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지, 상황버섯 주정추출물의 항당뇨 효능
Anti-diabetic efficacy of the alcoholic extracts in Ganoderma sp. and Phellinus Baumi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3 no.4, 2015년, pp.326 - 329  

조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박혜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한재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강효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전창성 (월간버섯 J&K 버섯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지버섯과 상황버섯의 항당뇨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당뇨병에 negative regulator로 작용하는 PTP1B의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영지버섯과 상황버섯이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타액의 ${\alpha}-amylase$는 타액과 췌장내에서 탄수화물의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며 이 효소를 저해시킴으로서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alpha}-amylase$ 억제활성정도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양성대조구와 비슷한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상황버섯은 89%로 Acarbose와 같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alpha}-glucosidase$는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로 억제활성을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양성대조구와는 다르게 낮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두 가지 소화효소에 모두 억제활성을 보이는 기존제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ti-diabetic efficacy of alcoholic extracts in Ganoderma species and Phellinus Baumi. Ganoderma species and Phellinus Baumi. showed inhibitory activity of PTP1B, which acts as negative regulator of diabetes. The ${\alpha}-amylase$ is an important enzyme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당뇨 활성을 가지는 약용버섯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지만, 최근 당뇨병과 항산화 작용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 지면서 항산화 및 항당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Jeong 등, 2002, Tsujimoto 등,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지와 상황버섯 주정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을 측정하여,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 쓰일 약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은 2000여 년 전부터 알려진 질환으로,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비만인구의 증가로 당뇨병 환자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3%가 당뇨 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삶의 질을 떨어뜨 리는 1위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당뇨병 및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체 사인의 네 번째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noja 등, 2002).
현재 당뇨병의 치료제로 사용 되는 것은 무엇이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는 α-glucosidase 저해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 약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일부환 자에 있어서 복부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이 나타날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Braunwald 등, 2011, Matough 등, 2012).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고 식후 혈당강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α-glucosidase나 α-amylase 저해물질을 찾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의 발병원인은 무엇인가? 국내에서도 당뇨병 및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체 사인의 네 번째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noja 등, 2002). 당뇨병은 유전이나 대사적 요인 등에 의하여 췌장 β-cell에서의 인슐린 분비장애와 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 등으로 발병되며 고혈당이 주요 증상이다(Xu 등, 2011). 당뇨병은 발생 원인에 따라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누 어지는데, 제1형 당뇨병은 ‘소아 당뇨병’이라고 불리며,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고,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 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Anoja, S. A., Zhou, Y. P., Xie, J. T., Wu, J. A., Zhang, L.,Dey, L., Pugh, W., Rue, P. A., Polonsky, K. S. and Yuan,C. S. 2002. Antidiabetic effect of Panax ginseng berry extract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ffective component. Diabetes 51, 1851-1858. 

  2. Braunwald, E., Fauci, A. S., Kasper, D. L., Hause, S. L.,Longo, D. L. and Jameson, J. L. 2011. Ha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McGraw-Hill, New York, NY, USA. pp. 2109-2137. 

  3. Jeong, I.-K., Chung, J.-H., Min, Y.-K., Lee, M.-S., Lee, M.- K., Kim, K.-W., Joong, Y.-E., Park, J.-Y., Hong, S.-K. and Lee, K.-U. 2002. Comparative study about effects of acarbose and voglibose in type-2 diabetic patients. J Korean Diabetes 26, 134-145. 

  4. Lee, K. W., Shon, B. H., Kang, S. K., Park, D. H., Min, B. S. and Song, H. Y. 1984. Epidemiologic study for diabetes in 1821. Koreans. Diabetes 8, 5-14. 

  5. Matough, F. A., Budin, S. B., Hamid, Z. A., Alwahaibi, N. and Mohamed, J. 2012.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in diabetic complications. Squ Med J 12, 5-18. 

  6. Tsujimoto, T., Shioyama, E., Moriya, K., Kawaratani, H.,Shirai, Y., Toyohara, M., Mitoro, A., Yamao, J., Fujii, H. and Fukui, H. 2008. Pneumatosis cytosides intestinalis following alpha-glucosidase inhibitor treatment: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World J Gastroenterol 14, 6087-6092. 

  7. Xu, M.-L., Wang, L., Xu, G.-F. and Wang, M.-H. 2011. Antidiabe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Sonchus asper (L) Hill extract. Korean J Pharmacogn 42, 61-6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