심리상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아버지의 심리적 성장을 도모하는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고통과 외상 후 성장 정도를 알아보고, 아버지와 환아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유아기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아버지는 갈등과 어려움을 겪지만 긍정적 변화를 겪는다고 하였고, 이는 의료진의 태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듯이[7] 간호사는 자녀의 질병으로 인한 아버지의 심리 상태를 균형잡힌 시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이를 위해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부정적인 측면인 고통에 대해 알아보고, 역경의 여파로 인하여 이전의 수준을 넘어선 긍정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외상 후 성장[8]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외상 후 성장 모형[2]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의 부양자 역할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이는 주 양육자가 어머니인 경우가 대다수이고, 아동의 질환관리에 많은 책임을 담당해왔기 때문이다[1]. 한국사회는 가부장적인 문화가 남아 있어 아버지는 주로 경제적으로 가족을 부양하는 역할을 하고 어머니가 환아를 돌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는 남성의 단독생계 부양자 역할이 감소하고 여성들의 유급 노동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4]. 또한 이혼율의 증가로 가족의 안정성이 위협받게 되면서 ‘돌보미’로서의 아버지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4].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에게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은 질병 자체로 인하여 신체적 제한을 받게 되며, 치료 및 검사와 관련된 통증과 공포감, 반복된 입원으로 인한 중요한 타인과의 분리, 사회적 고립, 의존성, 그리고 죽음에 대한 염려 등을 경험할 뿐 아니라 가족 내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1]. 이와 같이 아동의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아동과 가족 모두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지금까지는 고통과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아동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 사건의 긍정적인 변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하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 사건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만이 아니라 긍정적인 변화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에는 자녀의 간병이라는 부부의 공통적 관심사와 역할로 인해 높아진 가족 결속력, 부모의 수용, 공감, 감사, 긍정적인 자기상의 정립, 삶의 우선순위 재정립[3]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KJ, Kwon MK, Bang KS. Parent-child health and nursing. Seoul: Hyunmoon; 2010. 

  2. Calhoun LG, Tedeschi RG.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Calhoun LG, Tedeschi RG,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Erlbaum; 2006. p.3-23. 

  3. Kim Y, Schulz R, Carver CS. Benefit-finding in the cancer caregiving experience. Psychosomatic Medicine. 2007;69(3):283-291. http://dx.doi.org/10.1097/PSY.0b013e3180417cf4 

  4. Cho YK.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fathering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2014;2(1):83-112. http://dx.doi.org/10.14729/converging.k.2014.2.1.83 

  5. Dashiff C, Morrison S, Rowe J. Fath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What do we know?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8;23(2):101-119. http://dx.doi.org/10.1016/j.pedn.2007.08.007 

  6. Kim J, Yun HJ. A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2013;12(3): 333-356. 

  7. Hwang EJ. Experience of father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flicts, difficulties and positive changes [master's thesis].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14. 

  8.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9. Linley PA, Joseph S.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4;17(1):11-21. http://dx.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10. Antoni MH, Lehman JM, Kilbourn KM, Boyers AE, Culver JL, Alferi SM, et al.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decrease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enhances benefit finding among women under treatment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01;20(1):20-32. http://dx.doi.org/10.1037/0278-6133.20.1.20 

  11.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Kilmer RP, Gil-Rivas V, Vishnevsky T, et al. The core beliefs inventory: A brief measure of disruption in the assumptive world. Anxiety Stress and Coping. 2010;23(1):19-34. http://dx.doi.org/10.1080/10615800802573013 

  12. Thornton AA, Perez MA. Posttraumatic growth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Psycho-Oncology. 2006;15(4):285-296. http://dx.doi.org/10.1002/pon.953 

  13. Hungerbuehler I, Vollrath ME, Landolt MA.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severe illnes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1;16(8):1259-1267. http://dx.doi.org/10.1177/1359105311405872 

  1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5.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16. Scheier MF, Carver CS, Bridges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4;67(6):1063-1078. http://dx.doi.org/10.1037/0022-3514.67.6.1063 

  17. Shin H.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in the relation of optimism and pessimism to psychological adjustment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5;12(3):165-192. 

  18. Jo SM. The causal relationship of cognitive factor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youth's posttraumatic growth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2. 

  19.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Triplett KN, Vishnevsky T, Lindstrom CM.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and Coping. 2011;24(2):137-156. http://dx.doi.org/10.1080/10615806.2010.529901 

  20. Ahn HN, Joo HS, Min JW, Sim KS. Validation of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a Korean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3;13(1):149-172. 

  21.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2.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99;37:241-269. 

  23. Polatinsky S, Esprey Y. An assessment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enefit resulting from the loss of a child.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0;13(4):709-718. http://dx.doi.org/10.1023/a:1007870419116 

  24. Vishnevsky T,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Demakis GJ. Gender differences in self-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10;34(1):110-120. http://dx.doi.org/10.1111/j.1471-6402.2009.01546.x 

  25. Yi GO, Han SH, Park HJ. Changes and growth amo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rearing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0;26(4):137-163. 

  26. Bonner MJ, Hardy KK, Willard VW, Hutchinson KC. Brief report: Psychosocial functioning of fathers as primary caregivers of pediatric oncology patien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07;32 (7):851-856. http://dx.doi.org/10.1093/jpepsy/jsm011 

  27. Davies B, Gudmundsdottir M, Worden B, Orloff S, Sumner L, Brenner P. "Living in the dragon's shadow" fathers' experiences of a child's life-limiting illness. Death Studies. 2004;28(2):111-135. http://dx.doi.org/10.1080/07481180490254501 

  28. Shin SY, Chung NW.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2;33(2):217-235. 

  29. Park H, Ahn H.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pirituality, and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7(1):201-214. 

  30. Yoo YS, Cho OH, Cha KS, Boo YJ.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in Korean forensic science investigator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36-141.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