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 수준과 우울, 삶의 질, 수면장애 및 생리적 지수와의 관련성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leep Disturbance,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in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6, 2015년, pp.718 - 727  

박영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sleep disturbance,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patients underg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09±9.33, 최소한의 활동군에서는 16.1논 의 본 연구는 국내 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적인 신체활동량을 파 악하여 이들의 주요 문제점인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수면장 애 및 생리적 지수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상과 같이 다수의 선행연구들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 및 규칙적인 운동증가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그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보고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적인 신체활동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제신체활동량 설문지를 사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정량화하고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수면장애 및 생리적 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추후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의 증진을 위한 기초적 정보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대상자의 생리적 지수에서 혈중 요소, 질소, 크레아 티닌과 칼륨은 신체활동량의 증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증가되었고, 혈중 칼슘, 알부민과 혈색소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는데, 신체활동량의 증가로 생리적 지수의 개선을 가져올 만큼 본 연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과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수면장애 및 생리적 지수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 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F-12는 무엇인가? 75였다. 4) 건강 관련 삶의 질 삶의 질 측정도구인 SF-12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은 Ware과 Sherbourne [20]가 개발한 SF-36에서 12 개 문항을 추출한 것으로서, 8개 영역 12문항으로 구성되어있 어 짧은 시간에 응답자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측정하도록 개발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신체적 기능(physi이상과 같이 다수의 선행연구들에서 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 및 규칙적인 운동증가의 필요 성을 주장하며 그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보고는 없는 상태이다.
정기적인 혈액투석과 신체활동량 저하가 환자에게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질병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혈액투석 시행은 혈액 투석 환자에게 시간적 제약과 심리적 및 신체적 기능을 저하 시켜서 신체활동량의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장기적인 혈액투 석과 신체활동량의 저하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영양실조, 기능 적 장애, 치매, 암과 같은 다른 만성질환을 가지게 하며[2], 근 력과 보행능력을 감소시켜 근력 약화와 보행 장애로 이어지게 되는데[3], 혈액투석 환자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장애를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4]. 혈액투석 환자의 40.
SF-12도구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4) 건강 관련 삶의 질 삶의 질 측정도구인 SF-12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은 Ware과 Sherbourne [20]가 개발한 SF-36에서 12 개 문항을 추출한 것으로서, 8개 영역 12문항으로 구성되어있 어 짧은 시간에 응답자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측정하도록 개발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신체적 기능(physi이상과 같이 다수의 선행연구들에서 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 및 규칙적인 운동증가의 필요 성을 주장하며 그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보고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적 인 신체활동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제신체활동량 설문지를 사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정량화하고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수면장애 및 생리적 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Hemodialysis adequacy assessment (summary)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cited 2015 February 28].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main.do 

  2. Kurella S, Kimmel PL, Young BS, Chertow GM.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end-stage renal disease pr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07;16:774-81. http://dx.doi.org/10.1681/ASN.2004070550 

  3. Park KS, Choi SH, Park MJ. Comparison of muscle strength and gait ability between hemodialysis patients and healthy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82-91.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471 

  4. Fiaccadori E, Sabatino A, Schito F, Angella F, Malagoli M, Tuccic M, et al.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a single-center pilot study in an Italian dialysis facility. Kidney Blood Press Research. 2014;39:169-75. http://dx.doi.org/10.1159/000355793 

  5. Drayer RA, Piraino B, Reynolds CF, Houck PR, Mazumdar S, Bernardini J, et al.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symptoms, quality of life and mortality risk.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6;28:306-12.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06.03.008 

  6. Keskin G, Engin E.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oping strategies in haemodialysis patients with renal fail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1;20:2721-32.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669.x 

  7. Abdelwhab S, Kamel M, Noshey M. Sleep disorders in hemodialysis patients. Kidney. 2010;19(4):175-81. http://dx.doi.org/10.1007/s00596-010-0147-5 

  8. Izawa KP, Watanabe S, Oka K, Hiraki K, Morio Y, Kasahara Y, et al. Physical activity in relation to exercise capacity in chronic heart failur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1;152(1):152-3. http://dx.doi.org/10.1016/j.ijcard.2011.07.069 

  9. Ouzouni S, Grekas D, Deligiannis A. Effects of intradialytic exercise train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dices in haemodialysis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2009;23:53-63. http://dx.doi.org/10.1177/0269215508096760 

  10. Afshar R, Emany A, Saremi A, Shavandi N, Sanavi S. Effects of intradialytic aerobic training on sleep qu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Irani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11;5(2):119-23. 

