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울(虛鬱) 기반 미병 평가도구 개발 및 예비타당성 검증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Mibyeong Questionnaire(MQ) Based on Deficiency-Stagnation pattern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9 no.3, 2015년, pp.11 - 19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유종향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preliminary validate the Mibyeong Questionnaire (MQ) based on Deficiency-Stagnation pattern, which was report of a person's health condition that comes directly from the person. Method : The first phage of developing a MQ was to generate and exhaustive 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병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대상자의 주관적인 느낌을 반영하는 PRO기반, 허울 중심의 미병 평가도구(Mibyeong Questionnaire, MQ)의 초안을 개발하고, 본 조사 이전에 기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여 허증(虛證) 중심 미병 평가도구의 예비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RO기반 허울 중심 미병 특이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병 평가도구의 개념설정 및 설문문항의 초안을 소개하고, 예비 타당성 검증을 통해 도구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개발된 미병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규모의 본 조사 이전에 한국한의학연구원의 한의임상정보은행(Korean medicine data center)에 기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문 도구의 예비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미병 평가도구의 개념 설정 및 문항 구성으로 초안을 소개하고, 허증 중심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시행하여 미병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 본 연구는 허증과 울증을 기반으로 미병 평가도구의 개념을 정립하고 연관되는 문항으로 설문초안을 구성하였으며, 설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한 자료 수집 이전에 기 구축된 자료를 통해 예비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미병 평가도구는 총 3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허증 21문항, 울증 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허증 문항이 울증에 비해 문항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비율이 맞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설명하라 건강에 대한 개념은 각 시대의 건강문제와 보건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과거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인 협의의 개념이었으나 최근에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삶의 질 등의 개념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1) . 또한 현대의 건강은 질병과 별개로 구분하기보다는 건강-질병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연속선 상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2) , 이로 인해 나타나는 건강과 질병의 중간지역을 반건강, 아건강 3) , grey zone 4) 이라고 표현한다. 이처럼 건강의 패러다임 변화로 의료서비스의 개입 시기는 점차 건강 쪽으로 이동하며, 예방관리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의학에서 미병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한의학에서의 미병(未病)은 ‘병은 아니지만 이상증상과 회복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상태’로 정의된다 5) . 즉,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피로, 수면장애, 통증 등 이상증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질병 상태로 발병할 위험성이 높지만, 잘 관리하면 건강상태로 환원될 수 있다.
환자 입장에서 치료 효과의 의미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PRO를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자보고 성과 또는 환자보고 결과인 PRO는 의료진의 평가가 아닌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 상태나 치료 효과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건강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10) , PRO기반 평가도구는 의료진 중심의 평가가 아닌 환자 입장에서 치료 효과의 의미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PRO를 활용하는 이유는 의료진의 임상적 평가와 환자가 느끼는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데 견해의 차이가 있으며 11),12) , 최근에 만성질환의 증가로 질병이나 증상의 개선뿐만 아니라 환자의 느끼는 만족도나 삶의 질 개선을 고려한 치료 목표 설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10) . 또한 PRO 기반 평가도구는 환자와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reenfield S, Nelson EC.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issues in the use of health status assessment measures in clinical settings. Medical care. 1992;30(5):MS23-MS41. 

  2. Sharon Elayne Fair. Wellness and Physical Therapy.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0. 

  3. Yan YX, Liu YQ, Li M,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suboptimal health status in urban Chinese. Journal of epidemiology/Japan Epidemiological Association. 2009;19(6):333-41. 

  4. Alan Blum. The Grey Zone of Health and Illness. Intellect. 2010. 

  5. Lee J, Kim SH, Lee Y, Song S, Kim Y, Lee S.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3;5(6):514-8. 

  6. Choi DC. Development of a Human Biomonitoring Empiric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Value Evaluation of Organic Food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oculture. 2013;21(4):569-588. 

  7. Yutaka I, Kim YY, Cho TD. Verification of lavender(Lavandula angustifolia cv.Hidcote) and lawn(Zoysia japonica Steud.)'s Curative Effect, as a Green Space Composition Factor-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2;21(12):1487-1494. 

  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KIOM). Development of diagnostic guide of Mibyeong in Integrated medicine. Daejeon:KIOM. 2013. 

  9. Lee J, Dong SO, Lee Y, et al. Recogni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ibyeong (sub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 web-based survey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4;3(2):60-66. 

  10. Fayers Peter, David Machin. Quality of life: the assessmen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atient-reported outcomes. John Wiley & Sons, 2013. 

  11. Testa MA, Donald CS. Assessment of quality-of-life outcom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6;334(13):835-840. 

  12. Walton MK, Powers JH, Hobart J, et al. Clinical Outcome Assessments: Conceptual Foundation-Report of the ISPOR Clinician Reported Outcomes Good Measurement Practices Task Force. 2014. 

  13. Taenzer P, Bultz BD, Carlson LE, et al. Impact of computerized quality of life screening on physician behaviour and patient satisfaction in lung cancer outpatients. Psychooncology, 2000;9(3):203-213. 

  14. Ware JE,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ral fram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473-483. 

  15. EuroQol Group.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3):199-208. 

  16. Woo HJ, Kim SH, Lee SB, et al.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Differentiation of qi-xu, xue-xu, yang-xu, yin-xu analysis. Korean J. Orient. Int. Med. 2008;29(4):856-870. 

  17. Moon JS, Park KM, Choi SM.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Software for Health Examination in Oriental Medicine. Korea J. of Oriental Medicine. 2007;13(2):135-142. 

  18. Kim JH, Ku BC, Kim JE, Kim YS, Kim KH.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i Blood Yin Yang Deficiency Questionnaire'. Korea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28(3):346-354. 

  19. Rhy HH, Lee HJ, Jang ES, Lee SW, LEe GS, Kim JY. Study on Deficiency-Excess Pattern Questionnaire Development Possibility. Korea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3):534-539. 

  20.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2009;12(8): 1187-1193. 

  21. Rosenthal R, Rosnow RL, Essentials of behaviou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New York:McGraw Hill. 1991. 

  22. Brook RH, Ware JE, Davies-Avery A, Stewart AL, Donald CA, Rogers WH, et al. Overview of adult health status measures fielded in Rand's Health Insurance Study. Medical Care, 1979;i-131. 

  23. Ware JE Jr, Dewey J. Health status and outcome assessment tools. Int Electronic J Health Education. 2000;3:138-148. 

  24.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ance for industry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use in medical product development to support labeling claims. Fed Regist. 2009;74(235):65132-6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