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섬망의 운동성 아형 간의 증상과 임상적 특징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의뢰된 환자 중 일반신체질환에 의한 섬망으로 진단된 2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운동성 아형은 Lipowski의 분류 체계에 따라 과활동형, 저활동형 및 혼재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섬망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증상을 평가하였다. 결 과 과활동형이 130명(50.8%), 혼재형은 118명(46.1%), 저활동형은 118명(3.1%)이었다. 과활동형은 평균연령이 혼재형 환자보다 적었으며(p=0.022), 섬망을 치료하기 위해 항정신병 약물을 더 자주 사용하였다(p<0.001). 과활동형은 인지적 및 비인지적 증상 점수가 타 아형에 비해 높았다(각각 p=0.002, p<0.001). 결 론 섬망의 운동성 아형에 따라 증상 및 임상적 특징에서 차이가 있었다. 운동성 아형에 따라 진단 및 치료적 접근 방법을 달리하여, 특정 아형의 섬망 진단이 간과되거나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investigate clinical and symptomatic differences among motoric subtypes of delirium. Methods : A total of 256 patients referred to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s for delirium due to general medical condition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Motoric subtypes were determined accor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섬망에서 운동성 아형의 임상적 특징과 증상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과활동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혼재형, 저활동형 순이었다.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정신건강의학과에 자문의뢰된 입원환자들을 대상으로 섬망의 운동성 아형간의 임상적 특성과 증상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운동성 아형 중 과활동 형이 50.
  • 13) 또한 인종, 문화적 차이, 의료환경에 따라 국외 연구결과와는 다른 특징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국내에서 섬망의 운동성 아형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섬망의 운동성 아형간의 임상적 특징과 증상적 차이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섬망은 전신상태에 따라 주의력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기능 및 고위피질기능의 급성 장애를 보이며 시간에 따른 증상의 기복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이다.1,2) 연구대상과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섬망은 입원환자의 11~42%에서 나타 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3) 사망률의 증가, 입원기간의 연장, 기능의 저하, 요양시설 입소 등 불량한 예후의 예측인자로 알려져 있다.
섬망의 아형분류 연구 중 특히 가장 많은 연구는? 섬망은 주로 인지기능의 장애를 핵심증상으로 하고 있으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고 있으며, 증상 특성에 따라 아형으로 분류하려는 시도가 있다. 특히 정신운동장애(psycho-motor disturbance) 증상을 기준으로 한 아형분류 연구가 가 장 많다.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두 가지 섬망의 양상인 무기력, 졸리움을 특징으로 하는 레타구스(lethargus), 초조, 흥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나이티스(phrenitis)가 있다고 기술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Lipowski가 처음으로 섬망을 저활동형(hypoactive subtype)과 과활동형(hyper-active subtype)으로 분류하였고,5) 여기에 나중에 혼재형 (mixed subtype)을 추가하여 섬망을 3가지의 아형으로 분류 하였다.
DEC의 구성은? 섬망의 원인은 Delirium Etiology Checklist(DEC)로 평가하였다. DEC는 약물중독, 약물금단, 대사내분비장애, 외상 성뇌손상, 경련, 두개강내감염, 전신감염, 두개강내종양, 전신 종양, 뇌혈관질환, 장기기능부전, 기타 중추신경계병변 및 기타 전신적 원인의 총 12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잠재적인 다중 원인의 존재를 평가하고 현재의 내과적 상태 중에서도 특히 섬망에 기인한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22,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ask Force on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5 Task Forc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3. Siddiqi N, House AO, Holmes JD. Occurrence and outcome of delirium in medical in-pati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ge Ageing 2006;35:350-364. 

  4. Zhang Z, Pan L, Ni H. Impact of delirium on clinical outcome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meta-analysis. Gen Hosp Psychiatry 2013;35:105-111. 

  5. Lipowski ZJ. Transient cognitive disorders(delirium, acute confusional states) in the elderly. Am J Psychiatry 1983;140:1426-1436. 

  6. Lipowski ZJ. Delirium in the elderly patient. N Engl J Med 1989;320:578-582. 

  7. Liptzin B, Levkoff SE. An empirical study of delirium subtypes. Br J Psychiatry 1992;161:843-845. 

  8. O'Keeffe ST, Lavan JN. Clinical significance of delirium subtypes in older people. Age Ageing 1999;28:115-119. 

  9. Meagher DJ, Moran M, Raju B, Gibbons D, Donnelly S, Saunders J, Trzepacz PT. Motor symptoms in 100 patients with delirium versus control subjects: comparison of subtyping methods. Psychosomatics 2008;49:300-308. 

