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Degre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839 - 1846  

박혜영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최인덕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오세관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윤순덕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김현주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심은영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정석태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s-18이 92.3 g, 69.4 g, 63.8 g을 나타냈고, 흰찰쌀보리 그룹인 Hcs-6, Hcs-14, Hcs-20은 62.3 g, 42.2 g, 32.2 g을 나타내 도정률과 품종 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P<0.05), 주박함수율은 도정률 증가에 비례하였다. 한편 Ss-8, Sdj-8의 주박량은 19.0 g, 7.7 g으로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냈다. 원료 도정률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은 증가, 그 외 성분은 감소하였고, 그중 회분은 막걸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pH, 총산 함량, 아미노산도는 도정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정 정도를 달리하는 원료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과 함유된 영양성분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 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알코올 함량은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종 간 차이를 보였고 보리 막걸리는 $10.7{\sim}11.8^{\circ}Brix$, 14.07~15.07%로 쌀 막걸리 $12.0{\sim}12.2^{\circ}Brix$, 17.27~17.77%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도정에 따른 원료곡의 색 차이는 막걸리의 색도에도 영향을 주어 도정률 증가에 따라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발효와 관련한 유산균수는 Ss-4, Ss-12, Ss-18이 7.21, 6.99, 6.67 log CFU/mL였고, Hcs-6, Hcs-14, Hcs-20은 6.14, 5.39, 5.65 log CFU/mL로 도정률 증가에 따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효모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막걸리의 주요 품질로 현탁안정성이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여 도정률 조정으로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ivar and milling degree of barle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barley Makgeolli and rice Makgeolli. Saessal-bori groups (Ss-4, Ss-12, and Ss-18) showed dry lees contents of 92.3 g, 69.4 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도정된 새쌀보리와 흰찰쌀보리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막걸리 품질 특성을 살펴 품종이나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존 막걸리와의 원료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양조 적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설갱과 일반쌀인 신동진을 대조구로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 규정하는 주류 유형은?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 규정하는 주류에는 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소주, 위스키, 브랜디 등의 식품유형이 있으며 그중 막걸리가 포함되는 탁주는 전분질 원료와 국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 막걸리(Makgeolli, Korean rice wine)는 빠른 시간 안에 술을 제조하고 탄산에 의해 시원한 청량미를 주며 영양성분이 많아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인들에게 사랑받는 가장 한국적인 술로 함께 하였다(2).
탁주란?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 규정하는 주류에는 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소주, 위스키, 브랜디 등의 식품유형이 있으며 그중 막걸리가 포함되는 탁주는 전분질 원료와 국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 막걸리(Makgeolli, Korean rice wine)는 빠른 시간 안에 술을 제조하고 탄산에 의해 시원한 청량미를 주며 영양성분이 많아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인들에게 사랑받는 가장 한국적인 술로 함께 하였다(2).
보리의 영양성분 특징은? )는 벼목 화본과에 속하며 성숙 후 껍질의 종실 밀착 여부에 따라 겉보리와 쌀보리로 나뉜다. 영양성분은 쌀과 비교하여 당질이 77%로 다소 낮은 반면,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와 관련된 식이섬유는 밀가루의 5배, 쌀의 16배에 해당하고 한국인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과 철은 각각 8배, 5배 수준이다(16). 전분 특성을 달리하는 찰보리와 메보리는 가공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타 곡물에 비해 원곡 도정에 따라 영양소의 유실율도 적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5. Handbook on the food code.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69 (accessed Sep 2015). 

  2. Ryu IS. 2014. Textbook of Korea traditional alcoholic drink. 1st ed. Gyomunsa, Paju, Korea. p 140-153. 

  3. Woo KS, Lee JS, Ko JY, Song SB, Oh BG, Kang JR, Nam MH, Ryu I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98-303. 

  4. Woo KS, Ko JY, Song SB, Lee JS, Oh BG, Kang JR, Nam MH, Ryu IS, Jeong H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prepared by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ing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48-553. 

  5. Chen Y, Hwang JA,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red be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777-784. 

  6. Kim OS, Park SS, Sung JM.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93-1700. 

  7.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168-175. 

  8. Lee HS, Park YS, Bai D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rice wine) fermented with koji by starch types. Food Eng Prog 18: 215-221. 

  9. Cheon JE, Baik MY, Choi SW, Kim CN, Kim BY. 2013.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Korean J Food & Nutr 26: 29-34. 

  10. Im CY, Jeong ST, Choi HS, Choi JH, Yeo SH, Kang WW. 2012. Characteristics of Gammakgeolli added with processed forms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 159-166. 

  11.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12. Kim GW, Lee JH, Lee SA, Shim JY. 2012. Brewing characteristics of grape-makgeolli. Food Eng Prog 16: 263-269. 

  13.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14. Lee HN, Lee JM,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ranber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85-91. 

  15. Lee SA, Kim GW, Hwang ES, Shim JY. 2014.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aronia makgeolli. Food Eng Prog 18: 374-381. 

  16. Seog HM.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Food Culture 3: 302-305. 

  17. Kim HR, Lee AR, Kwon YH, Lee HJ, Jo SJ, Kim JH, Ahn BH.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81. 

  18. Lee Y, Yi H, Hwang KT, Kim DH, Kim HJ, Jung CM, Choi YH. 2012.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85-1791. 

  19. Chun A, Kim DJ, Yoon MR, Oh SK, Choi IS, Hong HC, Kim YG. 2012. Effect of milling degre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Sogo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6-142. 

  20.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1. Kim KA, Jeon ER.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ydration of rice on various polish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59-964. 

  22.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0. Coursebook on the preparation of Takju and Yakju.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Seoul, Korea. p 20-39. 

  23. So MH, Lee JW. 1996. Takju brewing by combined use of Rhizopus japonicus-nuruk and Aspergillus oryzae-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5: 157-162. 

  24. So MH, Lee YS, Noh W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427-432. 

  25. Kim SM, Cho WK. 2006. Effects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638-643. 

  26. Kwon SC, Jeon TW, Park JS, Kwak JS, Kim TY. 201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91-1196. 

  27. Seo GU, Choi SY, Kim TW, Ryu SG, Park JH, Lee SC. 2013. Functional activities of makgeolli by-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05-511. 

  28. Kim MS, Lee YS, Kim JS, Shin WC, Sohn HY. 2014.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lees of Korean traditional wine. J Life Sci 24: 865-872. 

  29. Lee S, Lee SJ, Kwon YY, Baek SH, Kim JS, Sohn HY, Shin WC. 2014.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695-1700. 

  30.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31. Oh SK, Kim DJ, Ryu SJ, Chun A, Yoon MR, Choi IS, Hong HC, Kim Y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Seolgaengbyeo for brewing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89-1194. 

  32. Eun JB, Jin TY, Wang MH. 2007. The effect of waxy glutinous rice degree of milling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6-551. 

  33. Batchelor GK. 1967.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 233. 

  34. Parsons SA, Judd SJ, Stephenson T, Udol S, Wang BL. 1997. Magnetically augmented water treatment. Process Saf Environ Prot 75: 98-104. 

  35. Paik SYR, Ryu JN, Ko SH.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lcium carbonate nano- and micro-powders. Food Eng Prog 16: 134-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