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산림식물 11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in Korean Native Forest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6, 2015년, pp.1098 - 1106  

조명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이사라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손연경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배창환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여주홍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이해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마진경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종예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from 11 forest plants, and determine their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proantocyanidins content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antioxidant compounds. Among the samples, Cornus officinalis, Castanea crenata,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phytochemical 성분들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고된다(Choi 등 2006; Lee 등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들 phytochemical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림지역 자생 식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프로안토시아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던 중, 11종이 다른 종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기 때문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림지역 자생 식물 중 산수유, 복분자 딸기는 주로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Jeon 등 2008; Choung & Lim 2012), 진달래의 경우,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등이 연구되었다(Park 등 2006).
  •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 11종의 잎, 가지 및 잔가지를 식품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후 항산화 활성(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reducing power, NO 라디칼 소거능, ORAC)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3)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문에서는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항산화 활성이 어떤 물질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생각하는가? 61로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림지역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플라보노이드 계통의 물질들보다는 페놀릭 성분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예상된다. Kim 등(2004)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20종이 총 플라보노이드보다는 총 폴리페놀과 높은 연관성을 갖는다고 보고하였으며, 제주자생식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역시 총 폴리페놀 함량과 높은 연관성(R2=0.
합성 항산화제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활성산소종의 종류로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있는데, 과발현된 ROS는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등을 일으켜 암, 당뇨, 고혈압, 비만, 노화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Gardner & Fridovich 1991; Drooge W 2002; Willcox 등 2004). 따라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는 이러한 ROS를 제거하기 위하여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많은 연구에서 이들 합성 항산화제가 암을 유발하거나, 세포내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Ito 등 1986; Safer & al-Nughamish 1999). 이러한 이유로 합성 항산화제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효능이 입증된 육상생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연구를 위주로 수행하여 왔다.
과발현된 ROS는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활성산소종이라 불리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며, 과도한 운동, 환경 호르몬 등 인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기도 한다(Cho 등 2011). 활성산소종의 종류로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있는데, 과발현된 ROS는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등을 일으켜 암, 당뇨, 고혈압, 비만, 노화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Gardner & Fridovich 1991; Drooge W 2002; Willcox 등 2004). 따라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는 이러한 ROS를 제거하기 위하여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많은 연구에서 이들 합성 항산화제가 암을 유발하거나, 세포내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Ito 등 1986; Safer & al-Nughamish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 ML, Lee HS, Kang IJ, Won MH, You SG. 2011.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Enteromorpha prolifera, a type of green seaweed. Food Chem 127:999-1006 

  2. Cho ML, Yoon SJ, Kim YB. 2013.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Undariopsis peterseniana. Ocean Polar Res 35:273-280 

  3. Choi IY, Song YJ,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28:871-876 

  4. Choi YM, Chung BH, Lee JS, Cho Y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 J Crop Sci 51:209-214 

  5. Choung MG, Lim JD. 2012.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Korean J Med Crop Sci 20:259-269 

  6. Dro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47-95 

  7.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aconitase. J Biol Chem 266:19328-19333 

  8. Govindarajan R, Rastogi S, Vijayakumar M, Shirwaikar A, Rawat AKS, Mehrotra S, Pushpangadan P. 2003.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Desmodium gangeticum. Biol Pharm Bull 26:1424-1427 

  9.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00-208 

  10. Ito N, Hirose M, Fukushima S. 1986. Modifying effects of antioxidan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Toxicol Pathol 14:315-323 

  11. Jang HJ, Bu HJ, Lee S. 2015.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s. Korean J Plant Res 28:158-167 

  12. Jee S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145-151 

  13. Jeon YH, Kim MH, Kim MR. 2008.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a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7 

  14. Jeo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35-140 

  15.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3954-3962 

  16.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a.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33-338 

  18.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Lee OH. 2015a.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J Korean Soc Food Nutr 44:1172-1179 

  19. Kim RJ, Kang MJ, Hwang CR, Jung WJ, Shin JH. 2012b.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J Life Sci 22:844-851 

  20. Kim YH, Cho ML, Kim DB, Shin GH, Lee JH, Lee JS,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2015b.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major antioxidant compound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koreanum. Molecules 20:13281-13295 

  21. Lee JY, You JH, Kim SW. 2014.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henolics content in Rosaceae plant stem. J Environ Sci Int 23:2129-2134 

  22.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3. Mitsunaga T, Doi T, Kondo Y, Abe I. 1998. Color development of proanthocyanidins in vanillin-hydrochloric acid reaction. J Wood Sci 44:125-130 

  24. Ordonez AAL, Gomez JD, Vattuone MA, Isla MI.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echium edule (Jacq.) Swartz extracts. Food Chem 97:452-458 

  25.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4619-4626 

  26. Park HM, Hong JH. 2014.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i ramul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709-1715 

  27. Park SW, Kim SG, Kim M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human KB cell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Korean J Food Preserv 13:501-505 

  28.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2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30. Rhim TJ, Choi MY. 201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456-460 

  31. Rim YS, Park YM, Park MS, Kim KY, Kim MJ, Choi YH.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8:342-350 

  32. Rockett K, Awburn MM, Cowden WB, Clark IA. 1991. Killing of Plasmodium falciparum in vitro by nitric oxide derivatives. Infect Immun 59:3280-3283 

  33. Safer AM, al-Nughamish AJ. 1999. Hepatotoxicity induced by the antioxidant food additive,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in rats: an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Histol Histopathol 14:391-406 

  34. Speisky H, Lopez-Alarcon C, Gomez M, Fuentes J, Sandoval AC. 2012. First web-based database on total phenolic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ruits produced and consumed within the South Andes region of South America. J Agric Food Chem 60:8851-8859 

  35. Willcox JK, Ash SL, Catignani GL. 2004.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44:275-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