  10. Lee Y, Lee B, Park J. Clinical implications of delirium subtyp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9;48:123-129. 

  11. Camus V, Gonthier R, Dubos G, Schwed P, Simeone I. Etiologic and outcome profiles in hypoactive and hyperactive subtypes of delirium.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00;13:38-42. 

  12. de Rooij SE, van Munster BC, Korevaar JC, Casteelen G, Schuurmans MJ, van der Mast RC, Levi M. Delirium subtype identification and the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Dutch version)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t J Geriatr Psychiatry 2006;21:876-882. 

  13. Grover S, Sharma A, Aggarwal M, Mattoo SK, Chakrabarti S, Malhotra S, Avasthi A, Kulhara P, Basu D. Comparison of symptoms of delirium across various motoric subtypes. Psychiatry Clin Neurosci 2014;68:283-291. 

  14. Leonard M, Donnelly S, Conroy M, Trzepacz P, Meagher DJ. Phenomenological and neuropsychological profile across motor variants of delirium in a palliative-care unit.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11;23:180-188. 

  15. Meagher DJ, Leonard M, Donnelly S, Conroy M, Adamis D, Trzepacz PT. A longitudinal study of motor subtypes in delirium: relationship with other phenomenology, etiology, medication exposure and prognosis. J Psychosom Res 2011;71:395-403. 

  16. Meagher DJ, O'Hanlon D, O'Mahony E, Casey PR, Trzepacz PT.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nd motoric subtype of delirium.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00;12:51-56. 

  17. Ross CA, Peyser CE, Shapiro I, Folstein MF. Delirium: phenomenologic and etiologic subtypes. Int Psychogeriatr 1991;3: 135-147. 

  18. Grover S, Sharma A, Kate N, Mattoo SK, Basu D, Chakrabarti S, Malhotra S, Avasthi A. Symptom profile and outcome of delirium associated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 study from India.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013; 22:503-509. 

  19. Meagher D. Motor subtypes of delirium: past, present and future. Int Rev Psychiatry 2009;21:59-73. 

  20. Knaus WA, Draper EA, Wagner DP, Zimmerman JE.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ical care medicine 1985;13:818-829. 

  21. Hall WH, Ramachandran R, Narayan S, Jani AB, Vijayakumar S. An electronic application for rapidly calculating Charlson comorbidity score. BMC Cancer 2004;4:94. 

  22. Hales RE.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2008. 

  23. Meagher DJ, Moran M, Raju B, Gibbons D, Donnelly S, Saunders J, Trzepacz PT. Phenomenology of delirium Assessment of 100 adult cases using standardised measur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7;190:135-141. 

  24. Trzepacz PT, Mittal D, Torres R, Kanary K, Norton J, Jimerson N.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Comparison With the Delirium Rating Scale and the Cognitive Test for Delirium.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01;13:229-242. 

  25. Lee Y, Ryu J, Lee J, Kim H-J, Shin IH, Kim J-L, Trzepacz PT. Korean vers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iatry Investigation 2011;8:30-38. 

  26. Kim C, Jon D, Hong H, Jung M, Park J, Hong N. The risk factors of delirium in orthopedic elderly patients.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14;18:39-43. 

  27. Yu K, Lee T, Suh Y, Chung S, Kim E, Kim H, Park M, Kim K, Kim C. Delirium in acute elderly care unit;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J Korean Geriatr So 2005;9:182-189. 

  28. Olofsson SM, Weitzner MA, Valentine AD, Baile WF, Meyers CA.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psychiatric management and outcome of delirium in the cancer patient. Support Care Cancer 1996;4:351-357. 

  29. Peterson JF, Pun BT, Dittus RS, Thomason JW, Jackson JC, Shintani AK, Ely EW. Delirium and its motoric subtypes: a study of 614 critically ill patients. J Am Geriatr Soc 2006;54:479-484. 

  30. Breitbart W, Tremblay A, Gibson C. An open trial of olanzapine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Psychosomatics 2002;43:175-182. 

  31. Inouye SK. Delirium in older persons. N Engl J Med 2006;354: 1157-1165. 

  32. Trzepacz PT, Dew MA. Further analyses of the Delirium Rating Scale. Gen Hosp Psychiatry 1995;17:75-79. 

  33. Meagher D, Moran M, Raju B, Leonard M, Donnelly S, Saunders J, Trzepacz P. A new data-based motor subtype schema for delirium.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8;20:185-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