  11. Makhlough A, Mohseni E, Shahmohammadi S. Effect of intradialytic aerobic exercise on serum electrolytes levels in hemodialysis patients. Irani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12;6(2):119-23. 

  12. Lima MC, Cicotoste CL, Cardoso KS, Junior LAF, Monteiro BM, Dias KS. Effect of exercise performed during hemodialysis: strength versus aerobic. Renal Failure. 2013;35(5):697-704. http://dx.doi.org/10.3109/0886022x.2013.780977 

  13. Lee HJ, Jin HK, Park JN, Chun KJ, Kim JH. Consistency in measuring physical activities and regular exercis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4):284-91.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4.284 

  14. Johansen KL, Sakkas GK, Doyle J, Shubert T, Dudley RA. Exercise counseling practice among nephrologists caring for patients on dialysi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2003;41(1):171-8. http://dx.doi.org/10.1053/ajkd.2003.50001 

  15. Curtin RB, Klag MJ, Bultman DC, Schatell D. Renal rehabilitation and improved patient outcomes in Texas dialysis facilitie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2002;40:331-8. http://dx.doi.org/10.1053/ajkd.2002.34517 

  16. Mohseni R, Zeydi AE, Ilali E, Adib-Hajbaghery M, Makhlough A. The effect of intradialytic aerobic exercise on dialysis efficacy in hemodialysis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man Medical Journal. 2013;28(5):345-9. http://dx.doi.org/10.5001/omj.2013.99 

  17. Oh JY, Yang YJ, Kim BS, Kang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n Family Medicine. 2007;28(7):532-41. 

  18.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97;1(3):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19.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0.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1992;30:473-83. http://dx.doi.org/10.1097/00005650-199206000-00002 

  21.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193-213. 

  22. Choi HJ, Kim SJ, Kim BJ, Kim IJ. Korean versions of self-reported sleep questionnaires for research and practice on sleep disturba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2;15(1):1-10. http://dx.doi.org/10.7587/kjrehn.2012.1 

  23. Lopes AA, Bragg J, Young B, Goodkin D, Mapes D, Combe C, et al.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among hemodialysis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Kidney International. 2002;62:199-207. http://dx.doi.org/10.1046/j.1523-1755.2002.00411.x 

  24. Lopes GB, Silva LF, Pinto GB, Catto LF, Martins MTS, Dutra MMD, et al. Patient's response to a simple question on recovery after hemodialysis session strongly associated with scores of comprehensive tools for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symptoms. Quality of Life Research. 2014;23:2247-56. http://dx.doi.org/10.1007/s11136-014-0666-z 

  25. Nabolsi MM, Wardam L, Al-Halabi JO. Quality of life, depression, adherence to treatment and illness perception of patients on haemodi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3;21:1-10. http://dx.doi.org/10.1111/ijn.12205 

  26. Park JH, Lee JJ, Lee SB, Huh YS, Choi AE, Youn JC, et al.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5:234-40. http://dx.doi.org/10.1016/j.jad.2010.02.109 

  27. Jo YJ, Shin YH. Depression, self care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indices of hemodialysis patients. Keo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1;15(1):115-22. 

  28. Windsor TD, Rodgers B, Butterworth P, Anstey KJ, Jorm AF. Measur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using the SF-12: implications for community surveys of mental healt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6;40:797-803. http://dx.doi.org/10.1080/j.1440-1614.2006.01886.x 

  29. Alshraifeen A, McCreaddie M, Evans JMM.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of people receiving haemodialysis treatment in Scotland: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3;20:518-23. http://dx.doi.org/10.1111/ijn.12194 

  30. Chavoshi F, Einollahi E, Haghighi KS, Saraei M, Izadianmehr N. Prevalence and sleep related disorders of restless leg syndrome in hemodialysis patients. Nephro-Urology Monthly. 2015;7(2):1-5. http://dx.doi.org/10.5812/numonthly.246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